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야간, 날씨 상황 관계없이 영상 획득 영상레이더 탑재체(SAR, Synthetic Aperture Radar)는 위성에서 전파를 발산하고 물체에서 반사되어 오는 신호를 수신해서 영상을 만드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5호 제원 : 직경 2.6m, 높이 3.9m, 중량 1,315kg 운영궤도 : 저궤도 임무 : 전천후 지구관측 탑재체 : 전천후 영상레이더(SAR, 해상도 1m) 발사일 : 2013년 8월 22일 이전 다음 01 국내 최초의 영상레이더(SAR)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6호(개발중) 직경 : 2.7m 높이 : 4.8m 중량 : 1,750kg 운용궤도 : 저궤도(태양동기궤도) 임무 : 전천후 지구관측 탑재체 : 능동형 고해상도 영상레이더(SAR, 서브미터급 해상도) 01 고해상도 영상레이더 핵심 기술 확보 목표
국가적으로 위성 영상에 대한 공공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1999년 다목적실용위성인 아리랑위성 1호, 2006년 국내 주도로 아리랑위성 2호를 개발했다. 이후 2012년 아리랑위성 3호, 2013년 아리랑위성 5호, 2015년 아리랑위성 3A호를 개발했다.
차세대중형위성 1호는 2021년 발사되었으며, 현재 국토·자원 관리 및 재난재해 대응 관련 공공부문 수요 대응, 국가 공간정보 활용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정밀지상관측 영상 제공 등의 임무를 성공적으로 수행 중이다.
개발기관 위성명 시스템 KAIST 인공위성연구소 NEXTSAT-2 임무수명 : 2년 고도 : 550 km (태양동기궤도) 크기(mm) : 974 x 1340 x 820 (발사 상태) 5203 x 1340 x 820 (임무 상태) 무게 : 179.9 kg 임무 : 소형영상레이다
또한 미국, 프랑스, 독일 등 일부 선진국에서만 개발되는 적외선 관측 위성을 확보했으며, 적외선 센서 영상은 해외의 상업용 적외선 센서 탑재 위성과 견주어 세계 최고 수준의 품질을 갖추고 있다.
재난치안용 무인기는 임무정보 다지점송신 기능, 복수 무인기 동시 운용 및 관리, 방수 및 방진, 내풍성및 내열성, LTE/Wifi/C-band 통신 삼중화, 14종의 특화임무장비 플러그 앤 플레이, 어둡고 GPS 신호가 잡히지 않는 터널 등에서 무인기를 운용하기 위한 실내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