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과’에 관한 검색결과 777건
인공위성을 밀고 당기고? - 인공위성을 방해하는 4가지 요소
방해요인은 우주공간의 태양과 달을 비롯해 태양계 안에 존재하는 모든 행성과 위성들의 잡아당기는 힘 입니다. ‘만유인력의 법칙’에 따라 태양, 달, 목성, 토성과 같은 거대한 천체들과 그 천체들에 딸린 수많은 위성들이 서로 당기는 힘인 ‘인력’이 지구 주위를 돌고 있는 인공위성에 그대로...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2-16
인공위성, 우주쓰레기와의 충돌을 막아라!
과학자들이 이용하도록 했습니다. 우리나라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도 아리랑 위성과 우주쓰레기의 충돌위험을 분석하며 인공위성 충돌에 대해 연구하기 시작했는데요. 이 연구가 바로 ‘우주파편 충돌위험분석 연구’입니다. 이 연구를 하는 과학자들은 앞으로 6년간 인공위성이 우주쓰레기와 충돌할 위험을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2-09
인공위성도 교통사고 난다?
궤도에 올릴 수 있는 위성의 숫자는 180개로 정해져 있습니다. 다른 위성과 충돌하지 않으면서 통신 간섭도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지구 적도 상공(위도 0도)으로 정해진 구역에서 부딪히지 않고, 전파도 섞이지 않으려면 위성이 2도 간격으로 놓여야 합니다. 360도를 2도씩 나눠 구역을 정...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1-01-31
'우주먼지'에 그렇게 깊은 뜻이?
되듯이 우주먼지가 더 많이 모이면 작은 돌멩이가 되고, 더 커지면 소행성과 행성으로 자라기도 합니다. 결국 우주먼지는 별이 만들어지는 씨앗이 되는 것이죠. 우주먼지는 별로 자라는 씨앗일 뿐 아니라 별을 만드는 데도 중요합니다. 왜 그런지 살펴볼까요? 우선 우주먼지가 모이면 별빛을 가리...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2-15
인공위성과 슈퍼컴으로 추적하는 허리케인
2005년 8월24일. 미국 동남쪽 바하마제도 해상에서 습한 열대성 비구름덩어리가 형성되고 있었다. 계속 커진 이 덩어리는 디즈니랜드가 있는 플로리다로 향했다. 그리고는 서북쪽으로 진로를 틀어 재즈의 도시 뉴올리언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10
인공위성도 방패가 필요해~
구되고 있다. 첫 번째 사례에서 본 것처럼 이미 궤도에 올라 있는 인공위성과 접촉을 시도하는 방법은 물론 지상에서 위성을 요격하는 방법도 개발하고 있다. 실제로 중국과 미국은 각각 2007년과 2008년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해 문제가 생긴 인공위성을 파괴하기도 했다. 또, 문제가 생겨 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0-20
세계 최초로 혜성 착륙에 도전…‘로제타호’
구에 거대한 감자 모양의 사진 한 장을 보내왔다. 이 사진의 주인공은 화성과 목성 사이에 위치한 지름 134km의 소행성 루테시아. 이 소행성은 150여 년 전에 발견됐지만 제대로 알려진 정보가 없었다. 하지만 로제타호가 루테시아에 3,200km까지 다가가 자료를 수집하는데 성공했다.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0-06
우주 쓰레기, 대형 풍선으로 치워볼까?
올리는 비용이 다른 궤도보다 저렴하기 때문에 그만큼 수명을 다한 인공위성과 그 파편도 많이 존재하는 것이다. 이곳에서 우주 쓰레기를 거둬 들인 GOLD는 제어 장치의 도움으로 지구로 귀환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소형 우주 쓰레기는 자연 산화되고, 대형 우주 쓰레기는 바다로 안전하게 내...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9-29
수성의 구석구석을 살핀다, 탐사선 메신저!
위해서였다. 과학자들은 태양계가 탄생했을 당시 지금의 내행성 궤도에 수성과 비슷한 원시 행성이 존재했을 것으로 예상한다. 따라서 수성 탐사는 지구와 금성, 화성 같은 행성 최초 모습을 알 수 있는 자료가 될 수 있는 것이다. 또 메신저 호는 30년 전 수성탐사선인 마리너 10호의 후속...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8-05
달 탐사에 로봇 ‘아바타’ 보낸다
용을 크게 줄일 수 있다. 또한, 인간이 직접 달에 가는 것보다 과학적 성과를 훨씬 많이 얻을 수 있다. 달에서 의미 있는 발견을 하려면 숙련된 과학자를 우주인 훈련을 시키거나, 우주인에게 다양한 과학적 지식을 습득하게 한 뒤 달에 보내야 했다. 하지만 로봇 아바타를 활용하면 달에 직접...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7-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