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에 관한 검색결과 684건
2010년 학연협력강화사업(인재양성형) 대학설명회 양식자료입니다
1. 신청방법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기발송 공문 “대외-정책-10-1049(2010-8-2)” 및 2010년 8월 10일 한국항공우 주연구원에서 주최한 “2010년 학연협력강화사업(인재양성형) 대학설명회” 자료를 참조하여 연구계획서를 작성/제출 ▶ 제출서류 ① 신청공문 ② ...
소식 > 연구사업공고
2010-08-10
로켓 추진제, 100퍼센트 활용하기
하고자 새로운 아이디어를 낸 것이 바로 소유즈의 엔진이다. R-7의 RD-107엔진은 하나의 펌프를 이용해 4개의 엔진에 추진제를 보내는 것으로 유명하다. 이 펌프는 4개의 엔진뿐 아니라 2개의 소형 조종용 엔진으로도 추진제를 공급하는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이렇게 소형 조종용 엔진을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21
통신, 해양, 기상 관측을 한번에!… ‘천리안’ 위성의 의미
통해 전달 받았기 때문이다. 지금까지는 30분에 1번씩 일본의 MTSAT-1이라는 정지궤도위성이 주는 한반도의 기상정보를 제공받았다. 하지만, 천리안 위성이 뜨면 평상시 15분, 비상시 최대 8분 간격으로 우리나라의 기상 정보를 받을 수 있게 된다. 우리나라처럼 산이 많은 지형에서는 지...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23
[나로호 특집] 한국 로켓의 진화…나로호가 있기까지
오는 6월 9일, 한국 최초의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1)의 2차 발사가 계획돼 있다. 이번 발사에 성공하면 우리나라는 세계 10위권 우주강국에 들어가게 된다. 인공위성 개발의 눈부신 성과보다 덜 알려지긴 했지만, 우리나라의 발사체가 꾸준히 개발됐기에 가능한 일이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5-19
새처럼 날개짓하는 항공기가 있다면?
날개의 모양이 바뀌는 항공기는 이전에도 있었다. 대표적인 것이 전투기 F-14로 기상 상태나 비행 목적에 따라 날개의 후퇴각을 공중에서 바꿀 수 있도록 만들어졌다. 이렇게 날개의 각도를 바꾸다보니 F-14는 다른 어떤 항공기보다 비행에 유리했지만 날개 무게는 늘어났고, 기계 장치도 복잡...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3-03
인공중력을 만드는 다섯 가지 방법
때부터 1g를 유지하면서 가속하다가 중간쯤부터 화성에 도착할 때까지는 -1g로 속도를 줄여가며 여행하는 방법이다. 강력한 자기장으로도 인공중력을 만들 수 있다. 자석이 쇠를 끌어당기듯 강력한 전자석을 이용해 우리 몸을 이루는 원자들을 끌어당기는 원리다. 실제로 2005년 NASA의 제...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1-27
청소년 대상 융합형 우주교육 프로그램 운영 대행사 모집
공고(긴급) 1. 입찰에 부치는 사항 ○ 공고번호 : 입찰공고 제2009-125호 ○ 입찰건명 : 청소년 대상 융합형 우주교육 프로그램 운영 대행사 모집 ○ 공고기간 : 2009년 12월 4일 ~ 12월 14일 ○ 심사/선정방법 : 일반경쟁/협상에 의한 계약 ○ 기초추정가격 : 100,...
소식 > 공지사항
2009-12-11
스미소니언 항공우주박물관으로 떠나는 신나는 항공우주탐험!
항공시대의 발명’이라는 책을 내기도 했다. 최초로 음속을 돌파한 ‘벨 X-1호’도 살펴볼 만한 전시물이다. 공군 조종사 척 예거가 만들었고 워싱턴 본관 2층에 전시돼 있다. 지금은 음속 돌파 비행기가 많이 있지만 1940년대만 해도 음속으로 날기만 하면 추락하는 비행기들이 많았다. 기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11-26
우주인의 자격, 당신도 우주인이 될 수 있다!
코스모넛이자, 고도 100km 너머를 다녀온 우주인이다. 동시에 TMA-13(Expedition 17) 프로그램의 ‘우주비행참여자’이자, 한국우주인배출사업의 ‘우주실험전문가’이다. 앞으로 우주인의 기준은 점차 더 모호해질 전망이다. 스페이스 어드벤처를 비롯해 영국의 버진 갤럭틱 등 세...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10-21
구소련의 기술로 탄생한 미국의 스텔스기
를 뽑을 것이다. ‘F-22’ 랩터 전투기는 우리나라 주력 항공기인 ‘F-16’이나 ‘F-15’ 전투기 그리고 미 해군의 주력 전투기인 ‘F-18’과 벌인 가상 공중전에서 144대 격추라는 놀라운 결과를 보여 주기도 했다. 랩터가 이렇게 강력한 이유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그 가운...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1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