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위성’에 관한 검색결과 75건
[나로호특집] 나로호 발사, 이번엔 반드시 성공이다.
덜 분리된 왼쪽 페어링 때문에 균형을 잃은 것이다. 왼쪽 페어링은 결국 과학기술위성이 분리될 때가 돼서야 떨어졌고, 위성은 원래 궤도에 진입하는 데 실패하고 말았다. 이 영상을 통해 연구진들은 나로호의 페어링 분리 외에 다른 부분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했다. 2차 발사 때도 기...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6-01
[나로호 특집]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우주로 간다
상공에서 작동을 멈추면 2단 고체엔진이 점화되며, 2단 엔진의 힘으로 과학기술위성 2호는 300km 상공의 우주 궤도에 올라가게 된다. '킥 모터'라고도 불리는 2단 엔진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설계하고 국내 기업에서 제작했으며, 이 부분은 과학로켓 1호와 2호의 기술력을 이어받았다. ...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10-05-26
『나로호』상단과 1단 조립 완료, 총점검 착수
치고, 각종 점검을 준비 중이라고 밝혔다. 나로호 상단은 고체 킥모터와 과학기술위성 2호, 페어링 조립을 마치고 지난 5월 14일 각종 탑재센서와 1단과의 연결부위 등에 대한 점검을 마쳤으며, 나로호 1단도 기밀(氣密)시험과 액체엔진 점검 및 탑재장비들의 전기시험 등 각종 점검을 5월 ...
소식 > 보도자료
2010-05-20
『나로호』2차 발사 6월 9일 오후로 예정
최종적으로 확정될 예정이다. 현재 나로우주센터로 이송된 나로호 상단과 과학기술위성 2호 및 1단의 조립과 점검이 각각 진행 중이며 5월말까지 나로호 총조립을 완료할 계획이다. 총조립된 나로호는 6월초 한?러 공동으로 수행하는 비행준비 최종검토를 거쳐 발사 이틀 전 발사 시나리오에 따라...
소식 > 보도자료
2010-04-19
『나로호』1단, 나로우주센터에 입고
단은 페어링 비파괴 검사 등 이송에 따른 상태 점검을 마쳤고, 금주 중 과학기술위성 2호가 이송되면 나로호 2차 발사를 위한 상단 조립이 본격적으로 착수될 예정이다. 나로호 1단은 전기시험, 유압 및 누설시험 등 다양한 시험과 점검과정을 거친 후 5월 중 상단과 최종 조립될 예정이며, ...
소식 > 보도자료
2010-04-07
나로호 페어링 개선조치 및 발사준비 계획
증시험을 진행할 예정이며, 현재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에 보관 중인 과학기술위성 2호는 발사 및 운용을 위한 주기적인 성능 확인을 수행 중이다. 나로호 1단은 러시아에서 조립이 완료된 후 3월말 또는 4월초 우리측에 인도될 예정이며, 지난 1차 발사의 경험으로 보아 나로호 1단 인수...
소식 > 보도자료
2010-02-09
[브리핑자료] 나로호 발사 1?2단, 위성 분리 성공 확인
게로 인하여 위성궤도에 진입하기 위한 속도를 얻지 못한 것으로 분석 ⑤ 과학기술위성 2호의 현 위치 ? ? 위성은 궤도진입을 위한 속도(8km/s)보다 낮은 6.2km/s의 속도로 떨어져 공전궤도에 진입하지 못하고 지구로 낙하하면서 대기권에서 소멸된 것으로 추정 ? □ 교과부는 이번 한...
소식 > 보도자료
2009-08-26
[브리핑자료] 나로호 발사, 부분 성공
과학기술위성 2호, 목표 궤도에 못 미쳐 ? □ 나로호는 금일 17시 발사 후 1단 엔진과 2단 킥모터는 모두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위성이 정상적으로 분리되었으나, 목표궤도에 정확히 올려 보내지는 못한 것으로 분석된다
소식 > 보도자료
2009-08-25
나로호! 성공적인 발사를 위한 과정과 발사윈도우
발사대를 이륙한 ‘나로호(KSLV-I)'는 발사 후, 215초가 되면 과학기술위성 2호의 보호덮개인 페어링이 분리되고, 232초가 되면 추진력을 다한 1단이 분리된다. 이 후, 2단 킥모터가 점화되면서 발사 후, 540초가 되면 위성이 분리된다. 분리된 과학기술 위성 2호는 지구의 저...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08-13
'나로호(KSLV-I)' 발사에서 과학기술위성 2호 교신까지.. 임무성공의 기준은?
2009년, 우리나라는 한국 최초 우주발사체 ‘나로호(KSLV-I)'에 과학기술위성 2호를 실어 발사함으로써 세계의 다른 우주선진국과 같이 우리땅에서 우리 위성을 발사할 수 있는 우주개발국으로서 한 단계 성장하게 된다. 세계의 많은 나라 중 자국의 땅에서 인공위성을 발사한 나라는 러시아...
과학교육 > 학습자료실 > 카리실험실
2009-07-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