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388082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유/무인기 개발/제조 社
· 무인항공기 분야
무인 항공기의 랜딩 보조 장치 및
이의 작동 방법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시계 무인 비행기 시장은 2020년
까지 연평균 8%이상 성장하여
114 억 달러 규모로 성장 할
것으로 전망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이장호 선임연구원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4.04.16 국내 특허등록 완료
무인 항공기 랜딩 보조 장치의 구성
• 무인 항공기의 하부에 설치되며, 내부에 선형 모터가
설치되는 케이스
• 케이스의 내부 양측에 설치되어 선형 모터의 작동에
의해 케이스의 외부로 전개되는 제1, 2랜딩 플레이트
로 구성된 랜딩 유닛
• 무인 항공기의 랜딩 휠에 설치되어 랜딩 휠과 지면의
접촉 여부를 감지하는 감지 센서
• 감지 센서의 감지 결과에 따라 선형 모터를 작동시키
는 제어부
제1 랜딩 플레이트
제2 랜딩 플레이트
랜딩 휠
케이스
랜딩 유닛
제어부
감지 센서
<랜딩 보조 장치 >
<랜딩 보조 장치가 설치된 무인 항공기>
<패널 제조장치의 구성>
무인 항공기의 랜딩 보조 장치
기/술/개/요
무인 항공기의 하부에 설치되는 선형 모터에 의해 랜딩 유닛을 무인 항공기의 양측으로
전개함으로써, 무인 항공기 착륙 시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하여 무인
항공기의 파손을 방지하는 무인 항공기 랜딩 보조 장치 기술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무인 항공기 착륙 시 랜딩 유닛을 양측으로 전개하여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 지는 것을 방지
무인 항공기 파손 방지
항공기 파손 방지를 통한
유지보수 비용 절감
• 무인 항공기는 산업용, 군사용, 레져용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 가능하며, 이에 활용 목적에 따라
다양한 종류 및 가격대의 항공기가 출시되고 있음
→ 무인 항공기의 가격은 30만원 수준부터 수억 원
대로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형성
• 군용무인기 글로벌호크의 대당 가격
약 230억원(NASA)
→ 고가의 무인 항공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하여,
유지보수 비용 절감이 가능함
• 무인 항공기 착륙 시 랜딩 휠에 설치된 감지 센서를
통해 랜딩 휠과 지연의 접촉여부를 판단함
• 랜딩 휠이 지면과 접촉될 경우(착륙) 랜딩 유닛이
무인 항공기의 양측으로 전개됨
→ 바람 등의 외부 요인에 의해 무인 항공기가
기울어지더라도 항공기 양측으로 전개된 랜딩
유닛이 동체를 지지하여 뒤집어지는 것을 방지
무인 항공기 착륙 시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 지는 사고가 빈번하게 발생
- 종래 무인 항공기 착륙 장치는 항공기 하부에 랜딩 휠이
구비되어 있으며, 랜딩 휠이 지면과 접촉됨에 의해 무인
항공기가 착륙하게 됨
→ 그러나 무인 항공기는 일반 항공기에 비해 경량으로
제작되기 때문에, 착륙 시 바람 또는 공기의 저항 등에
의해 항공기 동체가 뒤집어져 무인 항공기가 파손되는
문제가 발생함
랜딩 휠
- 47 -
- 4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