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313599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연료탱크 제조 社
· 항공부품/장비 개발/
제조 社
· 항공기용 연료탱크 분야
· 항공부품/장비 유지 보수 분야
유리섬유가 포설된 연료셀 및
상기 연료셀의 감시시스템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2017년 세계 항공 MRO
(기체정비 수리)산업 시장 규모는
600억 달러로 전망되며, 아시아,
태평양 시장만 153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김성찬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3.09.25 국내 특허등록 완료
유리섬유로 구성된 연료탱크 실시간 감지 센서의 구성
• 유리섬유
- 연료차폐층, 내부고무스컷, 자기밀폐층 및 외부 고무스컷의
순서로 적층되며, 연료차폐층과 외부 고무스컷 사이에 포설
• 연료셀
- 유리섬유 및 유리섬유의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을 구비
• 광원
- 유리섬유의 다른 일 단자로 일정한 파장의 빛(펄스 형태)을
입사
• 수광장치
- 유리섬유의 다른 일 단자로부터 방출되는 빛을 수신
<연료탱크 감시시스템 예)>
<유리섬유의 단면도>
내부고무스컷
연료차폐층
산란판
연료셀
외부고무스컷
자기밀폐층
유리섬유
입사광
광원
수광장치
반사광
피복층
아라미디얀
수지
클래딩
코어
입사광
유리섬유로 구성된 연료탱크 실시간 감지 센서
기/술/개/요
연료탱크 적층소재 사이에 유리섬유를 포설하여, 연료탱크 내부의 연료 또는 외력에
의해서 적층소재의 밴딩 또는 파손을 감시함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유리섬유를 사용함으로써, 항공기의 기동 중의 항공기의 흔들림에 의한 진동이나 전자장비의
사용으로 인한 전자기파에 의해 방해를 받지 않고 연료탱크의 상태를 감시할 수 있음
검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낭비요소를 감소시키며 검사를 실시간 그리고 단시간에 수행함
• 연료탱크에 밴딩이나 절단이 없는 경우 유리섬유의 일
단자로 유입된 빛은 다른 일 단자에 설치된 산란판에서
산란되어 반사되어 되돌아 가지 않음
• 유리섬유가 밴딩, 꼬임 및 절단되는 경우 유리 섬유를
진행하던 일부의 빛은 밴딩 된 면 및 절단면에 반사되어
진행을 거슬러 되돌아 감
- 유리섬유의 이러한 특성을 이용하는데 연료탱크의 밴딩
되거나 절단된 면으로부터 반사되는 빛을 모니터하고
반사시간 등을 측정하여 밴딩되거나 절단된 부위를 즉각
적으로 인지할 수 있음
현재 연료탱크 검사는 항공기 기동 전단계에서만 하고
있으며, 검사방법은 연료탱크를 기체로부터 떼어 검사
장소로 옮긴 후, 연료탱크 전체의 외관검사를 실시하고
문제가 있다고 판단된 부분에 대한 정밀검사를 수행하
는 방식으로 검사가 이루어짐
- 문제가 있다고 판단되면, 연료탱크를 분해해야 하는데,
분해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과다절개로 인한 정상 부분의
손상을 추가로 발생하게 하거나 절개과정에서 문제가 있는 부분의 이상발생원인이 소멸
등의 문제가 발생함
- 장시간에 걸친 검사 시간과 인력의 소요 등 낭비요소가 많음
유리섬유
빛
연료탱크
산란판
- 43 -
- 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