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2006112132357_1.hwp

닫기

산업자원부 보도자료

http//www.mocie.go.kr

2006년 11월 4일(토) 조간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자료문의 : 기계항공팀 남기만 팀장, 배준형 사무관(2110-5624)

국내 민수분야 항공기 첫 수출

󰠲󰠲󰠲󰠲󰠲󰠲󰠲󰠲󰠲󰠲󰠲󰠲󰠲󰠲󰠲󰠲󰠲󰠲󰠲󰠲󰠲󰠲󰠲󰠲󰠲󰠲󰠲󰠲󰠲󰠲󰠲󰠲󰠲󰠲󰠲󰠲󰠲󰠲󰠲󰠲󰠲󰠲󰠲󰠲󰠲󰠲󰠲󰠲󰠲󰠲󰠲󰠲󰠲󰠲󰠲󰠲󰠲󰠲󰠲󰠲󰠲󰠲󰠲󰠲󰠲󰠲󰠲󰠲󰠲󰠲󰠲󰠲󰠲

- 라이트형제의 나라 미국에 항공기를 수출하다 -

산업자원부(장관:정세균)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백홍열)은 순수 국내기술로 개발한 4인승 소형항공기 반디호(firefly)민간항공기로는 국내 최초로 세계 최대 소형항공기 시장인 미국에 10.31일자로 최종 수출되었다고 밝혔음

반디호의 제작판매를 맡고 있는 신영중공업(대표:홍의석) 2006년 4월 26일에 미국의 Proxy Aviation사와 계약을 체결하였고 7월 10일에 미국으로 선적하여 8월부터 미국 현지에서 재조립 및 비행시험을 성공적으로 마치고 지난 10월 31일에 납품함으로써 최종적으로 수출이 완료되었음

이번 반디호의 수출은 미국에서 진행된 공개경쟁 비행시험에서 이륙중량 1,540kg으로 6,100m 고도까지 성공적으로 비행함으로써 미국 Velocity사 등의 경쟁기종을 물리침으로써 국내 항공기 기술개발 기술력의 우수성을 세계시장에서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의미가 큼

이번 수출을 계기로 신영중공업과 Proxy Aviation사는 현재 추가 수출협상을 진행중이며, 12월경에는 향후 2년간 총 60대의 추가 수출계약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

반디호의 수출가격: 1대당 29만불

반디호는 항우연이 ‘97년부터 5년간 개발(’97-‘02, 30억원)연구용 시제기로서 ‘04년 미국의 저명한 거스 매클라우드 탐험조종사가 남극점을 거쳐 남미대륙을 횡단함으로 소형기 시장에서 국제적 인지도를 확보하였음

산자부는 증가하는 세계 소형항공기의 수요에 대비하여 ’02에서 ‘06년간 총 42억원(정부 30억원, 신영중공업 12억원)을 투입하여 비행형상(디자인 및 복합재)과 기계장치(고정식 접이식 랜딩기어) 개선을 위한 실용화상용화 R&D를 지원하였음

반디호는 일반 항공기와 달리 수평꼬리날개를 동체 앞에 있는 선미익기(canard)로서 저속에서도 안정적인 비행이 가능함

특히, 조종간(stick)이 아닌 자동차처럼 핸들(Wheel) 방식을 채택함으로 사용자편의성이 높고, 성능 대비 가격이 상대적로 낮아 국제경쟁력이 있음

금년말 미국에 대한 대량 수출이 성사될 경우 반디호는 미국을 비롯한 세계 전역에 훈련용 및 레저용 등의 다양한 용도로서 수출이 활성화될 것으로 기대

반디호 판매협상 현황(06.06.기준)

일 시

수출국 및 기관

 

비 고

2004. 10.

터어키 (항공대학)

조종훈련용

미국 수출로 수출협상 활발 예상

2004. 11.

사우디아라비아 (플랜토 농장)

농약 살포용

2004. 12.

한국 성화대학 (조종과)

학생 훈련용

2005. 02.

미국 uas

비사업 운송용

2005. 02.

미국 Infinity

레져용

2005. 02.

미국 알라스카

자가용

2005. 05.

사우디아라비아 (GT그룹)

비행 학교용

2005. 05.

재미 교포 (브랜들리 박사)

레져용

2005. 05.

앙골라 교통부

관용

2005. 05.

미국 STI

레져용

2005. 05.

미국 V.E.D.P

레져용

2005. 06.

말레이시아 공군

공군 훈련용

2005. 06.

브루나이 왕가

레져용

2005. 06.

오만 대사관

비사업 운송용

2005. 06.

사우디 아라비아 (Wallan 그룹)

레져용

산자부와 항우연은 반디호의 첫 수출을 기념하기 위해 11월 3일(금) 오후 2시 충남 태안군 안면도에 위치한 한서대학교 태안비행장에서 공개비행행사를 개최할 예정임

공개비행 행사에 즈음하여 산자부 정세균 장관소형항공기는 선진국과 국내 기술의 차이가 적어 해외시장 진출이 용이하므로 우리에게 경쟁력이 있다고 평가하면서

세계적으로 고도화첨단화되는 소형항공기 개발추세에 대비하여 보다 안전하고, 안락하면서도 최첨단의 기계 및 전자장비를 갖춘 비행기를 제조할 수 있는 기술력을 갖출 수 있는 방향으로 R&D를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음

첨부: 1. 공개비행 행사계획

2. 반디호 개요(제원, 개발경과, 사진)

1

공개비행 행사계획

일시 및 장소 : ‘06.11.3(금) 14:00~15:20/한서대(충남 태안 소재)

충청남도 태안군 소재 한서대학교 태안비행장

참석(100여명)

ㅇ 산자부 차관(이원걸), 항우연 원장(백홍열),

한서대 총장(함기선), 신영중공업 사장(홍의석)

ㅇ 연구기관 : 국과연(ADD), ETRI, 산업기술평가원 등

지자체(태안군수, 태안군 의회의장), 기타 항공우주학회, 협회, 지역주민 등

주요 행사진행 순서

공식행사(14:00 ~ 14:20)

반디호 개발경과 보고 및 환영사(항우연), 축사(한서대),격려사(차관님)

기념촬영 및 공개비행(14:21 ~ 15:20) * 우천시 실내행사(동영상)로 대체

ㅇ 반디호 관람 및 기념촬영(15‘), 공개비행(20’)

ㅇ 착륙 후 다과회(25‘)

시 간

수출기념 공개비행

비고

14:00~14:03(3분)

개식선언 / 국민의례

14:03~14:06(3분)

반디호 개발 추진경과 보고

단장

14:06~14:09(3분)

환영사

원장

14:09~14:12(3분)

축사

한서대총장

14:12~14:17(5분)

격려사

산자부차관

14:17~14:27(10분)

반디호 관람 및 기념촬영

14:27~14:30(3분)

비행전 점검 및 항공기 시동

14:30~14:35(5분)

항공기 활주로 이동 및 이륙준비

14:35~14:55(20분)

기념 비행

이륙 / Low Pass / 착륙

15:00~15:20(20분)

다과회 (건배제의 : 산자부 차관)

개발관계자 격려

2

반디호 개요

가. 성능 및 제원

최대 중량

1,225 kg

최대 속도

330 km/h

적재 연료량

225 리터

순항 속도

300 km/h

전 장

6.6 m

최소 속도

120 km/h

전 폭

10.4 m

최대 상승률

6.5 m/s

객실 폭

1.2 m

이륙 거리

430 m

객실 높이

1.1 m

항속 거리

1,850 km

나. 반디호 개발경과

1997년 : 선미익 관련 자료 수집 및 형상설계를 비롯한 개념 설계를 수행

○ 1998 : 공력 해석과 구조설계 및 해석 등의 예비 설계를 수행하였고, 재료 시편 강도 시험과 구조물 단품 하중시험을 수행 (유사기종을 제작)

○ 1999 : 전기 풍동모델을 제작하여 풍동시험을 수행, 시스템 상세설계를 수행, 엔진 테스트 베드를 제작하여 엔진 성능시험 수행, (유사기종 항공기의 비행시험을 통하여 설계 데이터를 추출하였고 조종사의 조종 적응용으로 사용하였음)

○ 2000 : 구조시험용 주익을 제작하여 정하중 강도시험을 수행함으로써 구조물의 안전성을 확인하였음, CAD를 이용한 Digital Mock-up 구축을 완료, 조종계통 Iron Bird 제작하여 항공 기 안전과 조종성에 가장 중요한 조종계통의 작동성과 간섭을 검토하였음. 비행시제기 구조물을 본격적으로 제작

○ 2001 : 구조물 제작/조립과 시스템 장착을 완료하고 지상성능 시험 등을 수행하였고 건교부로부터 비행시험 허가를 득한 뒤 9월 21일 한국항공대학교 활주로에서 초도비행에 성공함.

○ 2002년 : 8월 미국의 오쉬코쉬 에어쇼 반디1호기를 전시, 관람객으로부터 많은 호평을 받았음

12월부터 참여기업(신영중공업)과 공동으로 산업자원부에서 지원하는 “4인승 선미익형 항공기 수출 모델 개발 사업통하여 반디호를 해외시장에 수출하기 위한 실용화 사업을 시작함.

○ 2003년 : 실용화 시제기의 개념/기본설계 완료

○ 2004년 : 미국 플로리다의 세바스찬에서 세계 최초 남북극점 경유, 세계비행이라는 대장정 시작 (당시 비행거리는 약 21,200nm (39,300km)로 거의 지구 한바퀴를 비행한 거리기록) : 현재 반디 1호기의 누적비행거리는 44,000 km임.

미국 플로리다의 Sun N Fun 에어쇼 (4월) 및 오쉬코쉬 에어쇼(8월)에 반디1호기를 전시함.

실용화 시제기의 주익/미익/치공구 설계 및 제작

○ 2005년 : 실용화 시제기의 각 계통별 설계/제작/시험 완료

○ 2006년 : 실용화 시제 1호기 최종조립 완료

실용화 시제 2호기 최종조립 완료 및 미국 선적 (7월 10일) 실용화 시제 1호기 초도비행 성공 (7월 21일)

실용화 시제 2호기 미국 내 재조립 및 초도비행성공 (9월 22일)

실용화 시제 2호기 최종 납품완료 (10월 31일)

다. 반디호 사진

반디 실용화1호기의 지상 활주 모습 (한서대 태안비행장)

반디 실용화1호기의 이륙 모습

반디 실용화1호기의 착륙 모습

반디 실용화 2호기의 동체와 주익을 포장하는 모습 (항우연)

반디 실용화 2호기의 이송 모습 (항우연)

반디 실용화 2호기의 미국 도착 모습

반디 실용화 2호기의 착륙장치가 접힌 모습 (미국)

반디 실용화 2호기의 주행시험 모습 (미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