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책정보센터
e-
http://e-policy.kari.re.kr
- 1 -
드론
산업 벤처투자 동향
(Drone)
작성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박정호 선임연구원
:
(
)
개요
1.
비행기나 헬리콥터와 유사한 형태로 제작된 무인비행체를 가리키는 드론
에 대
(Drone)
한 기술이 최근 급격히 발전하고 기업에서부터 일반 소비자에 이르는 다양한 수요가 촉
,
발되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에 따르면 향후 전 세계 드론 시장 규모는 연
.
BI Intelligence
평균
이상 성장하여
년에는
억 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된다 국내에서는 국
20%
2023
22
.
내 항공법에 따라서
이하는 무인비행장치 그 이상은 무인항공기로 분류하고 있으
150Kg
,
며
이하만 상업적 활용이 가능하고 이중
이상은 신고 의무가 있다 국내에
, 150Kg
12Kg
.
신고된 무인비행장치의 숫자는
년
개에서
년 상반기에만
개로 폭발적으
2010
144
2015
716
로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시장 환경의 변화에 따라 드론 산업에 대한 민간 벤처투자 또
.
한 활발해지고 있다 본 원고에서는 미국 국립과학재단
의 중소기업혁신연구
.
(NSF)
(Small
프로그램에서 펀딩을 해서 벤처캐피탈 데이터베이스 기업
Business Innovation Research)
인
가
년 월 발표한
보고서에 소개된
CB Insights
2015
8
“The Future of Frontier Tech”
드론 산업에서의 벤처투자 동향에 대해 소개하였다.
드론 산업 투자 동향
2.
에서 정의하는 드론 산업의 범위는 민수 및 군수를 막
“The Future of Frontier Tech”
론하는 모든 형태와 크기의
에 대한 제작 및 오퍼레이팅
UAV(Unmanned Aerial Vehicle)
기술 그리고 이를 지원하는 인프라스트럭처를 포함한다 드론 산업에 대한 벤처투자는
,
.
지난 세 분기 동안 연속적으로 증가하여
년 사분기에는
건의 투자 거래가 발행
, 2015
2
16
하였고 금액은 억 백만 달러에 달했다 주요 거래로는 세계최대 컨슈머 드론 제작업체
1
9
.
인
가
DJI Innovations
Series B Financing1)에 해당하는 천 백만 달러의 투자를 유치하
7 5
였으며
가 천 백만 달러의
투자를
가 백만
, 3D Robotics
1 4
Series C
, Squadrone Systems
5
달러의
투자를 각각 유치하였다
Series A
.
1)
이란 회사성장에 따른 투자 단계에서 두 번째 단계에 해당하는 것으로 제품이나 서비스가 시장에서 어
Series B Financing
느 정도 가능성이 증명된 이후에 제품이나 서비스를 완성하고 목표로 한 시장에서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서 추가적인 투자
를 하는 단계이다
는 프로토타입 또는 서비스 베타를 제품 또는 서비스로 발전시키려는 목적으로 진행하는 투자
. Series A
이며
는 제품이나 서비스의 정식버전 출시 후 이를 글로벌화하거나 연관사업 추진으로 대규모 수익을 창출하여
, Series C
또는
를 현실화하기 위한 추가적인 투자를 의미한다
IPO
M&A
.
정책정보센터
e-
http://e-policy.kari.re.kr
- 2 -
드론 벤처투자 현황
년
년
[
(’12
1/4~15’
2/4)]
년 사분기에 벤처케피탈로부터 투자를 가장 활발하게 받은 주요 기업들의 리스트
2015
2
는 다음의 표에서와 같다.
BDR
기업용 자율 드론
제작
/UAV
$99 million
DJI Innovations
일반인 및 준 프로
급 드론 제작
-
(semi-pro)
$75 million
Airware
자동조동장치 및 드론
의 오퍼레이팅
/UAV
시스템 개발
$40.2 million
Skycatch Inc.
자율 드론을 이용한 데이터 수집 기업
서비스
$21.4 million
Xaircraft Co. Ltd.
및 드론에 사용되는 다양한
Multi-rotor
하드웨어 제작
$20 million
CyPhy Works Inc.
장기채공 및 안정적인 데이터 전송을
위한
기술 개발
tethered drone
$14.9 million
년
사분기 주요 벤처 기업의 투자 유치 현황
[2015
2
]
정책정보센터
e-
http://e-policy.kari.re.kr
- 3 -
제조 분야별로
년 사분기부터
년 사분기까지의 투자 현황을 살펴보면 전체 투
’12
1
’15
2
자 금액의
가
및 서비스 관련 분야에 투자되었다 그 다음으로
가 드
42%
Software
.
40%
론 하드웨어 스타트업에 투자되었으며 나머지
가 인프라스트럭처에 투자되었다 드
,
18%
.
론 산업 분야별 주요 투자 유치 기업을 다음 그림에서와 같다.
드론 산업 분야별 주요 투자 유치 기업
[
]
한편 미국
의 허가를 받아 드론을 상업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한 조항인
,
FAA
FAA
이 발효된
년 월 이후 개월만인
년 월말 현재
개 업체가
Section 333
2015
2
7
2015
9
1,742
허가를 받았다
년 월 기준으로 허가 된 업체의 활용분야를 살펴보면 가장 많은
. 2015
7
,
가
분야이며
다음으로
44%
Film/Photo/Video
,
Inspection/Monitoring
26%,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Mapping/Surveying 15%
.
활용 분야별
허가 기업체 분포
년
월 기준
[
FAA Section 333
(2015
7
)]
정책정보센터
e-
http://e-policy.kari.re.kr
- 4 -
참고문헌
The Future of Frontier Tech, CB Insights
해외
정책동향
년
호
정보통신기술진흥센터
ICT R&D
(2015
02 ),
빅 픽처
김대식 등 저
2016,
http://www.eetimes.com/document.asp?doc_id=1327559
http://www.demoday.co.kr/blog/49/category/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