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지궤도-저궤도 위성간 광학통신시스템
기술사업화 > 우수기술 > 인공위성
2022-08-12
다중계층 위성항법의 성능 예측 및 감시 기술
다중계층 위성항법의 성능 예측 및 감시 기술은 저궤도, 중궤도, 정지궤도 위성을 포함하는 다중계층 항법 체계에서 위성항법 서비스의 정확도, 신뢰성 및 가용성을 분석하는 기술이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5-02-06
멀티밴드 GNSS수신기 및 멀티밴드 GNSS수신기 운용 방법
일반적으로 위성용 항법 수신기는 저궤도 위성에 탑재하여 위치, 속도 및 시간 정보를 위성에 전달하며 GPS L1의 단일주파수 수신기가 대부분이며 정밀도 향상을 위하여 다중주파수(GPS L1, L2, L5, Galileo E1, E5)수신기가 사용된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4-04-29
저궤도 및 정지궤도 위성 등 다중 위성 운영을 대비하여 운영 업무 자동화 연구를 추진하고 있으며, 위성 상태 모니터링 및 이상 감지에 인공지능(AI) 기술 적용을 연구 중이다.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미래 우주비행체 임무고도 : 300km 중량 : 4,800kg 이하 폭 : 5m 이하 길이 : 7m 이하 이전 다음 01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무인 우주비행기는 로켓으로 지구의 저궤도에 발사되며, 궤도비행을 하면서 지상관측 등의 임무를 수행한 후 비행기처럼
인공위성 분야에서는 저궤도에서 정밀 지구관측을 수행하는 아리랑위성, 정지궤도에서 기상ㆍ해양ㆍ대기환경 관측 및 통신 중계를 수행하는 천리안위성을 개발, 운용하고 있으며, 차세대중형위성 개발 및 민간 기술 이전을 통해 공공 위성 수요 충족과 함께 국내 위성 산업 발전에 기여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우주탐사 기술 확보 및 검증을 위한 국제협력 기반의 첫 달탐사선인 다누리(KPLO,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를 2022년 8월 5일 발사했고, 12월 26일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 진입에 성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