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문 | 중량(kg) | 한글명칭 | 광의적 명칭 |
---|---|---|---|
large | >1000 | 대형(大型) 위성 | 대형(大型) 위성(large) |
medium | 500 - 1000 | 중형(中形) 위성 | 중형(中形) 위성(medium) |
mini | 100 - 500 | 소형(小型) 위성 | 소형(小型) 위성(mini) |
micro | 10 - 100 | 마이크로 위성 | 초소형(超小型) 위성 100kg 이하 |
nano | 1 - 10 | 나노 위성 | |
pico | 0.1 - 1 | 피코 위성 | |
femto | <0.1 | 펨토 위성 |
국내에서 한글로 ‘초소형위성’은 중량 100kg 이하의 모든 위성을 의미한다[1].
중량 100kg 이하의 초소형위성들은 다시 영문명으로 Microsat, Nano(Cubesat), Pico, Femto 위성으로 부른다[표 참고].
예를 들어, 중량 90kg급 위성은 ‘마이크로 급 초소형위성’, 중량10kg급 위성은 ‘나노급 초소형위성’으로 부를 수 있다.
참고 [1] ‘초소형위성 개발 로드맵 정책사업(과기정통부)’(2020)
------------------------------------------------------------------------
NanoSat(CubeSat?)
나노위성은 중량 1kg~10kg 사이의 위성이며, 모양에 따라 부르는 Cubesat, Tubesat 등을 포함하고 있다[2].
큐브위성은 10cm x 10cm x 10cm의 정육면체 볼륨에 중량 1.33kg(최대 2kg)를 가지는 표준화 된 구조물을 1U로 정의한다.
최근에는 기술의 발전과 효용성이 늘어나면서 참고 그림과 같이 6U, 12U, 그리고 최대 27U(중량 약 50kg)까지 개발되고 있다.
참고 [2] www.nanosats.e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