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국’에 관한 검색결과 89건
UST 2012학년도 전기 신입생 모집
1) 2012학년도 전기 신입생 모집요강(일반전형, 특별전형[위탁생, 재외국민, 북한이탈]) (2) 2012학년도 전기 신입생 모집요강(특별전형[외국인]) 4) USTian 소식 : USTOn 5) 문의 (1) 전화번호 : 042-865-2332 (2) 팩 스 : 042-864-5554...
소식 > 공지사항
2011-10-14
마지막 여행 떠나는 ‘디스커버리호’와 역사적 순간들
보수하기도 했다. 이후에 주로 통신위성이나 군사위성의 발사를 맡았고, 외국 우주비행사를 우주로 태워보내는 일을 했다. 1990년 4월 24일, 드디어 ‘디스커버리호’는 우주개발 역사에 남을 중대한 임무를 수행하게 됐다. 허블우주망원경을 지구 상공 610km 궤도에 올린 것이다. 당시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11-03
똑똑한 천리안이 일기예보를 하기까지~
거친다. 우리가 TV뉴스의 일기예보에서 무심코 보는 위성관측 구름영상은 외국의 기상위성 운영기관에서 만든 것이다. 천리안이 성공적으로 운영하는 날이 오면 천리안 위성이 관측한 영상을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국가기상위성센터에서 처리해 제공하게 된다. 1970년 기상청이 처음 미국의 ESSA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30
통신, 해양, 기상 관측을 한번에!… ‘천리안’ 위성의 의미
레이어, ‘천리안’이 가진 마지막 능력은 통신 기능이다. 다른 탑재체가 외국 기술진과 협력해 만든 장치인 반면, 이 통신 탑재체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순수 국내 연구진이 개발한 장비라는 게 특징이다. ‘천리안’은 위성의 허리춤에 붙어있는 원형의 안테나와 내부 전자장치가 방송과 통신 신호...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23
천리안위성 발사, 6월24일 목표로 차질없이 진행
다. 특히, 세계에서 7번째로 독자 기상위성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그동안 외국의 기상위성으로부터의 정보에 기초하여 30분 간격으로 제공되던 기상예보 수준이 통상의 경우 15분 간격, 위험기상의 경우 최소 8분간격의 수준으로 향상되어 국민생활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천리안...
소식 > 보도자료
2010-06-21
[천리안 특집] 우리도 정지궤도위성시대로 간다
3호와 5호, 한별 위성도 우리나라의 정지궤도위성이다. 하지만 이들은 외국에서 구입한 거라 우리 연구진이 참여해 만든 정지궤도위성은 아니며, 그런 의미에서 국내 연구진이 국제협력을 통해 만든 정지궤도위성으로는 천리안이 최초라고 볼 수 있다. 아쉽게도 인공위성의 발사는 아직 우리의 힘으...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16
천리안위성(통신해양기상위성), 6월24일 발사예정
자 기상위성을 확보하여 실시간 기상관측 능력을 보유하게 됨으로써 그동안 외국의 정지궤도 기상위성 등으로부터 수동적 정보수집에 기초하여 30분 간격으로 제공되던 기상예보 수준이 통상의 경우 15분 간격, 위험기상의 경우 최소 8분간격의 수준으로 향상되어 국민생활의 안정화에 크게 기여할 것...
소식 > 보도자료
2010-05-28
[나로호 특집]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우주로 간다
위성을 만들어도 우주로 올리지 못하면 소용없듯 로켓을 만들지 못하면 늘 외국기술에 의존할 수밖에 없다. 또 외국 로켓에 우리가 개발한 위성을 외국 로켓에 싣는 과정에서 우리 기술로 개발한 위성의 기술력이나 정보가 외국에 노출될 위험도 있다. 이런 이유로 나로호 발사는 매우 의미있는 일이...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5-26
[나로호 특집] 한국 로켓의 진화…나로호가 있기까지
제한이 있었고, 대형 고체로켓을 대형 미사일로 쉽게 바꿀 수 있다보니 외국에서 기술이전을 받기도 어려웠기 때문이다. 그래서 우리나라는 액체연료 로켓엔진을 개발하기로 했다. 액체연료 로켓은 연료 주입에 시간이 걸리고, 우리나라가 주로 개발해 온 분야도 아니었다. 하지만 고체연료 로켓보다...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5-19
한국이 만든 헬리콥터, 수리온 납시오!
선진국에서도 기술을 잘 가르쳐주지 않는다. 이 때문에 우리나라 개발팀은 외국에서 기술을 배우지 못했다. 회전 날개를 개발해 본 경험이 전혀 없다 보니 회전 날개를 만들기 위한 틀(몰드)을 제작하는 것부터 어려움에 부딪혔다. 하지만, 탄소섬유와 유리섬유를 접착제로 한 겹씩 붙인 다음 오토...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3-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