‘달’에 관한 검색결과 1,988건
마지막 여행 떠나는 ‘디스커버리호’와 역사적 순간들
새로운 우주망원경의 탄생을 기뻐했다. 발사는 성공적으로 진행됐고, 몇 달 후, 허블우주망원경은 첫 번째 관측 사진을 지구로 보내왔다. 이 사진을 본 과학자들은 허블우주망원경의 부품인 지름 2.4m짜리 반사경에 문제가 있음을 깨달았다. 이후 3년간 NASA는 반사경 보정장치를 만들어 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03
외계행성 찾는 여행객을 위한 안내서
년, 아니 수만 광년이나 떨어져 있는 외계행성에 도착하려면 빛의 속도로 달려가도 엄청난 세월이 걸린다. 과연 이 문제를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 인간들은 지금까지 나온 몇 가지 방법을 놓고 고민에 빠졌다. 우선 ‘빛의 속도로 움직이는 법’부터 살펴보자. 빛의 속도로 움직인다고 해도 외계행...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0-27
세계 최초로 혜성 착륙에 도전…‘로제타호’
혜성 표면에서 2m 깊이까지 살피는 것도 가능하다. 또 고정용 작살에 달린 센서로는 혜성의 토양이 가진 특성을 살피고, 자기탐지기로 혜성 자기장과 주변 태양풍 간의 상호작용도 관측할 수 있다. 로제타호 역시 자외선 분광계와 마이크로파 분광계, 우주먼지 수집 장치를 이용해 혜성의 핵과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0-06
우주 쓰레기, 대형 풍선으로 치워볼까?
가 알던 모습과 너무 다르다. 자세히 살펴보니 풍선 옆에 태양 전지판이 달린 작은 장치가 있다. 특수한 임무를 띠고 우주로 날아온 풍선이라는 의미다. 우주까지 날아온 풍선은 앞으로 어떤 일을 하게 될까? 우주를 떠다니는 대형 풍선의 정체는 놀랍게도 ‘우주 쓰레기(space junk) 처...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29
물 위를 달리는 비행기, ‘시스타 CD-2’
공기저항을 많이 받기 때문이이다. 만약 배로 하늘을 날고 싶다면 날개 달린 몸체가 필요하다. 그래서 ‘하늘을 나는 배’로 잘 알려진 ‘위그선(Wing-In-Ground Effect Craft)’도 배보다 비행기와 더 닮았다. ‘물 위를 달리는 비행기’인 수상비행기도 커다란 날개를 가지...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17
개구리 닮은 우주탐사로봇, 있다? 없다?
렵기 때문에 로봇을 대신 보내는 것이다. 이때 개구리처럼 특정 능력이 발달한 동물을 본뜨는 경우가 많다. NASA의 재미교포 2세 과학자 마크 임 박사가 개발한 ‘폴리봇(PolyBot)’은 뱀과 거미처럼 모양을 바꾸는 로봇이다. 폴리봇은 ‘여러 개의 작은 로봇이 모여 하나의 로봇이 된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15
화물선에서 초호화 호텔까지, 비행선의 변신은 무죄!
벼운 수소나 헬륨 등을 채워 넣고, 엔진이나 프로펠러 등의 추진 장치를 달아 원하는 곳으로 이동할 수 있게 만든 항공기다. 선체는 공기저항을 줄이기 위해 유선형으로 만드는 데 이 점은 비행기와 비슷하다. 하지만 정지하고 있어도 기체의 부력으로 공중에 떠 있을 수 있다는 점, 비행기보다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01
로켓 디자인에도 이유가 있다!
연료에 따라 모양이 각각 다르다. 연료 밀도에 따라 연료탱크의 크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케로신의 밀도는 물보다 약간 낮은 0.82g/cc이지만 액체수소는 0.071g/cc에 불과하다. 같은 무게의 케로신과 액체수소를 보관한다면 액체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로켓에 더 큰 추진제 탱크가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8-26
무인헬기로 농사도 짓는다!
장착한 것도 자랑거리 중 하나다. 리모에이치에 살포장치 대신 파종장치를 달면 볍씨를 뿌리는 데도 사용할 수 있다. 2009년 경북 상주에서는 무인헬기 볍씨 파종이 시연됐고, 전국 각지에서도 무인헬기를 이용해 파종하려는 시도가 늘고 있다. 상주에서 사용했던 기술은 무인헬기에 싹을 틔운 볍...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8-10
수성의 구석구석을 살핀다, 탐사선 메신저!
도를 견디지 못했기 때문에 전체 수성의 사진을 확보하지는 못했다. 이와 달리 메신저 호는 수성 궤도에 올라 오랜 시간 동안 수성을 관찰한다. 이를 위해 7년 간 태양을 중심으로 15바퀴를 도는 방법을 선택해 총 79억km를 비행한다. 2005년 8월 지구를 스쳤고, 2006년 10월과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