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이 달에 가는 이유! 우리나라 첫 번째 달 탐사선 '다누리'의 임무 소개
- 등록일 2022-07-27
- 조회수 2511
자막
모든 탐사선에는 저마다의 임무가 주어진다
[루나(LUNA) 2호 1959
*출처 : International Astronautical Federation(국제우주연맹)]
처음 달에 충돌한 우주선은
지구에서 달까지 갈 수 있다는 사실을 증명했고
달을 촬영한 영상은
사람이 달을 밟을 수 있다는 사실을 확인해 주었다
[1990년대까지
미국과 러시아 주도의 달 탐사]
*출처 : NASA
달 토양시료는
단 하나뿐인 지구의 위성을 연구대상으로 만들었고
지난 60여 년간 그 임무는
점점 더 진화해 왔다
지금 세계가
한국의 달 탐사에 주목하는 이유 역시
다누리가 달에서 수행할
다양한 과학임무 덕분이다
[국제학술지 '네이처'
2022년 주목할 과학 이슈로 다누리 꼽아]
[달 표면 지형 촬영
자원 탐사
우주환경 조사
우주인터넷 검증]
다누리 임무소개
Korea Pathfinder Lunar Orbiter (KPLO)
[지형지물을 파악하기 위한 관측 촬영
자원 분포 등을 알기 위한 특수 촬영
빛이 없는 고을 찍는 고감도 촬영 등]
우주탐사에서 사진 촬영은
여러가지 의미를 갖는다
고해상도 카메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고해상도 카메라(한국항공우주연구원)
고해상도 카메라
LUTI
Lunar Terrain Imager]
고해상도 카메라는
달의 지형을 정밀하게 촬영한다
2030년 경
우리 달 착륙선이 탐사할 후보 지역을 집중적으로 촬영해
착륙 위험요소를 파악해 대처하고
탐사 가치가 높은 곳을 판단할 수 있는
우리만의 달 탐사 지형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다
광시야 편광카메라
(한국천문연구원)
[2.광시야 편광카메라(한국천문연구원)
광시야 편광카메라
Polcam
Wide-Angle Polarimetric Camera]
달 표면 입자의 물리·화학적 특성을 파악하는 것은
광시야 편광카메라의 임무다
달표면 입자의 크기, 모양, 풍화 정도를 조사해
달 뒷면을 포함안 전체 편광지도를 만드는 것을 목표로 한다
[*대기로 보호받고 있는 지구와는 달리 달은 우주환경에 직접
노출돼 우주풍화 작용을 겪는다]
[*편광현상
물체의 표면 특성에 따라
빛 반사의 방향이 다른 것을 이용해
물리적 특성 파악]
[광물과 자원 분포 조사
지질학적 진화과정 이해]
섀도캠
(NASA)
3.섀도캠(NASA)
쉐도우캠
ShadowCam
미국 NASA의 섀도캠은
태양빛이 영원히 직접 도달하지 않는 곳을 집중 촬영한다
[*섀도캠 감도(빛에 민감한 정도)
미국의 기존 달 정찰위성보다 80배 높다]
[*운석 충돌구(크레이터)는 영구음영지역]
항상 그림자가 드리워진 달의 남극,
북극의 충돌구
충돌구 내부에서
물의 증거와 암석 특성, 휘발성 물질을 밝혀내고
미국의 유인 달 탐사를 위한 선발대의 역할을 하게 된다
[*미국 유인 달 탐사
'아르테미스 계획' 2026년 이후 예정]
이 3대의 카메라가 달의 얼굴을 촬영하는 동안
2가지 측정 장비는 달의 속을 파헤친다
[감마선 분광기 : 달의 자원 분포 조사
자기장 측정기 : 우주환경 조사]
감마선 분광기
(지질자원연구원)
4.감마선 분광기(지질자원연구원)
감마선 분광기
KGRS
KPLO Gamma-Ray Spectrometer
달에는 인류가 활용할 수 있는
유용한 자원이 매우 풍부하다
[*대표적인 달 자원
희토류 : 활용가치는 높은데 지구에는 거의 없는 원소들
KREEP : 달의 암석과 광물을 구성하는 주요 원소
헬륨-3 :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불리는 핵융합의 연료]
감마선 분광기는
달 표면에서 방출되는 감마선 스펙트럼을
넓은 대역에서 검출해
달 표면에 존재하는
원소들의 분포를 지도처럼 그려낼 예정이다
[*달 표면의 원소들
물, 산소, 헬륨-3, 철, 칼슘,
티타늄, 규소, 라돈 등]
자기장 측정기
(경희대학교)
5.자기장 측정기(경희대학교)
자기장 측정기
KMAG
KPLO Magnetometer
[(Magnetic anomaly)
자기이상 현상은
주요 연구대상]
달은 지구만큼 강한 자기장이 없다
하지만 일부 지역에서는
이유를 알 수 없는 강한 자기장이 관측 되는데
아주 미세한 자기장의 변화까지 감지하는
자기장 측정기를 통해
달의 과거를 알려줄 수 있는
단서를 찾을 것으로 기대된다
우주인터넷 검증기
(전자통신연구원)
6.우주인터넷 검증기(전자통신연구원)
우주에서
지구와 언제든 자유롭게 통신할 수 있다면?
우주인터넷이 있다면 가능하다
[*우주인터넷 검증기
DTNPL
(지연 내성 네트워크 페이로드)]
[우주 인터넷 탑재체
DTNPL
Disruption Tolerant Network Payload]
지구를 바라볼 때만 통신하는 방식에서
여러 대의 탐사선과 위성을
지구의 중계기처럼 활용해
지연이나 끊김 없는
우주인터넷망을 만들기 위한 출발점이다
[*다누리 임무에서는?
달 궤도에서 문자와 파일,
동영상을 전송하는 시험 진행]
수많은 달 탐사 임무중
최초라는 타이틀도 중요하지만
무엇보다
우리 스스로 임무를 설계하고
독자적인
과학임무 탑재체를 개발해
대한민국 우주탐사의 첫 장을
우리 손으로 펼치는 것
우리만의
우주개발 데이터를 확보하는 것
달 탐사의 가치를
세계의 연구자와 공유하는 것이
우리가 달에 가는, 가야만 하는 이유다
KARI TV
KOREA AEROSPACE RESEARCH INSTITUTE
- VIDEO번호 V_S_MOON_220726_0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