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달 궤도 진입 성공
다누리, 달 궤도 진입 성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2022년 12월 27일에 다누리가 달 궤도 진입을 성공하였다고 밝혔다. 12월 26일 11시 6분 마지막(세번째) 임무궤도 진입기동*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2-28
다누리, 달 임무궤도 진입 시작
45분에 달 임무궤도 진입을 위한 1차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이하 ‘진입기동’)을 한다고 밝혔다. * 달 임무궤도 진입기동(LOI, Lunar Orbit Insertion) : 달 궤도선(다누리)을 달 임무궤도(달 상공 100km 원궤도)에 안착시키기 위해 궤도선의 추력기를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2-15
다누리, 연장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고도 하강 기동 성공
다누리, 연장 임무 궤도 진입을 위한 고도 하강 기동 성공 - 달 궤도 100km에서 60km로 임무궤도 하강, 달 표면 정밀 관측 기대 - 3월 14일 개기월식 대비 위상 조정 기동 동시 수행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철, 이하 ‘항우연’)은 달 탐사선 다누리의 연장
뉴스룸 > 보도자료
2025-02-20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2019년 ‘우주비행기 형상 및 기초기술 연구’를 기관 연구과제로 선정해 3년간 무인 우주비행기의 기초기술 연구를 수행하였고, 2023년부터 6년간 기본사업으로 ‘우주비행기 핵심기술 개발 및 재진입환경 지상시험’ 과제를 수행한다.
인도의 찬드라얀 프로그램에서 사용한 3.5 전이궤도는 지구 근처를 긴 타원궤도로 몇 차례 공전한 후에 달 궤도에 진입하는 방식이다. BLT/WSB 방식은 지구-태양 간의 L1 라그랑지점까지 비행하는 방법으로 탐사선의 연료 소모량을 최소로 사용하기 위해서 고안됐다.
다누리(KPLO) 총 중량 : 약 678kg (1.82m×2.14m×2.29m) 임무수명 : 3년 운용궤도 : 달 상공 100km 원 궤도 탑재체 : 6기 발사일 : 2022년 8월 5일 임무궤도 진입 : 2022년 12월 26일 이전 다음 01 2022년 8월 5일 달을
이러한 달 표면 가치의 선점 및 급격히 성장하는 미래 달 탐사 시장 진입을 위한 독자적 우주탐사 역량 확보가 시급한 상황으로 현 시점에서 적극적으로 기술력을 확보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기술격차 확대 및 기술 진입장벽 상승으로 미래 달 탐사 시장 선점 기회와 경쟁력 상실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