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항공우주연구원 견학 재개
. < 주요 관람 내용 > - 누리호 75톤급 엔진 실물 등 발사체 연구성과 - 아리랑/천리안 위성 및 달 궤도선 다누리 조립․시험 시설 - 아리랑 위성 관제 시설 - UAM, 무인기 등 항공 분야 연구성과 -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연구성과 □ 견학 신청은 항우연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2-28
위성정보활용 경진대회 개최
ㅇ 이번 경진대회는 영상처리기술, 변화탐지 등 분석기술, 각종 공간정보 생성·갱신 등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위성정보의 활용성을 높일 수 있는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공모하는 대회로, ㅇ 인공지능(AI) 기술 등과 융합하여 사회문제 해결, 의사결정 지원 등 다양하게 활용되는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0-13
항우연, 인공위성 기반 전 세계 재해대응을 위한 인터내셔널 차터 정기이사회 개최
. □ 항우연은 2011년 차터 가입 후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이 촬영한 다양한 재난 지역 위성 영상을 제공하여 국제사회의 재난재해 대응에 기여하고 있으며, 국내 재난재해 발생 시(2017년 11월 포항 지진, 2019년 4월 강원도 산불, 2020년 8월 홍수 및 태풍
뉴스룸 > 보도자료
2022-10-24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3호 제원 : 직경 2.0m, 높이 3.0m, 중량 980kg 운영궤도 : 저궤도 임무 : 지구관측 탑재체 : 전자광학카메라(해상도 70cm) 발사일 : 2012년 5월 18일 이전 다음 01 국내 최초의 서브미터급 위성 아리랑위성 3호는 국내
01 국가 공공 수요의 위성개발 기술 확보 우리나라의 인공위성 연구개발은 1994년 종합과학기술심의회에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개발 사업을 의결하면서 시작됐다.
아리랑위성 5호는 전천후 관측이 가능해 아리랑위성 2호·3호·3A호의 광학·적외선 영상과 상호보완을 통해 국가적 재난·재해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EAV)-3 18.5km 비행 성공 2016.07 75톤급 액체엔진 임무연소시간 연소시험 성공 2015.12 한국형발사체엔진 추진기관 시험설비 준공 2015.08 고고도(성층권) 장기체공 전기동력무인기(EAV)-3 14.12km 비행 성공 2015.03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