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에 관한 검색결과 1,988건
항우연, 한조영 박사 세계인명 사전(MARQUIS Who`sWho) 등재
. 한 박사는 인하대에서 학사를 했으며, KAIST에서 연소 및 복사열전달에 대한 논문으로 석사, 박사학위를 취득한 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입소해 다목적실용위성 2호 사업을 통한 저궤도위성 단일추진제 추진시스템 개발에 참여했으며, 현재, 통신해양기상위성사업단 통해기체계팀의 선임연구원으로...
소식 > 보도자료
2008-09-09
증기기관으로 나는 비행기가 있다? 없다?
비행 이전의 비행은 거의 대부분 활공비행이었는데, 초기에는 판자를 등에 달고 나는 등의 터무니없는 시도도 많아 죽은 사람도 많았다. 그 당시에는 날개를 퍼덕여서 공기를 아래로 밀어내는 힘으로 공중에 뜬다는 이론이 많이 퍼져있을 때라 지금 보면 터무니없는 방법으로 하늘을 나는 시도를 하는...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9-09
인간 우주비행사를 닮아 가는 로봇 - 로보노트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어야 하며 현장의 상황을 조종하는 인간에게 잘 전달해 줄 수 있어야 한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로보노트에는 다음과 같은 하부체계가 사용된다. 우선 주목할만한 점으로 인간의 것과 거의 유사한 형태를 가진 손과 팔이 달려있다. 로봇 만화를 자주 보신 분들에게는 일견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9-03
한국우주인, 기획강연을 통해 청소년에게 꿈을 선사!
한 우주경험담을 소개하고 학생들에게 미래에 대한 꿈과 희망의 메시지를 전달할 계획이다. 8월 29일 충청북도교육청과 함께 청주시를 시작으로 9월에는 대구광역시, 울산광역시, 서울특별시(북부지역)에서 실시하고 10월에는 전라남도, 강원도 등에서 기획강연을 진행할 예정이다. 또한 한국과학문...
소식 > 보도자료
2008-08-28
한국항공우주연구원-한국천문연구원 간 협력 협정 체결
차별적 임무와 특성을 살릴 수 있는 과학위성 탑재체, 위성항법시스템, 달 탐사 등의 분야에서 더욱 활발한? 협력을 할 수 있게 되었다. 우주시대를 맞이하여,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은 금번의 협정을 통해 우주과학 분야에서의 위상을 더욱 확고히 자리매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 ...
소식 > 보도자료
2008-08-27
로켓..그 기나긴 역사속으로!
인우주선을 쏘아 올렸을 때나, 1969년 미국의 암스트롱이 인류 최초로 달에 착륙했을 때도 마찬가지다. 일반적으로 탈것의 추진력은 반동에 의하여 얻어진다. 사람은 신발을 신고 지면을, 자동차는 바퀴로 대지를, 배는 스크루로 물을, 항공기는 프로펠러 등으로 대기를 박참(밀어냄)으로써 추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27
한반도 기상예보는 내가 맡는다! ‘통신해양기상위성’
할 수 있다. 통신해양기상위성은 무게만 2.5톤(아리랑2호의 3배)에 달하는 대형위성으로 위성의 운용수명은 7년이다. 그렇다면, 통신해양기상위성이 2009년 발사되어, 제 궤도에서 7년간 정상적으로 운용이 되면 우리는 어떤점이 좋을까? 우선, 관측하는 사진영역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20
한국우주인 이소연박사, 우주실험 온라인컨퍼런스 수행
를 표명한 미국우주인 리차드 게리엇의 요청에 의해 추진된 것으로, 이번 달 13일과 20일 두 차례 이소연 박사가 리처드 게리엇에게 교육실험키트 이용방법 및 주의사항 등을 교육하게 된다. 대한민국 최초 우주인이 우주에서 수행한 교육실험에는 우주에서 물의 현상비교, 뉴턴 법칙, 표면 장력...
소식 > 보도자료
2008-08-13
우주에선 우주복만 입는 것 아니죠!
다. 대신 침낭은 필수다. 침낭 바깥쪽에는 짧은 끈이 있어 ISS 벽에 달린 고리에 묶어 고정시킬 수 있다. 침낭 자체에는 보온기능이 별로 없다. 따뜻한 잠자리를 좋아하는 사람은 긴 작업복을 입을 뿐이다. 침낭에는 팔이나 다리를 꺼낸 채 잘 수 있도록 구멍이 나 있는데 잠에서 깬 우주인...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13
화성 탐사하는 '월-E'의 친구들
기능을 갖췄다. 피닉스에는 월·E의 두 눈에 해당하는 입체영상 카메라가 달렸다. 두 대의 카메라로 같은 곳을 보기 때문에 마치 사람의 눈으로 보듯 화성의 모습을 실감나게 보여줄 수 있다. 이 카메라는 선배 탐사로봇 마스 패스파인더와 마스 폴라 랜더의 눈을 업그레이드해 이식한 것이다. 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0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