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우주파편분석시스템.pdf

닫기

background image

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0-1371399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위성운영기관 및
  위성운영서비스 사업자

· 인공위성

 

인공위성의 우주파편 충돌회피기동

계획 및 시스템 및 방법

10-1222501

한국

인공위성과 우주파편 사이의

충돌위험관리 시스템 및 방법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10cm 이상 크기의 우주쓰레기는
  1만 9,000개, 1cm이하는 수천만개에
  이름
* 국제우주정거장(ISS)이 쓰레기 충돌을
  피해 궤도 수정한 횟수가 12번임
* 우주쓰레기 문제 대처를 위한 국제
  적인 규제가 논의되고 있으며, ISO
  표준안을 제정하는 등 향후 우주파편
  분석시스템을 필수적으로 구축해야만
  할 것으로 전망되므로, 시장 전망은
  매우 긍정적임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김해동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다양한 임무운용 지원 및 다수의 사용자들이 동시에 운용할 수 있는 우주파편 충돌위험
관리 시스템. 시제품을 제작하였음

우주파편 충돌위험관리 시스템의 구성

<우주파편 충돌분석 자동화 시스템 구성도>

<단계별 업무수행 흐름도>

우주파편 충돌위험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기/술/개/요

인공위성과 우주물체와의 충돌위험을 분석하고, 충돌위험도에 따라 접근하는 우주물체에
대한 정밀궤도결정 및 예측을 통해 최종적으로 최적화된 충돌회피기동 계획을 수립함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국내 독자설계, 다양한 사용자 요구 반영(상용 SW기반)

위성운영경험 및 사용자 편의를 고려한 UI 및 절차

충돌위험을 동시다발적으로 자동 관리할 수

있어서 시스템 운용비용을 절감함

미래 환경 변화를 대비한

우주공간의 주도권 확보

• 우주개발 선진국은 자국의 위성을 우주파편으로
  부터 보호하기 위해 충돌분석 시스템 및 충돌판단
  방법을 개발하여 운영중임

• 우주파편과의 충돌위험 완화, 우주파편제거, 우주
  물체 폐기에 관한 국제적인 가이드라인이 확립
  중이어서 국제적인 규제가 의무화될 경우 필수
  보유 시스템으로 요구될 가능성이 높음

• 서버-클라이언트 및 웹기반 서비스 접목을 통한
  우주파편 충돌위험 분석시스템의 고부가가치 제고

• 우주파편과의 충돌로부터 우주자산 보호 및 위성
  운용 수명 연장을 통한 위성서비스 수입 극대화

<우주파편 충돌위험 관리시스템 기능>

1~10cm 크기의 우주쓰레기가 50만개 이상으로 해마다 증가되고 있고, 인공위성을 보호하기
위한 우주파편 충돌위험분석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음
그러나 이 시스템 대부분이 사용자가 수동으로 판단 및 조작하는 있는 실정임

<지구 주위를 떠도는 우주쓰레기>

<지구 궤도에 존재하는 우주파편 월별 개수 현황>

- 31 -

- 3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