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와 튀르키예 지진 복구에 위성영상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 국토교통부와 튀르키예 지진 복구에 위성영상 제공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국토교통부(장관 원희룡)는 튀르키예 지진 피해 대응을 지원하기 위해 다목적실용위성과 차세대중형위성(국토위성)을 활용하여 위성영상을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2-13
다목적실용위성 6호, 아리안스페이스社와 대체발사 계약 체결 완료
다목적실용위성 6호, 아리안스페이스社와 대체발사 계약 체결 완료 - 이르면 ‘24.12월 발사 예상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지구관측, 재난재해 대응 등 공공의 목적으로 활용할 다목적실용위성 6호(이하 ‘다목적 6호’)의 대체발사 계약 절차가
뉴스룸 > 보도자료
2023-05-31
구경 60cm급 인공위성 탑재용 전자광학카메라 기술
항우연이 보유하고 있는 인공위성 탑재용 전자광학 카메라 개발기술은, 다목적실용위성, 정지궤도위성, 차세대중형위성 시리즈의 탑재체 개발을 통해 축적되어 왔다.
기술사업화 > 기술사업화 > 기술이전 예정기술
2022-05-27
2019 2000년대 2000 ~ 2009 1990년대 1990 ~ 1999 1980년대 1980 ~ 1989 2023.05 누리호 3차 비행시험 2022.08 다누리 발사 2022.06 누리호 2차 비행시험 2021.10 누리호 1차 비행시험 2021.03 차세대중형위성 1호
01 국가 공공 수요의 위성개발 기술 확보 우리나라의 인공위성 연구개발은 1994년 종합과학기술심의회에서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개발 사업을 의결하면서 시작됐다.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3호 제원 : 직경 2.0m, 높이 3.0m, 중량 980kg 운영궤도 : 저궤도 임무 : 지구관측 탑재체 : 전자광학카메라(해상도 70cm) 발사일 : 2012년 5월 18일 이전 다음 01 국내 최초의 서브미터급 위성 아리랑위성 3호는 국내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위성) 5호 제원 : 직경 2.6m, 높이 3.9m, 중량 1,315kg 운영궤도 : 저궤도 임무 : 전천후 지구관측 탑재체 : 전천후 영상레이더(SAR, 해상도 1m) 발사일 : 2013년 8월 22일 이전 다음 01 국내 최초의 영상레이더(S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