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50724(조간)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핵심 인프라 구축 본격 착수.hwp

닫기

보도자료

보도시점

2025. 7. 23.(수) 12:00

2025. 7. 24.(목) 조간

배포

2025. 7. 23.(수) 09:00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핵심 인프라 구축 본격 착수

- KTsat 금산위성센터(충남 금산)에서 KPS 안테나국 착공식 개최

우주항공청(이하 우주청’) 윤영빈 청장은 7월 23일(수) 오전, 충남 금산 KTsat 금산위성센터를 방문하여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orean Positioning System, 이하 KPS’) 안테나국 착공식참석하고 관련 연구자들과 만남의 시간을 가졌다.

KPS 개발 사업한반도 인근 지역에 초정밀 위치·항법·시각(이하 PNT’) 정보를 제공하는 지역위성항법시스템을 개발하는 사업이다. PNT(Positioning, Navigation, Timing) 정보는 교통·통신·금융경제·사회 전반의 기반 인프라될 뿐만 아니라 응급구조, 재해예측과 같은 사회 안전 분야에서도 활용되는 중요한 정보이다. KPS 개발을 통해 한반도 인근의 위치 정보 정확도를 높이안정적인 PNT 정보 체계를 확보할 것으로 기대된다.

KPS는 위성·지상·사용자시스템으로 구분된다. 위성의 신호를 바탕으로 지상에서 항법메시지를 생성하여 다시 사용자들에게 PNT 정보를 제공한다. 지상시스템은 여러 가지 하위시스템으로 구성되며, 각각 항법메시지를 생성하는 통합운영센터, 위성 운영을 총괄하는 위성관제센터, 위성으로 신호를 송신하는 안테나국, 항법신호를 수신하는 감시국, 서비스별 보정정보를 생성하는 임무제어국이다.

KPS 지상시스템 중 최초로 구축에 착수하는 안테나국항법데이터위성으로 전송하고, 위성 상태감시 및 조정을 위한 관제명령·수신하는 시설이다. KPS 위성 1호기 관제를 위해 KTsat 금산위성센터2기의 안테나를 구축하며, 향후 전체 KPS 위성을 발사하기 전까지 지상 하위시스템을 순차적으로 구축할 예정이다.

이번 착공식에는 KPS 개발 사업에 참여하는 부처, 연구개발기관 및 업체 관계자들이 참석하였으며, 윤영빈 우주청장은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 서영수 KTsat 대표와 함께 김대관 KPS개발사업본부장의 KPS 연구개발계획 발표를 듣고 관련 연구자들에게 격려의 말을 전했다.

이상철 한국항공우주연구원장은 KPS 안테나국 착공은 대한민국 PNT 자립의 첫걸음이다. 세계에서 7번째로 개발되는 KPS 위성항법시스템으로 글로벌 우주항법 시장에서 한국의 위상을 높이겠다라고 말했다.

윤영빈 우주청장은 오늘 KPS 안테나국 착공식은 정밀한 위성항법 체계 구축의 첫 단추라고 강조하며, KPS 정밀농업, 자율주행, 재난대응 등 국내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인프라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적극 뒷받침하겠다라고 밝혔다.

붙임: (참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 개요 1부. 끝.

담당 부서

인공위성부문

책임자

과 장

이병선

(055-856-5250)

한국형위성항법개발프로그램

담당자

사무관

황소정

(055-856-5256)

담당 부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KPS지상사용자시스템개발부

책임자

부 장

이은성

(042-860-2787)

지상체계개발팀

담당자

팀 장

박덕종

(042-860-2721)

참고

한국형 위성항법시스템(KPS) 개발 사업 개요

KPS 개발 사업 개요

(목적) 한반도 인근 지역에 초정밀 위치·항법·시각(PNT) 정보를 제공하여, 국가 인프라 운영안정성 확보신산업 육성

(참여부처) 우주항공청(주관), 국토부, 해수부, 해경청 등

(사업기간/총사업비) ’22~’35(14년) / 총 3조 7,234.5억원(예타 기준)

(사업내용) KPS 위성·지상·사용자시스템의 개발

(기대효과) 세계 7번째*자체 위성항법시스템구축하여, 국가 PNT 관련 인프라안정성을 확보하고 관련 산업육성

* 현재는 6개국(美, 러, EU, 中, 印, 日)만이 항법위성을 보유 중

< KPS 기본 구성 및 작동 원리 >

< 참고 : 위성항법시스템 국외 개발 현황 >

구분

전지구 위성항법시스템

지역 위성항법시스템

GPS

(미국)

GLONASS

(러시아)

Galileo

(유럽연합)

BDS(III)

(중국)

NavIC

(인도)

QZSS

(일본)

운영 위성 수

30

24

27

44

6

5

개발 착수

’73

’76

’02

’94

’06

’02

첫 위성 발사

’78

’82

’05

’00

’13

’10

개발 완료

(당초 계획)

’95

(-)

’11

(’95)

’25

(’13)

’20

(-)

’18

(’12)

’26 예정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