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1 -
유럽우주기구(ESA)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영진 (선임연구원)
1. 설립과 목적
∎ 유럽우주기구(European Space Agency: ESA)는 1962년에 설립된 유럽발사체개발기구(European
Launcher Development Organization: ELDO)
와 1964년에 설립된 유럽우주연구기구
(European Space Research Organization: ESRO)
가 1975년 5월 30일 통합되어 설립된 정부
간 국제기구이다.
∎ ESA의 설립 목적은 우주연구, 우주기술 및 우주활용 분야에 있어서 유럽 국가 간
평화적 협력을 추진하고 보장하는 것이며(ESA 설립협약 제2조), 구체적으로 아래의 사항
들이 해당된다.
① 장기 유럽우주정책의 수립과 시행, 기타 국내/국제기구와 관련하여 회원국의 정책 협의;
② 우주활동 및 우주프로그램의 수립과 시행;
③ 유럽우주프로그램과 국내프로그램의 조정, 특히 실용위성 개발과 관련하여 국내 프로그
램의 점진적 그리고 가능한 한 완전한 유럽 우주프로그램으로의 통합;
④ ESA 프로그램에 적합한 산업정책의 수립과 시행, 회원국에게 통일된 산업정책 권고.
2. 활동
∎ ESA 활동은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의무적 활동(mandatory activities)’과 공식적으
로 불참을 선언한 회원국을 제외한 모든 회원국이 참여하는 ‘선택적 활동(optional
activities)
’로 구분된다(ESA 설립협약 제5조).
∎ 의무적 활동
① 교육, 자료수집, 미래 프로젝트 연구, 기술 연구 등의 기본적 활동;
② 위성과 기타 우주시스템을 포함한 과학 프로그램의 시행;
③ 회원국의 국제‧국내 프로그램의 조정 및 조화를 위한 관련 정보의 수집과 배포, 조언 등;
④ 우주기술 이용자와의 규칙적인 관계 유지 및 이용자 요구사항 파악.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2 -
∎ 선택적 활동
① 인공위성의 연구‧개발·제조·발사·궤도진입·통제와 기타 우주시스템
② 발사시설과 우주 운송시스템의 연구·개발·건설·운용
3. 회원국: 20개국
∎ 오스트리아, 벨기에, 체코, 덴마크, 핀란드, 프랑스, 독일, 그리스, 아일랜드,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네덜란드, 노르웨이, 폴란드, 포르투갈, 스페인, 스웨덴, 스위스, 영국,
루마니아
- 캐나다는 ESA와의 협력협정을 통해 ESA 이사회
회원국이며 일부 프로젝트에 참여
- 유럽 8개국(에스토니아, 슬로베니아, 헝가리, 시프러스,
라트비아, 리투아니아, 몰타, 슬로바키아)
과 협력 협정
체결
4. 직원 및 시설
∎ 직원 수는 약 2200명(2014년)
∎ ESA는 파리에 소재하는 본부를 비롯하여 유럽 내 5개의 우주센터와 기아나 우주
센터로 구성되며, 유럽 외 지역인 미국(워싱턴, 휴스턴)과 러시아(모스크바)에 해외사무
소가 있다.
- 유럽우주연구기술센터(ESTEC), 유럽우주운용센터(ESOC), ESA 지구관측센터(ESRIN),
유럽우주인센터(EAC), 유럽우주천문학센터(ESAC), 기아나 우주센터(CSG)
시설
사무소
지상국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3 -
- 해외 사무소
5. 재정
∎ ESA의 회원국은 의무적 활동비용과 공동비용(the common costs of ESA)으로 구성되
는 분담금을 매년 지불한다. 회원국의 분담금은 각 회원국의 최근 3년간 국민소득
평균에 기초하여 이사회가 결정하며, 각 회원국의 분담금은 총 분담금의 25%를 초
과할 수 없다.
- ESA 이사회는 회원국 일국의 1인당 국민소득이 이사회가 만장일치로 정한 금액
미만인 경우에, 모든 회원국의 3분의 2 다수결로, 해당 국가의 분담금을 일시적
으로 감면할 수 있다.
∎ 2014년 예산 : 4,102.1 M€(백만유로)
- 분야별 예산
분야
예산(M€)
퍼센트(%)
지구관측
915.9
22.3
위성항법
630.2
15.4
발사체
617.4
15.1
우주과학
506.5
12.3
유인우주비행
370.9
9.0
통신
325.3
7.9
기본활동
231.5
5.6
일반예산
210.8
5.1
로봇탐사
134.9
3.3
우주기술
146.8
3.6
우주상황인식
9.1
0.2
ESA 협력국 협정
2.7
0.1
4,102.1
100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4 -
- 총 국가 분담금: 3093.6 M€
순위
회원국
분담금(M€)/퍼센트(%)
순위
회원국
분담금(M€)/퍼센트(%)
1
독일
765.7/24.8
11
오스트리아
50.2/1.6
2
프랑스
754.6/24.4
12
폴란드
28.7/0.9
3
이탈리아
350/11.3
13
루마니아
22.5/0.7
4
영국
270/8.7
14
핀란드
19.9/0.6
5
벨기에
188.6/6.1
15
캐나다
19.5/0.6
6
스페인
139.2/4.5
16
아일랜드
18.4/0.6
7
스위스
126.5/4.2
17
룩셈부르크
18.3/0.6
8
네덜란드
125.1/4.1
18
포르투갈
16.3/0.5
9
스웨덴
94.6/3.1
19
그리스
14.5/0.4
10
노르웨이
57.1/1.9
20
체코
13.9/0.4
6. ESA의 산업정책
∎ ESA는 예산의 약 85%를 유럽의 산업체와의 계약을 통해 사용한다.
∎ ESA의 산업정책
① 회원국이 자국의 투자에 대한 공정한 이익을 배분받을 수 있도록 보장:
② 유럽 산업체의 경쟁력 증진:
③ 우주기술의 유지와 개발:
④ 산업정책의 목적과 양립하는 범위 내에서 자유경쟁입찰의 장점 활용.
∎ ESA는 유럽의 상업적 목적을 위한 우주활동의 태두로서 우주 프로그램의 연구개발
을 총괄한다. 구체적으로는, ESA는 우주과학 및 기초기술 연구를 수행하고 이러한
연구가 검증되면 생산과 개발은 산업체가 담당한다.
- Eumetsat, Galileo, Arianespace, Eutelsat, Inmarsat가 생산과 개발을 담당하는 대
표적인 유럽의 우주 산업체이다.
•기상: Eumetsat
•항법: Galileo
•발사 서비스: Arianespace
•통신: Eutelsat, Inmars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