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료를 절감하는 저에너지 전이궤적
다누리는 직진하지 않고 저에너지 전이 방식인 탄도형 달 전이궤적을 따라
달에 도착했다. 이는 태양, 지구, 달 등 주변 천체들의 중력 효과를 이용해
추진력을 얻는 방식이다.
-
1
발사(‘22. 08. 05)
-
2
WSB/BLT 전이궤적 투입
-
3
궤적수정기동(‘22. 08. 07)
-
(‘22. 08. 26, ‘22. 08. 29)
지구, 달 촬영 시 위치 -
태양-지구
L1 라그랑주 점~150만km -
4
궤적수정기동(‘22. 09. 02)
-
최대거리 : 약 155만km (9.27)
-
(‘22. 09. 15, ‘22. 10. 15)
달 공전사진 촬영 -
(‘22. 10. 28)
우주인터넷탑재체 성능검증시험 (방탄소년단 뮤비 등) -
5
궤적수정기동(‘22. 11. 02)
-
6
궤적수정기동(‘22. 11. 16)
-
(‘22. 11. 28)
지구와 달을 비슷한 크기로 촬영 -
달 궤도진입(‘22. 12. 17)
임무궤도 진입성공 확인(‘22. 12. 27) -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
다누리를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다누리의 추력기를 사용하여 속력을 줄이는 기동
다누리는 발사('22.8.5.) 후 달에 도착('22.12.17.)할 때까지 지구-달 전이궤적*을 따라 총 594만km(누적)를 비행하였다.
이후 총 3회의 임무궤도 진입기동(12.17., 12.21., 12.26.)을 수행한 결과, 목표한 달 임무궤도에 진입하여 현재 약 2시간 주기로 달을 공전하고 있다.
-
1
발사(‘22. 08. 05)
-
2
WSB/BLT 전이궤적 투입
-
3
궤적수정기동(‘22. 08. 07)
-
(‘22. 08. 26, ‘22. 08. 29)
지구, 달 촬영 시 위치 -
4
궤적수정기동(‘22. 09. 02)
-
(‘22. 09. 15, ‘22. 10. 15)
달 공전사진 촬영 -
(‘22. 10. 28)
우주인터넷탑재체 성능검증시험 (방탄소년단 뮤비 등) -
5
궤적수정기동(‘22. 11. 02)
-
6
궤적수정기동(‘22. 11. 16)
-
(‘22. 11. 28)
지구와 달을 비슷한 크기로 촬영 -
7
달 궤도진입(‘22. 12. 17)
임무궤도 진입성공 확인(‘22. 12. 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