누리호 3차 발사 중간 분석 결과
누리호 3차 발사 중간 분석 결과 - 누리호 3차 발사는 높은 정밀도로 성공적으로 완수 - - 초기 데이터 확인 결과 탑재위성 1기는 사출되지 않은 것으로 추정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5-30
위성 안테나 미소진동 측정법 및 성능분석 기술
미소진동(Micro-vibration) 측정 및 분석 기술은 고정밀 안정성을 요하는 인공위성 구동기의 진동특성을 측정하고 그에 대한 성능을 분석하기 위한 필수 기술이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2-06-20
텔레메트리 데이터의 주성분 분석을 통한 위성의 특이동작 검출방법 및 장치
기술사업화 > 우수기술 > 인공위성
2022-08-12
통한 국가 우주중점기술 역량 강화 및 수입의존도 해소 전자광학 탑재체용 구동부 차세대 정지궤도 해양탑재체(GOCI)용 구동부 기술 개발 측 구동부(OAM) BM/QM 제작/환경/성능시험 및 2축 구동부(TAM) EM/QM 제작/ 환경/성능시험을 통해 지향모델을 도출/분석
그리고 엔진 4기가 동시에 점화되어 화염을 내뿜을 때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엔진의 수평과 균형을 유지하는 것도 신뢰성 높은 엔진 개발의 중요한 기술이다. 05 복합적이고 정밀한 우주 기술의 결정체 우주발사체 액체엔진은 극한 기술의 결정체로, 개발 과정에서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3689mwkkc@kari.re.kr 2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지원 개요 KARI가 보유한 연구장비를 활용하여 유관 중소기업의 연구개발(R&D) 및 시험·검사 등 기술사업화 지원 지원대상 ‘기술지원 업무협약’ 체결 중소기업 및 우주기업 대상 지원내용 중소기업 보유기술 사업성 분석
안정적으로 제공하고 있으며, 다중위성 촬영 스케줄링 시스템, 자료처리 시스템 등 통합 위성영상 활용지원시스템을 개발해 운영하고 있다.위성영상 활용 증진을 위해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며, 사용자 맞춤형 서비스를 위한 위성영상 제품 다양화, 다중위성 융복합 활용, AI 기반 분석기술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