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가 보내온 지구-달 사진
다누리가 우주에서 촬영한 사진 공개 지구로부터 124만km 거리에서 첫 “지구-달”사진 보내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달 궤도선 다누리가 촬영한 첫 번째 지구-달 사진을 공개했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2-09-01
[보도자료] 「다누리」가 보내온 지구-달 사진
다누리가 우주에서 촬영한 사진 공개 지구로부터 124만km 거리에서 첫 “지구-달”사진 보내와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달 궤도선 다누리가 촬영한 첫 번째 지구-달 사진을 공개했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2-09-01
다누리, 우주에서 영상․사진 데이터 보내와
ETRI는 항우연, NASA 제트추진연구소(JPL)와 함께 우주인터넷탑재체의 성능검증 시험을 8월 25일(약 121만km 거리), 10월 28일(약 128만km 거리) 두 차례 진행하였고, 영상, 사진 등의 데이터(방탄소년단 Dynamite, ETRI 연구원 전경 사진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1-07
CI ADDRESS34133 대전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169-8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TEL042-860-2114 FAX042-870-3809 오시는 방법 자가용 출발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문 검색 고속버스 대전복합터미널 총거리11.57km 소요예상시간54분 택시이용시32분
장거리 운송용 무인항공기는 수직이착륙 및 고정익 모드 순항이 가능하고, 단거리 배송용 육상 드로이드는 도심 내 자율주행을 통한 최종 목적지 배송이 가능하다. 해양복합형 무인이동체 연구를 통해 수상과 수중에서 통합운용되는 기술을 개발한다.
추적레이더의 통신 신뢰성이 확보되는 가용거리는 약 3,000㎞에 달하지만, 저궤도 위성의 경우, 투입고도와 지구 곡률반경을 고려한 실제 전파 수신 거리는 약 1,700~1,800㎞ 정도다.
현재까지 미세먼지 감시•분석은 기상관측 위성이나 지상 관측소를 활용했기 때문에 대략적인 흐름만 볼 수 있었으나 환경탑재체로 획득한 관측 자료를 추가하면 국외 발 장거리 이동 대기오염물질을 감시하는 등 예보 정확도가 향상되어 국민 건강과 삶의 질 향상에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