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와’에 관한 검색결과 139건
국제우주정거장(ISS), 넌 누구니?
연구와 작업을 할 수 있도록 달 표면에 기지를 건설하기 위해서는 먼저 지구와 달 사이에 사람과 물자 수송 및 통신 등의 중계 역할을 할 수 있는 곳이 필요합니다. 그 역할을 ‘달 궤도 우주정거장’이 하게 되는 것이지요. 실제로 웬만한 행성 탐사에서 이루어지는 궤도선(우주정거장)과 착륙...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2-04-16
우주에 지구 마을을 만들 수 있을까요?
ASA)에서 사람이 살 수 있는 ‘슈퍼지구’를 찾았다는 발표를 했어요. 지구와 비슷한 크기의 이 행성은 얼지 않은 상태의 바다와 토양이 있고, 평균 22도 정도의 기온을 유지하고 있는 점이 지구와 닮았다고 해요. 그럼 사람이 다른 별이 아닌 지구에서 살 수 있는 이유는 살펴볼까요? 지구...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2-02-29
목성 탈출속도 59.5km
출 속도가 너무 크기 때문에 목성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입니다. 다행히 지구와 달의 탈출 속도는 목성에 비하여 작습니다. 지구 중력을 벗어나 달에 도착했다가 다시 달의 중력권을 벗어날 때는 달의 탈출 속도가 작기 때문에 어렵지 않습니다. 그런데 만일 지구가 달의 탈출 속도 만큼 작고,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2-02-21
미션 임파서블? 우주에서는 파서블(Possible)!
게 기본적인 과학 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우주교육실험으로 계획되었습니다. 지구와 국제우주정거장(ISS) 즉, 우주선에서의 물리적(주변) 환경은 차이가 있기 때문에 똑같은 실험을 지구와 우주선에서 해보며 서로 비교하는 활동은 의미가 있답니다. 그렇다면 이소연 박사에게 주어졌던 우주교육실험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2-02-06
금성에서 살아남을 수 있는 탐사선이 되려면?
요? 금성은 태양계의 두 번째 행성이에요. 지구에서 가장 가깝고 크기도 지구와 비슷하지요. 그래서 예전 사람들은 금성에 생명체가 살고 있을 거라고 생각했어요. 그런데 탐여러 번의 도전 끝에 드디어 금성 탐사선인 구 소련의 베네라 7호가 두꺼운 대기를 뚫고 금성에 도착했을 때 사람들의 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2-02-01
헬륨풍선, 달에서도 떠오를까?
우주정거장(ISS)에서는 헬륨풍선이 떠오릅니다. 여기에는 공기가 있고, 지구와 비슷한 수준으로 기압을 유지하고 있기 때문입니다. ISS에 머무는 우주인들이 산소마스크를 쓰지 않고 생활하는 게 공기가 있다는 증거입니다. 하지만 ISS에는 중력이 없습니다. 헬륨풍선뿐 아니라 공기 알갱이를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10-12
식물의 광합성을 생중계하는 고마운 인공위성!
담깁니다. 지구 주변에는 3대의 인공위성이 빙글빙글 돌고 있죠. 배고픈 지구와 인공위성, 고개를 갸우뚱하게 만드는 만남입니다. 이 동영상은 무슨 이야기를 하고 싶은 것일까요? 지난 2008년 세계는 옥수수 가격 때문에 깜짝 놀란 적이 있습니다. 평소보다 2배 정도 올랐기 때문입니다. 사...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6-22
먼 별도 당겨 보자, 망원경!
을 우주까지 확대시켰습니다. 밤하늘의 반짝이는 별의 정체를 알게 됐고, 지구와 달의 모습도 제대로 보게 됐습니다. 작은 원리나 발견도 조금만 달리 보면 세상을 바꿀 수 있습니다. 망원경의 렌즈를 맨 처음 우주로 돌린 갈릴레이처럼 말이에요! 글 : 박태진 과학칼럼니스트...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5-11
항공우주기술 개발을 도와주는 고마운 화학
“휴스턴, 휴스턴! 안 들리나? 응답하라!” 국제우주정거장의 우주인이 지구와 연락이 되지 않아 답답해하고 있어요. 도대체 무슨 일이 생긴 걸까요? 우주정거장에 살고 있는 우주인이 지구에 있는 사람들과 갑작스럽게 연락되지 않는 이유는 국제우주정거장의 안테나가 고장났기 때문이에요. 인공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1-11
개구리 닮은 우주탐사로봇, 있다? 없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은 개구리를 본뜬 로봇을 만들었다. 지구와 다른 표면을 가진 행성을 탐사할 때 개구리처럼 점프할 수 있는 능력이 유용하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2003년에 만들어진 ‘호핑 로봇(Hopping Robot)’이 그 주인공이다. 무게 1.3kg의 호핑 로봇...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