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궤도위성’에 관한 검색결과 25건
똑똑한 천리안이 일기예보를 하기까지~
것일까? 그 이유는 천리안이 정지궤도위성이기 때문이다. 정지궤도위성은 저궤도위성보다 60배 가량 높은 곳에 궤도가 있으므로 발사체만의 힘으로는 위성을 정지궤도까지 올려놓을 수 없다. 따라서 정지궤도 위성은 자체 엔진으로 임무를 수행할 위치까지 올라가야 하며, 발사 후 정상운영위치에 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30
통신, 해양, 기상 관측을 한번에!… ‘천리안’ 위성의 의미
멀티플레이어 위성인 셈이다. 인공위성은 지구 주위를 도는 궤도에 따라 저궤도위성, 중궤도위성 및 극궤도위성과 정지궤도위성으로 나뉘는데, 정지궤도위성은 한 지역을 계속 관찰할 수 있어 통신과 기상 관측 등의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런데 ‘천리안’에는 이러한 기능 뿐 아니라 사상 최초로 해...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23
항우연, 한조영 박사 세계인명 사전(MARQUIS Who`sWho) 등재
취득한 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 입소해 다목적실용위성 2호 사업을 통한 저궤도위성 단일추진제 추진시스템 개발에 참여했으며, 현재, 통신해양기상위성사업단 통해기체계팀의 선임연구원으로 정지궤도위성 이원추진제 추진시스템 개발 사업과제를 수행 중에 있다. 저서로는 ‘우주비행선 추진공학 (경문사...
소식 > 보도자료
2008-09-09
로켓..그 기나긴 역사속으로!
력이 꽃을 피운 결과이다. 앞으로 개발될 차세대 로켓은 재사용형ㆍ저비용ㆍ저궤도위성 발사체이다. 그 대표적 예가 미국항공우주국에서 개발 중인 X-34이다. X-34는 비행기에서 발사되는 우주로켓으로 무게 1100kg의 인공위성을 28회 정도 지구 저궤도에 발사할 수 있도록 설계되고 있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8-27
어디까지 올라가야 우주여행일까?
사실 100km를 넘어서면 공기가 희박해진다. 200km를 넘자 일부 저궤도위성이 보인다. 저궤도위성은 200~6000km 상공을 돈다. 저궤도위성은 지구의 자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로 90~100분마다 지구를 한바퀴 돌 수 있다. 이 고도에서는 공기가 희박해 대기와 마찰을 많이 일으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8-03-12
위성과 태양의 ‘복잡미묘’한 관계
편해질지 상상하기도 어렵다. 고도 2000km 이내에서 지상을 관찰하는 저궤도위성은 지구와 가까이 있기 때문에 통신위성만큼 큰 피해를 입지는 않는다. 그러나 지구 대기와 태양풍의 영향을 함께 받아 뜻하지 않는 상황에 처하기도 한다. 위성이 지구의 대기 안에서 움직이면 대기의 저항 때문에...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7-11-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