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8월 5일(금)부터 발사 가능할 전망
ㅇ 한편, 다누리는 모든 발사 준비를 완료하고, 미 우주군 기지 내의 조립시험동에서 대기 중이다.
뉴스룸 > 보도자료
2022-07-28
효율적인 전자파 내성시험 수행을 위한 신호증가 구현기술
- 우주부품, 군용부품, 자동자부품 등 전기적인 인터페이스를 가지는 대다수 전장품은 전자파환경시험을 수행한다. - 본 기술은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전자파 내성시험을 수행하기 위한 신호증가 알고리즘과 관련 측정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 세부내용은 첨부파일 또는 담당자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5-02-03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와 튀르키예 지진 복구에 위성영상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와 튀르키예 지진 복구에 위성영상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튀르키예 지진 피해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다목적실용위성과 차세대중형위성(국토위성)을 활용하여 위성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2-13
면적 : 부지 5,494,423㎡(시설부지 593,471㎡) 위치 :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하반로 508 01 국내 최초 위성 발사장 우리나라는 2001년 1월 30일 우주개발의 전초기지인 위성 발사장 우주센터 건립 계획을 발표했다.
국가종합비행성능시험장공동활용신청 위치 : 전남 고흥군 첨단미래로 305 개관 : 2002년 면적 : 109만 7021m² 주요시설 : 700m 활주로, 비행선·소형기·무인기 시험동, 낙하시험동 등 1200m*45m 활주로 및 유도로 2개, UAM 개활지 실증단지 01 국내
차세대중형위성은 중대형급 실용위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짧은 기간과 저렴한 비용으로 개발 가능한 고성능∙저비용 위성으로 다양한 공공분야의 수요에 대응하고 국내 산업체 중심의 위성개발 생태계 조성 및 관련 산업체 육성 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차세대발사체(KSLV-III) 개발기간 : 2023.07 ⁓ 2032.12 개발비(억원) : 20,132 01 국가 우주개발 수요대응 및 자주적 우주탐사 역량 확보 2023년 7월부터 위성발사, 우주탐사 등 국가 우주개발 수요 대응 및 자주적 우주탐사 역량 확보를 위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