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0223 조간 (보도) 200대 중점우주기술 개발 로드맵 확정.hwp
|
보 도 자 료 |
|
||
http://www.msip.go.kr |
||||
보도일시 |
2017. 2. 23.(목) 조간(온라인 2. 22. 16: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16. 2. 22.(수) 09:00 |
담당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과 |
|
담당과장 |
김성규(02-2110-2430) |
담 당 자 |
배진훈 주무관(02-2110-2438) |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확정 -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에서 2017년도 우주분야 주요 시행계획 등 함께 의결 -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2월 22일(수) 12개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26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개최하였다.
*「우주개발진흥법」 제6조에 근거한 국가우주위원회 산하 민‧관 합동위원회 (위원장 : 미래창조과학부 제1차관 홍남기)
□ 이날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는 현재 우리나라의 우주기술 현황을 면밀히 분석하고, 우주개발 임무를 달성하기 위해 반드시 필요한 중점기술과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구체적으로 제시한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을 확정하였다.
ㅇ 이와 함께, 정부는 한국형발사체 개발(2,200억원),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등 달 탐사 본격추진(710억원) 및 인공위성 독자개발(2,184억원) 등 총 6,703억원 규모의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을 수립하였다.
* (’15년) 6,248억원 → (’16년) 7,278억원 → (’17년) 6,703억원 (’15년, ’16년은 집행액 기준)
ㅇ 또한,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2017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2017년도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도 의결하였다.
□ 미래부 홍남기 제1차관은 “우주기술 개발 로드맵 수립은 주요 우주 선진국에 비해서는 늦었지만, 우주 분야 핵심 기술력 확보의 기틀을 마련했다는데 의의”가 있다고 강조하며, “향후에도 우주개발에 대한 장기적 비전 및 도전정신과 함께 분명한 목표의식을 가지고 추진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 각 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호】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 동 안건은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14〜’40)」(이하 ‘중장기 계획’)에 제시된 2040년까지의 우주개발 프로그램을 성공적으로 추진하는 데 필요한 중점기술을 도출하고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으로 작년 12월 제11회 국가우주위원회에 보고된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수립 추진현황」의 최종 결과물이다.
ㅇ 그간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은 미국, 러시아 등 우주개발 선진국을 빠르게 뒤쫓기 위해 인공위성, 발사체 등 임무 달성에 주력하다 보니 기술 단위의 분석과 개발전략 수립에는 부족했던 것이 사실이다.
ㅇ 이에, 미래부는 중장기 계획 상의 임무와 기술개발 간 전략적 연계성을 강화하기 위해 지난 1년간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임무 달성에 필요한 수요기술을 도출하고 이 중 우선적으로 독자개발이 필요한 중점기술을 선정한 후 이를 확보하기 위한 전략을 마련하였다.
ㅇ 먼저, 중장기 계획에 제시된 2030년까지*의 임무 달성에 필요한 수요기술 754개를 도출하였고, 이 중에서 시급성, 경제성, 중요성 등을 고려하여 200대 중점기술을 선정하였다. 각 중점기술에 대해서는 기술 성숙도가 높은 기술은 위성사업, 발사체 사업 등 체계사업을 통해 바로 확보하고, 기술성숙도가 낮은 기술은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출연연 주요사업 등을 통해 기술성숙도를 향상시킨 후 체계사업에 적용하는 전략을 제시하였다.
* 중장기 계획에서 기술의 성능을 도출할 수 있는 2030년까지를 대상으로 선정(2030년 이후는 방향성을 제시한 비전 성격임)
□ 미래부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출연연 주요사업 등의 신규과제 기획에 동 로드맵을 반영하고, 관련 예산 확보에도 활용할 계획이다.
ㅇ 또한 급변하는 우주개발 환경을 반영하여 지속적으로 업데이트할 예정이며, 향후 관계부처 뿐만 아니라 산업체에서 우주개발을 해나가는 데 있어 동 로드맵이 중요한 이정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한다.
【제2호】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
□ 정부는 2017년 우주개발 분야에 총 6,703억원을 투입한다. 이는 2016년과 비교하여 575억원이 감소한 규모*로 대부분 한국형발사체개발사업과 우주센터 2단계 사업의 감소분이다. 하지만 2015년보다 증가된 규모로 우주개발 분야 예산 투입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 (’15년) 6,248억원 → (’16년) 7,278억원 → (’17년) 6,703억원 (’15년, ’16년은 집행액 기준)
ㅇ 독자 우주개발 추진을 위한 자력발사능력 확보를 위해 한국형발사체개발을 지속 추진(2,200억원)하고, 2016년에 신규 착수한 달 탐사도 달 궤도선 상세설계 착수, 미국 NASA와의 협력 등 사업을 본격적으로 추진(710억원)한다.
ㅇ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개발(2,184억원)을 위해 다목적실용위성 6호 및 7호, 차세대중형위성 1호, 정지궤도복합위성 2A/2B호를 지속 개발하고, 올해 말에는 우주핵심기술 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를 위한 차세대소형위성 1호를 발사할 예정이다.
【제3호】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 우주물체의 추락․충돌 등 우주위험으로부터 국민 안전과 우주자산을 보호하기 위해 대응체계를 확고히 해 나간다.
ㅇ 먼저, 소행성 등 자연우주물체 사고에 효율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관계부처 임무와 역할을 새로이 반영하여 매뉴얼을 강화하고, 우주물체사고 대응 민관군 합동 훈련(‘17.5월) 등을 실시한다.
ㅇ 또한, 우주위험의 감시․대응 기술 확보를 위해 ‘16년에 구축한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네트워크의 시범운영에 착수하여 획득 정보의 분석 등을 통한 활용연구를 진행할 예정이다.
ㅇ 그리고 소행성 등 우주물체의 지구 충돌에 대해 준비 중인 UN 등 국제기구와 우주위험에 공동대응하기 위한 협력 기반을 다져나갈 계획이다.
【제4호】 2017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 국가전략 자산인 위성정보의 효과적 활용을 통해 위성개발 성과를 국민 삶의 질 제고로 연계해 나갈 예정이다.
ㅇ 국가위성 통합운영계획 마련과 함께 위성 운영 시스템 고도화로 위성정보 관리․활용체계를 고도화하고,
ㅇ 차세대중형위성 범부처 활용계획 수립을 통한 위성정보의 효율적 활용과 더불어 페루와의 공동위성운영으로 위성영상 획득량을 높여갈 예정이다.
ㅇ 또한, 부처별 공통 활용기술의 다부처 협업개발을 신규 추진하여 공공부문 위성정보의 효율적 활용기반 마련과 함께,
ㅇ 신규서비스 창출이 가능한 분야에 대한 관계부처 공동연구를 추진하여 위성정보기반의 신산업 창출도 촉진하고자 한다.
【제5호】 2017년도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
□ 우주개발사업의 산업체 참여확대와 우주제품 수출 지원 등으로 신규 일자리 창출과 함께 우주산업 경쟁력을 제고해 나가고자 한다.
ㅇ 남미, 동남아시아 등 우주제품 수출 가능국 공동워크숍 개최와 더불어 한-페루 공동위성운영(6월)을 통한 산업체의 위성정보 시장진출을 지원할 예정이며,
ㅇ 산업체 주관의 차세대중형위성 2단계 개발(3~8호, ‘18~’25년) 추진 등 국가우주개발사업의 산업체 참여를 지속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ㅇ 또한, 다목적실용위성 7호(0.3m급) 본체 출연연-산업체 공동개발로 산업체 기술수준 고도화는 물론 우주부품시험센터 구축(‘16~’18년)으로 주요 우주부품의 국산화 기반도 마련하고자 한다.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배진훈 주무관 (☎ 02-2110-2438), 안건별 담당 서기관/사무관(참고)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 고 |
안건 요약 |
<1호>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김정훈(☎ 02-2110-2436)
1. 추진 배경
ㅇ「우주개발 중장기 계획(’14-’40)」에 제시된 우주개발 프로그램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200대 중점기술 도출 및 확보전략 수립 추진
2. 기본 방향
ㅇ (중장기 계획 상 임무 달성 중심) 위성(본체/탑재체), 발사체(본체/엔진), 우주관측탐사 분야에 집중(미래기술 및 기술 성숙 분야는 제외)
ㅇ (임무와 기술간 연계성 강화) 사업간 연계 및 전략적 기술개발을 위해 임무적용이 필요한 기술에 대한 전반적인 파악과 확보전략 마련
ㅇ (실행력 강화) 중장기 계획과 기술로드맵을 함께 마련하도록 제도화,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등 예산에 반영, 유지‧관리를 위한 추진체계 구축
3. 주요 내용
<수요기술 도출 및 중점기술 선정>
ㅇ 중장기 계획 상 임무 관련 기술 가운데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과 연계하여 주요하게 확보해야 할 수요기술(754개) 도출
ㅇ 수요기술에 대해 시급성, 경제성, 중요성 등을 평가하여 분과별로 상위 30% 내외의 200대 대한민국 중점우주기술 선정
대분류 |
수요기술 |
중점기술 |
선정 비율 |
위성본체 |
220 |
23 |
10.5 % |
위성탑재체 |
103 |
52 |
50.5 % |
발사체본체 |
189 |
45 |
23.8 % |
발사체엔진 |
111 |
55 |
49.5 % |
우주관측탐사 |
131 |
25 |
19.1 % |
합계 |
754 |
|
26.5 % |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 마련>
ㅇ 해당 중점기술이 가장 먼저 적용되는 임무를 기준으로 로드맵 작성(이후 관련 임무에 지속 적용)
ㅇ 기술 현황 및 확보 방법(사업)을 명시하고, 기술개요서를 통해 개별 중점기술에 대한 상세 정보 제공
위성본체 |
구조계 |
주구조물 |
복합재 구조체 (저궤도용) |
<기초> |
차중(기상) |
||||||||||||||
▲ |
● |
● |
● |
||||||||||||||||
붙임1 |
한-미-일 우주기술 로드맵 범위 비교 |
□ NASA 우주기술 로드맵은 14개 기술영역(Technology Area: TA), 69개 중분류, 292개 소분류, 1,268개 기술로 구분
ㅇ 63개 중분류(항공 분야 제외) 중 우리가 개발 중이거나 예정인 분야(중장기계획 기준)는 41개(65%)이며, 미개발 분야는 22개(35%)로 분석
ㅇ 일본은 NASA 중분류 63개 중 49개(78%) 분야에 관련 연구 진행
TA |
대분류 |
중분류 |
||||||||
1 |
발사 추진 시스템 |
고체 로켓 추진 시스템 |
액체 로켓 추진 시스템 |
보조 추진 시스템 |
기타 추진 시스템 (공중발사 등) |
기구(Balloon) 발사 시스템 |
||||
◇ |
◇ |
◇ |
||||||||
◉ |
◉ |
◉ |
||||||||
2 |
우주 추진 기술 |
화학 추진 |
비화학 추진 (전기, 태양돗 등) |
기초 수준의 진보된 추진 기술 (빔 에너지 추진 등) |
지원 기술 (추진제 저장 등) |
|||||
◇ |
◇ |
◇ |
||||||||
◉ |
◉ |
|||||||||
3 |
우주 동력/ 에너지 저장 |
동력 생성 |
에너지 저장 |
동력 관리/분배 |
||||||
◇ |
◇ |
◇ |
||||||||
◉ |
◉ |
◉ |
||||||||
4 |
로보틱스, 자율 시스템 |
센싱/감지 |
이동성 |
조종 |
인간-시스템 상호작용 |
시스템 레벨 자율성 |
자동 랑데부/도킹 |
시스템 엔지니어링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
통신, 내비게이션, 궤도 잔해 추적 및 성분 분석 시스템 |
광통신/ 내비게이션 |
RF 통신 |
인터넷 |
위치, 내비게이션 타이밍, |
통합 기술 |
혁신적 기술 (엑스레이 내비게이션, 양자 통신 등) |
궤도 잔해 추적 및 성분 분석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
인간 건강, 생명 보조, 거주 시스템 |
환경 통제, 생명 보조, 거주 시스템 |
선외 활동 시스템 |
인간 건강 및 성능 |
환경 모니터링, 안전, 응급 대응 |
방사능 |
||||
◇ |
◇ |
◇ |
◇ |
◇ |
||||||
7 |
유인 탐사 목적지 시스템 |
원지 자원 활용 |
지속가능성 |
인간 이동 시스템 |
거주 시스템 |
미션 운영 및 안전 |
범분야 기술 접목 시스템 (방사능 오염 방지, 건설 등) |
|||
8 |
과학기기, 관측, 센서 시스템 |
원격 센싱 장비 및 센서 |
관측 |
원지 장비 및 센서 |
||||||
◇ |
◇ |
◇ |
||||||||
◉ |
◉ |
◉ |
||||||||
9 |
진입, 하강, 착륙 시스템 |
공중 지원 및 대기권 진입 |
하강 및 타게팅 |
착륙 |
비행체 시스템 설계 등 |
|||||
◇ |
◇ |
◇ |
◇ |
|||||||
◉ |
◉ |
◉ |
◉ |
|||||||
10 |
나노기술 |
재료 및 구조 |
에너지 저장, 동력 생성 및 분배 |
추진 |
센서, 전자, 기기 |
|||||
※ 기호 설명
|
||||||||||
11 |
모델링/ 시뮬레이션 |
컴퓨팅 |
모델링 |
시뮬레이션 |
정보 프로세싱 |
|||||
◇ |
◇ |
◇ |
◇ |
|||||||
◉ |
◉ |
◉ |
◉ |
|||||||
12 |
재료/구조 |
재료 |
구조 |
기계 시스템 |
제조 |
|||||
◇ |
◇ |
◇ |
◇ |
|||||||
◉ |
◉ |
◉ |
◉ |
|||||||
13 |
지상 발사 시스템 |
발사 전주기 (준비→발사) 운영 시스템 |
환경보호/ 녹색기술 |
신뢰성/ 유지관리 |
발사 성공 (추적, 착륙, 기상 예측 등) |
우리나라 미추진 분야 |
||||
◇ |
◇ |
◇ |
◇ |
|||||||
◉ |
◉ |
◉ |
||||||||
14 |
열 관리 |
극저온 시스템 |
열 통제 시스템 |
열 차폐 시스템 |
||||||
◇ |
◇ |
◇ |
||||||||
◉ |
◉ |
◉ |
붙임2 |
기존 우주기술 로드맵과 비교 |
국가기술지도 |
우주개발사업 세부실천로드맵 |
국가 우주기술 완성도 분석 |
대한민국 200대 중점 우주기술개발 로드맵(안) |
|
수립 |
2002년 |
2007년 |
2012년 |
2017년(예정) |
확정 |
국가과학기술위원회 |
우주개발진흥실무위 |
(기획연구) |
우주개발진흥실무위 |
기간 |
2002-2012 |
2007-2026 |
2012-2025 |
2016-2040 |
목표 |
‘우주개발 중장기 기본계획(‘96)’을 바탕으로 위성체, 위성탑재체, 저궤도위성발사체, 액체추진기관 등 확보방안 도출 |
‘제1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07)‘을 바탕으로 위성체, 발사체, 우주탐사, 위성활용 분야 세부 실천계획 수립 |
‘제2차 우주개발진흥기본계획(‘12)’을 반영하여 위성체, 발사체, 지상시스템 등의 기술확보 로드맵 제시 |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13)’에 제시된 임무 달성을 위해 중점기술을 도출하고 확보전략 제시 |
주요 내용 |
-우주기술은 국가안전 및 위상 제고 분야에 포함되어 작성 -요소기술 분석을 통해 개발해야 할 핵심기술 도출 |
-’16년까지는 기본계획상의 목표와 마일스톤별 전략을 구체화 -’26년까지는 예상되는 개략적인 우주개발사업의 목표 제시 -4개 부분별 세부 자립화 기술을 정립하고 전략 도출 |
-주된 목표는 현재 기술 성숙도 분석 -세부 기술 중 중점기술을 도출하고 관련 임무와 연계성을 고려하여 기술 성숙도 향상 단계를 로드맵 형식으로 도출 |
-임무달성에 필요한 수요기술을 도출하고 시급성, 경제성, 기술확보 중요도를 고려하여 중점기술 도출 -중점기술별 개발주체, 개발시점, 개발방법 등 기술확보 전략 수립 |
한계 |
-단계별 세부기술 개발전략이 부족 -전체적인 수요기술 분석 미흡 |
-수요기술 및 세부 중점 개발기술 미도출 -기술별 성능 요구조건 미제시 |
-수요기술 완성도 분석이 주 목적인 이유로 중점기술 확보현황 및 확보방법 등에 대한 분석은 부족 |
-기존 로드맵의 한계를 보완, 향후 우주개발 중장기계획 변화에 따라 지속적인 업데이트 필요 |
<2호> 2017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안) 김정훈(☎ 02-2110-2436)
1. 추진 배경
ㅇ 우주개발진흥법 제5조에 따라, 「우주개발 중장기계획('14~'40)」에서 제시한 목표‧정책추진 방향에 따라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심의
2. ’16년 주요실적
ㅇ (발사체) 75톤 액체엔진 1호기의 목표 연소시간(1단: 127초, 2단: 143초)을 달성(7월)하여 한국형발사체 개발에 있어 가장 어려운 문제 해결
ㅇ (위성개발) 세계적 수준의 초고해상도 0.3m급 이하 다목적실용위성 7호 개발 착수(8월)로 고성능, 고기동성 핵심 기술 확보 추진
ㅇ (위성활용) 위성정보 활용 활성화를 위해 관련 법‧제도* 등 체계 정비 및 위성정보 대국민 서비스 강화(위성영상 제공 3,456장(’13)→4,474장(’16.9))
* 영상수출 가이드라인 마련(2월), 위성정보 보급 및 활용규정 개정(8월) 등
ㅇ (우주탐사) 한미 우주협력협정(4월)을 토대로 시험용 달 궤도선 협력 약정 체결(12월), 1차년도 사업 착수 등 달 탐사 사업 본격 궤도 진입
ㅇ (우주산업) 위성 체계종합기업 육성(관련 기술 민간이전, 8월), 다목적 3A호 영상 상용화 시작(대행사 선정(SIIS), 7월)으로 영상 수출 확대
ㅇ (기반확충)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을 통해 우주부품 국산화에 성공하여 차세대중형위성에 X밴드 안테나, X밴드 변조기 등 2개 부품 적용
3. ’17년 추진계획 (‘16년, 7,278억원 ➡ ’17년, 6,703억원, 7.9% 감소)
독자 우주개발 추진을 위한 자력발사능력 확보(총 2,418억원)
ㅇ 시험발사체 발사를 위한 체계모델 조립 및 발사대 구축, 액체엔진 시험평가를 통한 성능 검증 등 한국형발사체 개발(2,200억원)
ㅇ 추가장비 구축, 해외추적소 부지 확보, 추적레이더 성능개선 등 나로우주센터 2단계 사업 추진(205억원)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개발(총 2,184억원)
ㅇ (다목적실용위성 6호) 전천후 지구관측용 서브미터급 영상레이더 저궤도 실용위성 국내주도 개발(282억원)
ㅇ (다목적실용위성 7호) 세계적 수준의 초고해상도 0.3m급 광학탑재체를 탑재한 저궤도 실용위성 국내독자 개발(470억원)
ㅇ (차세대중형위성 1호) 다양한 관측수요 적기 대응 및 관측주기 단축을 위한 500kg급 차세대 표준형 위성플랫폼 확보 및 정밀 지상관측용 위성 개발(479억원)
ㅇ (차세대소형위성 1호) 우주핵심기술 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100kg급 소형위성 발사(’17.하)
ㅇ (차세대소형위성 2호) 우주핵심기술 검증, 우주과학 임무 및 소형 영상레이더를 탑재할 소형위성 국내독자 개발 착수(60억원, 신규)
ㅇ (정지궤도복합위성) 한반도 주변 기상·해양·환경 상시관측 체계 구축을 위한 위성 2기(2A/2B호) 개발(892억원)
국민의 삶의 질 향상을 위한 다가가는 위성정보 활용시스템 구축(총 889억원)
ㅇ 기상‧기후 분야, 해양‧환경 분야, 농업‧자원 분야, 국토‧재난관리 분야 등 수요자 중심의 위성정보 활용서비스 강화(156억원)
ㅇ 국가 위성정보활용 전담기구 임무 수행, 위성정보의 수신·처리 시스템 개선, 영상자료 품질 관리 등 위성정보 활용‧운영 인프라 구축(51억원)
미래 우주활동영역 확보를 위한 우주탐사 전개(총 802억원)
ㅇ 달 궤도선 예비설계 완료 및 상세설계 착수, 한-미 달 탐사 협력 본격 추진 등 달 탐사 사업 수행(710억원)
ㅇ 1톤 이상 인공위성의 추락지점·시각 등을 독자적으로 예측하는 조기경보시스템 구축(13억원)
지속가능 우주개발을 위한 우주산업 역량 강화(총 22억원)
ㅇ 위성영상 판매대행사 관리 및 우주기술 수출을 위한 협력 강화(1.3억원)
우주개발 활성화 및 선진화를 위한 기반 확충(총 389억원)
ㅇ 우주기초‧핵심기술‧융복합 과제 등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강화(305억원)
ㅇ 선진국 및 신흥국과의 협력 및 우주과학‧탐사 분야 협력 강화(8.8억원)
붙임 |
예산 현황 (‘16년, 7,278억 원 ➜ ’17년, 6,703억 원, 7.9% 감소) |
(단위 : 백만원)
과제명 |
부처명/기관명 |
연도별 투자액 |
증감액 (B-A) |
||
‘15이전 |
’16 (A) |
’17 (B) |
|||
1,784,993 |
727,808 |
670,306 |
-57,502 |
||
○ 발사체‧발사장 분야 |
|||||
- 한국형발사체 개발 |
미래부 |
752,441 |
269,995 |
220,000 |
-49,995 |
- 정지궤도 위성 발사체 선행기술 연구 |
항우연 |
- |
1,276 |
1,276 |
0 |
- 우주센터 2단계사업 |
미래부 |
93,001 |
25,198 |
20,516 |
-4,682 |
|
소 계 |
845,442 |
296,469 |
241,792 |
-54,677 |
○ 인공위성개발 분야 |
|||||
- 다목적실용위성 6호 개발 |
미래부/산업부 등 |
111,631 |
68,136 |
28,240 |
-39,896 |
- 다목적실용위성 7호 개발 |
미래부 등 |
- |
16,000 |
47,000 |
31,000 |
- 차세대 중형위성 1단계 개발 |
미래부/국토부 |
6,000 |
19,600 |
47,880 |
28,280 |
- 농림업 중형위성 탑재체 개발 전략 수립 |
농진청 |
- |
50 |
80 |
30 |
- 차세대 소형위성 1호 개발 |
미래부 |
22,940 |
9,490 |
- |
-9,490 |
- 차세대 소형위성 2호 개발 |
미래부 |
- |
- |
6,000 |
6,000 |
- 정지궤도복합위성 개발 |
미래/환경/해수/기상 |
359,163 |
147,146 |
89,153 |
-57,993 |
소 계 |
499,734 |
260,422 |
218,353 |
-42,069 |
|
○ 위성정보활용 분야 |
|||||
- 기상위성자료 현업지원기술 개발 |
기상청 |
- |
4,883 |
4,969 |
86 |
- 세분류 토지피복지도 구축(8차) 및 환경주제도 갱신 |
환경부 |
15,880 |
2,422 |
2,422 |
0 |
- 첨단위성 해양정보활용 시스템 운영 및 한반도 주변 해황 변동 연구 |
해수부 |
2,880 |
280 |
280 |
0 |
- 스마트농정 통계체계 구축 |
농식품부 |
4,680 |
2,280 |
1,800 |
-480 |
- 2017 원격탐사 활용 경지면적 조사 |
통계청 |
1,340 |
270 |
270 |
0 |
- 원격탐사 활용 북한 벼 재배면적 시험조사 |
통계청 |
240 |
80 |
80 |
0 |
- 국가 해양영토 광역감시망 구축 기반연구 |
해수부 |
15,880 |
2,422 |
2,422 |
0 |
- 정지궤도 해양위성 활용연구 (2단계) |
해수부 |
6,859 |
2,500 |
2,000 |
-500 |
- 원격탐사 활용 국내외 농업생산환경 평가체계 구축 |
농진청 |
580 |
1,000 |
1,000 |
0 |
- 원격탐사를 이용한 5대 채소 작황 예측 기술 개발 |
농진청 |
293 |
290 |
290 |
0 |
- 원격탐사 기반 동계 맥류, 조사료 작물 재배현황 추정, 생육진단 기술 개발 |
농진청 |
- |
160 |
160 |
0 |
- 산림모니터링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모델 개발 |
산림청 |
649 |
1,300 |
730 |
-570 |
- 한반도 산림정보체계 구축 |
산림청 |
230 |
100 |
- |
- |
- 위성자료 활용 현업지원 기술개발 |
안전처 |
8,169 |
900 |
900 |
0 |
- 차세대 위성항법보정시스템(SBAS) 개발 |
국토부/해수부 |
14,125 |
24,429 |
15,651 |
-8,778 |
- 위성정보활용사업 |
항우연 |
47,047 |
5,285 |
5,132 |
-153 |
- 정부 위성정보활용협의체 지원 |
항우연 |
700 |
628 |
622 |
-6 |
- 위성임무 관제운영사업 |
항우연 |
34,883 |
6,554 |
6,493 |
-61 |
- 기상위성 운영 및 활용기술 개발 |
기상청 |
99,489 |
4,270 |
5,968 |
1,698 |
- 정지궤도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
기상청 |
17,669 |
36,537 |
16,503 |
-20,034 |
- 국가환경위성센터 건립 및 운영 |
환경부 |
- |
2,977 |
10,584 |
7,607 |
- 국토위성정보 활용센터 설립 및 활용기술 개발 |
국토부 |
500 |
- |
1,850 |
1,850 |
- 해양탑재체 통합자료처리시스템 개발 |
해수부 |
500 |
2,000 |
10,058 |
8,058 |
- 위성정보 부가가치물 생성체계 구축 |
항우연 |
- |
630 |
700 |
70 |
소 계 |
257,393 |
100,175 |
88,862 |
-11,313 |
|
○ 우주탐사 분야 |
|||||
- 한국형 달탐사 사업 |
미래부/출연연 |
13,229 |
20,000 |
71,000 |
51,000 |
- 우주정거장 유인우주실험 표준장비 및 핵심기술 개발 |
항우연 |
- |
481 |
491 |
10 |
- 초소형위성을 이용한 미래 우주탐사 핵심기술 개발 |
항우연 |
1,019 |
1,537 |
1,450 |
-87 |
- 근지구 우주환경 관측위성 탑재체 개발 |
천문연 |
- |
- |
870 |
- |
- 국제우주정거장용 태양코로나그래프 개발 |
천문연 |
- |
- |
2,347 |
- |
- 우주전파교란 상시감시체계 구축 |
미래부 |
8,450 |
2,200 |
2,007 |
-193 |
- 우주환경연구센터 운영 및 활용연구 |
천문연 |
1,574 |
750 |
390 |
-360 |
- 우주망원경 기반기술 확보 |
천문연 |
350 |
100 |
100 |
0 |
- 우주물체 추락 대응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
천문연/연구회 |
15,725 |
2,817 |
1,315 |
-1,502 |
- 우주물체 위성충돌 정밀감시시스템 구축 |
항우연/연구회 |
3,406 |
783 |
219 |
-564 |
소 계 |
43,753 |
28,668 |
80,189 |
51,521 |
|
○ 우주산업 역량 강화 분야 |
|||||
- 중소기업 지원사업 |
항우연 |
- |
2,028 |
2,055 |
27 |
- 항공우주기술 상용화 및 글로벌 사업화 |
항우연/특구재단 |
- |
216 |
126 |
-90 |
소 계 |
- |
2,244 |
2,181 |
-63 |
|
○ 기반확충 및 우주분야 확산 분야 |
|||||
- 우주핵심기술개발사업 |
미래부 |
129,307 |
31,027 |
30,476 |
-551 |
- 차세대 영상레이더 탑재체 핵심기술 개발 |
항우연 |
5,974 |
3,817 |
3,817 |
0 |
- 우주극한환경 대응 핵심기술개발 |
항우연 |
- |
220.0 |
220.0 |
0 |
- 정지궤도위성용 미래형 전자광학탑재체 핵심기술 개발 |
항우연 |
- |
675 |
684 |
9 |
- 우주용 부품 검증 기술 개발 및 인증 체계 구축 |
항우연 |
- |
172 |
174 |
2 |
- 대형전자파챔버를 위한 전파흡수체 구축 사업 |
항우연 |
- |
1,520 |
680 |
-840 |
- 우주환경시험 시설 중 핵심장비 국산화 개발 |
항우연 |
- |
375 |
375 |
0 |
- 액체엔진 고성능화 선행기술 연구 |
항우연 |
- |
1,313 |
1,428 |
115 |
- 우주과학관 운영·확장 |
항우연 |
680 |
111 |
200 |
89 |
- 우주개발 국제협력 강화 |
미래부 |
2,710 |
600 |
875 |
275 |
소 계 |
138,671 |
39,830 |
38,929 |
-901 |
<3호> 2017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안) 전명수(☎ 02-2110-2442)
1. 추진 배경
ㅇ 우주물체의 충돌․추락으로부터 우리의 우주자산과 국민 안전 보호를 위한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14.5월)’의 4차년도 시행계획 수립․심의
※「우주개발 진흥법」 제15조에 따라 우주위험 대비를 위한 범부처 종합 대응체계 구축
2.‘16년 주요실적(’16년까지 추락, 충돌, 태양폭풍분야 대응능력 구축목표 달성)
ㅇ (대응체계 구축) 민관군 합동 “2016 재난대응 안전한국훈련”실시(’16.5월) 및 재난현장 임무 수행기관의 행동매뉴얼 수립(’16.5월)
ㅇ (기술 확보) 인공우주물체 감시를 위한 전자광학 감시 네트워크* 구축 완료(‘16.12월) 및 소행성 탐지를 위한 외계행성탐색시스템 운영
* (천문연) 몽골 등 국내외 5개소에 전자광학 관측소 구축(총사업비 165억원, 사업기간 ’10~’16년)
ㅇ (기반 확충) 재난의 국제공동대응을 위해 UN의 국제소행성경보네트워크와 우주임무기획자문그룹 회원국 가입(’16.2월)
3.‘17년 추진계획
◇ 우주위험대응체계 운영 및 대응기술 확보 등 3대 분야, 11개 과제 수행 ㅇ 미래부(40.9억원)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구축(11.2억원), 레이다시스템 연구(2.7억원), 우주전파교란 상시감시체계 고도화(20.1억원) 등 ㅇ 기상청(4.6억원) : 우주기상 분야 협력체계 확대(4.6억원) |
우주위험 범부처 종합 대응체계 구축
ㅇ 우주위험대비 민관군 합동훈련 실시(‘17.5.), 우주위험 감시 등을 위한 우주환경감시기관(’15년 천문연 지정) 운영, 자연우주물체 추락‧충돌 대응강화 *
*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시행령 개정(’17.1)으로 미래부가 동 재난관리주관기관으로 지정됨
우주위험 감시·대응 기술 확보
ㅇ ‘16년 구축 완료한 몽골 등 전자광학 관측소(5개소)를 중심으로 추락위험 인공우주물체 감시를 위한 시범운영 본격화
우주위험대비 기반 확충
ㅇ 우주위험 공동대응을 위한 UN COPUOS 정부 활동 강화 및 우주위험기술로드맵 수립을 통한 체계적 분석․예측기술 개발 추진
<4호> 2017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안) 김윤조(☎ 02-2110-2443)
1. 추진 배경
ㅇ 국가 위성정보 활용체계 고도화 등을 위해 수립된「제1차 위성정보 활용 종합계획」(’14.5월, 우주위)의 이행을 위한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심의
※ 법적근거: 우주개발진흥법 제5조의3 및 4
2. 그간 주요실적(‘13~’16)
ㅇ (관리체계) 범정부 위성정보 통합 관리․활용 전문기구인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설립(‘15.12월) 및 관련 법․규정 개정
ㅇ (영상공급) 페루와의 공동위성운영(‘16.10월)으로 위성정보 획득량 증대 및 국내외 위성정보의 통합․융합활용 기반인 통합플랫폼 구축
ㅇ (공공부문활용) 다종(多種) 정보 기반의 사회문제 대응․해결형 사업 등 다양한 공공서비스 창출로 위성개발성과를 국민 삶의 질 제고로 연계
3.‘17년 추진계획
위성정보 관리․활용 체계 고도화
ㅇ 국가위성 통합운영계획 마련* 및 다중위성임무계획 시스템** 구축
* 항우연 지상국(대전, 제주, 남․북극)-수요처(서울)-부처별 위성활용센터(기상, 해양, 국토) 연계
** (기존) 호기별 임무부여 및 촬영․획득 ⇨ (개선) 위성전체 임무부여 및 최적위성 촬영․획득
효과적 위성정보 획득 및 보급
ㅇ 위성정보의 효율적 활용을 위한 차세대중형위성 활용계획* 수립(10월) 및 독일 등과의 위성공동운영 추진(≑페루)으로 위성정보 획득량 증대
* 저궤도위성 특성을 고려하여 최대 12기 위성을 하나의 체계로 관리(N:1)
공공부문 위성정보 활용 확대
ㅇ 부처별 공통활용 기술*의 다부처 협업개발 등 효율적 활용기반 마련
* 수자원․시설물 등 모니터링에 활용되는 변화정보 추출 SW 및 다중센서 분석기술 등
위성정보기반 신산업 창출
ㅇ 관계부처와 함께 신규서비스 창출 가능분야에 대한 공동연구 추진
<5호> 2017년도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안) 김윤조(☎ 02-2110-2443)
1. 추진 배경
ㅇ 국내 우주산업 육성 추진을 위해 마련된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13.11월, 우주위)의 차질없는 이행을 위해 연도별 시행계획 수립·심의
※ 추진근거 : 국정과제 13번 우주기술 자립으로 우주강국 실현
2. 그간 추진실적(‘13~’16)
ㅇ (우주제품수출) 싱가포르(‘13), UAE(’13)에 소형급 위성 2기 수출 등 우주산업 해외수출 지속 확대(‘13년, 9,715억원 ⇨ ’16년(예상) 1조 423억원)
ㅇ (창업지원) 벤처창업 생태계 조성* 등 국가보유 우주기술의 민간이전 활성화(기술이전 82건, 산업체 애로기술해결 12건, 기술창업 5건 등)
* 예비창업가 발굴 ⇨ 창업지원 ⇨ 창업기업 후속지원 ⇨ 중소기업 역량강화(R&D, 컨설팅 등)
ㅇ (산업체 참여확대) 차세대중형 1호 산연 공동설계팀 구성․기술이전(233개) 및 산업체 참여확대*로 국내 우주시장 활성화 및 일자리 창출
* (발사체) ’14년, 78% ⇨ ‘16년, 80.3%, (위성) ’14년, 35.8% ⇨ ‘16년, 45.2%
3.‘17년 추진 계획
우주제품 수출 활성화
ㅇ 수출 가능국(칠레, 태국 등) 공동워크숍 개최 및 한-페루 공동위성센터* 개소(6월)에 따른 산업체 남미 진출 지원 등 산업체 수출지원 강화
* PeruSat-1호(0.7m급)과 다목적 3호(0.7m급) 상호간 필요영상 공동 활용
산업체 참여 확대
ㅇ 산업체 주관의 차세대중형 2단계(3~8호, ‘18~’25년) 추진 등 산업체 참여 확대(‘16, 58.1% ⇨ ’17, 65.2%)로 국내산업* 및 일자리** 창출 목표 달성
* ‘16년, 2조 4,997억원 ⇨ ’17년 2조 8천억원 ** ‘16년 3,254개 ⇨ ’17년, 4,500개
국내산업 역량 강화
ㅇ 다목적 7호(0.3m급) 본체 산-연 공동개발로 산업체 기술수준 고도화
ㅇ 우주부품시험센터 구축(‘16~’18년) 등 주요부품 국산화 기반 마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