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30411 (보도자료) 누리호 5월 24일 발사 추진.hwpx"

닫기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3.4.11.(화), 15:00
배포
2023.4.11.(화), 10:00
 
누리호, 5월 24일 발사 추진
- 발사 예비일은 5월 25일~5월 31일로 설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 는 4월 11일 「누리호 발사관리위원회(위원장 : 제1차관)」를 개최하여 누리호 3차 발사를 위한 준비 상황을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2023년 5월 24일(수)을 발사예정일로, 발사 예정시간은 18시 24분(±30분)으로 결정하였다고 밝혔다.
 
  이번 발사관리위원회에서는 누리호 3차 발사를 위한 준비 상황, 위성 탑재 일정, 최종 시험 계획, 발사 조건(기상, 우주환경, 우주물체 충돌가능성) 등을 면밀히 검토하여 발사 예정일(5월 24일)을 정하였으며, 기상 등에 의한 일정 변경 가능성을 고려하여 발사 예비일(5월 25일~5월 31일)을 설정하였다.
 
  또한 주탑재위성인 차세대소형위성 2호의 임무(영상 레이다 기술 검증, 근지구 궤도의 우주 방사선 관측 등) 수행 궤도(고도 550km)를 고려하여 발사 예정시간을 18시 24분(±30분)으로 확정하였다.  
 
  발사관리위원회에서 발사 준비 과정을 점검한 결과, 현재 누리호는 1단과 2단의 단간 조립을 완료하고 각종 성능 시험을 진행하고 있으며, 3단부에 탑재하게 될 8기의 위성*은 최종 환경 시험 등을 수행 중이다. 위성은 5월 1일~2일 사이 나로우주센터로 입고될 예정으로, 입고 후 약 3주간의 기간 동안 3단 내 위성 조립 및 1·2단과의 총 조립을 진행할 계획이다.
   * (주탑재위성, 1기) 차세대소형위성 2호
     (부탑재위성, 7기) 도요샛(4기), 져스텍(1기), 루미르(1기), 카이로스페이스(1기)
  또한 발사 준비 및 발사 과정에서 일어날 수 있는 비상상황을 철저히 대비하고 공공 안전을 확보하기 위해 지난 3월 1차 발사안전통제 훈련을 실시하였으며, 4월 말 최종 점검 종합훈련을 진행할 계획이다. 종합훈련에는 정부·군·경·지자체 등 11개 기관이 참여할 예정이며, 발사 당일과 동일한 조건에서 비상상황 발생을 가정하여 훈련·점검하게 된다.
 
  과기정통부 오태석 제1차관은 “누리호 3차 발사는 실용급 위성을 발사하는 최초의 시도이자 체계종합기업이 처음으로 참여한다는데 큰 의의가 있다” 라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체계종합기업, 관련 산업체가 모두 발사 준비에 전력을 다하고 있으며 과기정통부도 성공적인 발사를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담당 부서
거대공공연구정책관
책임자
과  장
김기석
(044-202-4640)
 
우주기술과
담당자
서기관
김미미
(044-202-4644)
    
 
 
참고1
 
 누리호 3차 발사 개요
 
□ 발사체 : 한국형발사체(누리호, KSLV-II)
 
 발사장소 : 나로우주센터(전남 고흥군 봉래면 하반로 508)
 
 ○ 동경 127.53도, 북위 34.43도
 
 3차 발사 예정일시
 
  ○ 2023년 5월 24일(발사 예비기간 : ‘23.5.25~5.31)
 
   - 발사예정시간 : 18시 24분(±30분)  
 
 3차 발사 탑재위성 : 차세대소형위성 2호(1기) + 큐브위성(7기)
 
  ○ 차세대소형위성 2호(개발 주관 : KAIST 인공위성연구소)
 
  ○ 큐브위성(개발 주관 : 져스텍, 루미르, 카이로스페이스, 한국천문연구원)
 
   - 국형발사체(누리호) 3호기의 3단에는 차세대소형위성 2호 탑재/분리 위한 장치큐브위성탑재/사출하기 위한 발사관으로 구성
     누리호 1차 발사에서는 위성모사체 발사, 2차 발사에서는 위성모사체성능검증위성(큐브위성 4기)를 발사(독자 개발한 한국형발사체를 통해 위성최초탑재하여 발사)
 
 
<한국형발사체(누리호) 3단의 위성 탑재>
참고2
 
 누리호 2차 발사와 3차 발사 차이
 
 국내 첫 실용위성 탑재 발사서비스
 ㅇ 누리호 3차 발사는 본격적으로 실용급 위성을 탑재·발사하는 발사체 본연의 역할을 최초로 수행
 체계종합기업이 최초로 발사에 참여
 ㅇ 국내 발사체 산업생태계 기술 수준 향상을 위해 ’22.10월 선정된 체계종합기업(한화에어로스페이스) 최초 발사 참여
   - 누리호 3차 발사에서 체계종합기업이 제작 총괄 관리, 발사 공동운용 역할 수행
    ※ 4차 발사부터는 발사운용관련 기술 습득 진척 상황을 고려하여 참여 범위 확대
 
<누리호 2차 발사 vs 3차 발사 비교>
 
누리호 2차(‘22.6.21)
누리호 3차(‘23.5.24)
발사 시간
16:00:00
18:24(±30분)
 ※ 위성 임무 궤도를 고려해 발사시간 고정
발사 고도
700km
550km
총 중량
201.5톤
200.4톤
위성
탑재
위성
성능검증위성 + 위성모사체
‣(주 탑재위성) 차세대소형위성 2호
‣(부 탑재위성) 도요샛(4기), 루미르, 져스텍, 카이로스페이스
위성부 중량
총 1,500kg
‣성능검증위성 180kg
질량모사체 및 위성사출장치 등 1,320kg
총 504kg
차세대소형위성 2호, 180kg
‣부 탑재위성 7기, 60kg
‣위성사출장치 및 어댑터 264kg
위성
분리
‣ 이륙 875초 후 1차 분리
 1차 분리 70초 후 2차 분리
‣ 이륙 783초 후 주탑재위성 분리
20초 단위로 7개 부탑재위성 분리  
총 비행시간
1,095초(18분 25초)
1,138초(18분 58초)
참고3
 
 누리호 3차 발사 탑재 위성 개요
 
 ㅇ 주탑재위성 제원
개발기관
위성명
시스템
KAIST 인공위성연구소
NEXTSAT-2
 - 임무수명 : 2년
 - 고도 : 550 km (태양동기궤도)
 - 크기(mm) :  974 x 1340 x 820 (발사 상태)
            5203 x 1340 x 820 (임무 상태)
 - 무게 : 179.9 kg
 - 임무 : 소형영상레이다 기술 검증, 근지구 궤도 우주방사선 관측, 핵심 과학기술 검증 등
 - 탑재체 : 영상레이다, 우주방사선관측기, 상변환물질 적용 열제어장치, X-대역 전력증폭기, GPS․Galileo 복합항법수신기, 태양전지배열기
 
 ㅇ 부탑재위성 제원
개발기관
위성명
임무 및 탑재체
시스템
져스텍
JLC-101-v1-2
 - 지구관측 영상활용을 위한 광학탑재체(4m급) 우주검증 영상 획득, 자세제어 시스템 우주검증
 - 탑재체 : 우주용 카메라(EO-IR)
 - 임무수명 : 6개월
 - 고도 : 550 km
 - 크기/무게 : 3U / 4kg
루미르
Lumir-T1
 - 우주방사능 측정 및 우주방사능에 대한 오류 극복기능 우주시연
 - 탑재체 : 방사능 검출기 포함한 마이크로 프로세스 보드
 - 임무수명 : 6개월
 - 고도 : 550km
 - 크기/무게 : 6U / 10kg
카이로
스페이스
KSAT3U
 - 지표면 편광 특정을 통한 기상현상 관측, 우주쓰레기 경감 기술 실증
 - 탑재체
   . 22mm 편광카메라
   . Deorbit System
 - 임무수명 : 1년
 - 고도 : 550 km
 - 크기/무게 : 3U / 6kg
한국
천문
연구원
SNIPE
(도요샛)
 - 근지구 우주 공간 플라즈마 미세구조의 시공간적 변화 동시 관측
 - 탑재체 : 입자 검출기(SST), 랑뮈어 탐침(LP), 자력계(MAG)
 - 임무수명 : 1년
 - 고도 : 550 km
 - 크기/무게 : 각 6U / 10 kg 총 4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