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2차 발사 성능검증위성(PVSAT) 성공적 임무 완수
이는 미국과 러시아에 이어 세계 3번째 성과로 극한 우주 환경에서 장기간 열과 전력을 공급할 수 있는 에너지 기술을 마련했다 의미가 크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4-08-14
전세계 우주기관 우주탐사 수장들, 대한민국에 모여
과기정통부 최병일 우주협력전문관과 항우연 김성훈 부원장이 대한민국 대표로 참석하는 이번 ISECG 고위급회의에는 미국 항공우주청(NASA)의 우주탐사시스템본부장* 짐 프리(Jim Free), 유럽우주청(ESA)의 유․무인탐사본부장** 다니엘 노이엔슈반더(Daniel Neuenschwander
뉴스룸 > 보도자료
2023-12-06
다누리, 8월 5일(금) 오전 08시 08분경 예정대로 발사
다누리, 8월 5일(금) 오전 08시 08분경 예정대로 발사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는 달 탐사선 ‘다누리’를 8월 5일(금) 08시 08분경(현지기준 8월 4일(목) 19시 08분경) 미국 플로리다주 케이프 커내버럴 우주군 기지에서 예정대로 발사한다고 밝혔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2-08-04
오랜 우주개발 역사를 자랑하는 미국과 러시아 등 우주 선진국과 달리 발사체 추진제 탱크를 처음 개발하는 만큼 반복적인 계산과 수치 해석을 통해 최적의 등방성 격자구조를 찾아야만 했다.
01 우주로 가는 운송수단 미국과 러시아는 1950년대부터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했다. 뒤이어 유럽, 일본, 중국, 인도 등도 우주발사체 기술을 확보해 인공위성과 우주탐사선 발사, 우주화물 수송 등 우주개발을 추진하고 있다.
달탐사 다누리 현재위치 이전 다음 01 과거와 다른 달탐사 경쟁 시작됐다 미국은 1969년 인류 최초 아폴로 11호 달 착륙 이후, 다시 유인 달 착륙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Artemis) 프로그램을 추진하고 있다.
미국의 유력 항공기 시장조사 기관인 틸그룹(Teal Group)이 낸 보고서에 따르면, 통신분야의 경우 고고도 장기체공 무인기의 활용시장은 2025년 15억달러 규모로 중/소형 무인기를 활용한 농업분야(13.6억달러)를 넘어 건설분야(16.5억 달러)에 근접하게 성장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