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1 -
급격히 감소한 명왕성의 표면압력
작성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김주현 (선임연구원)
그림 1. 뉴호라이즌 탐사선은 명왕성은 예상했던 것보다 낮은 표면 압력을 갖는다는 것을 발견했다.
뉴호라이즌에 탑재된 REX 전파측정장치에 의한 관측은 7월 14일 명왕성 최근접 1시간 후에 이루어
졌으며, 그 결과는 과거 지상관측으로부터 얻어진 값의 절반정도 밖에 되지 않았다.
Credits: NASA/JHUAPL/SwRI
명왕성 탐사선 뉴호라이즌 호는 명왕성의 표면 압력이 과거 지상관측에 의해서 예상되
었던 것보다 더 낮다는 것을 밝혀냈다. 이러한 낮은 표면 압력에 대해서 최근에 명왕성의
대기 중 절반정도가 표면 위에서 얼었을 것이라고 추측하고 있다. 만약에 그것이 사실로
판명되었다면 조만간 기압이 더 낮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 표면압력 측정은 명왕성의 표면에 대해서 이루어진 첫 번째 측정이었다. 뉴호라이즌
탐사선의 전파실험 탑재체인 REX(Radio Experiment)에 의해서 이루어진 측정으로 2015
년 7월 14일 명왕성 최근접 약 1시간 후에 이루어진 것이다.
e-정책정보센터
http://e-policy.kari.re.kr
- 2 -
이 전파측정은 이전에 시도된 적이 없는 관측이었기에 매우 조심스럽게 계획되어졌었
다. NASA의 심우주네트워크(DSN)를 위한 지상에 설치된 안테나들 중 두 개의 안테나로
부터 보내진 전파신호가 뉴호라이즌 호가 명왕성 뒤를 통과할 때 정확하게 도달되도록
계획되어져 이루어진 측정이었다. 이렇게 탐사선으로 보내진 전파는 명왕성 대기에 의해
서 굴절된 후 탐사선에 도달하기 때문에 대기의 양과 주파수에 따라 굴절되거나 전파의
주파수가 달라진다. 이를 통해서 지구 표면기압의 10만분의 1 밖에 되지 않는 명왕성의
표면기압을 측정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 과거에 지상 망원경에 의한 관측으로 계산된 결
과보다 절반 정도 밖에 되지 않는 표면 압력을 갖는 다는 것을 발견할 수 있었다.
뉴호라이즈 프로그램의 연구원인 스탠포드 대학교의 이반 린스캇은 이러한 명왕성 표면
에 대한 압력 측정은 최초로 이루어진 것으로 명왕성 표면에 대한 기준 값을 제시해 주
는 매우 높은 가치를 갖는 정보라고 언급하면서, 과거 오랜 기간 동안 명왕성의 변화가
어떻게 이루어졌는지에 대한 정보도 제공할 수 있을 것이라고 하였다.
뉴호라이즌 호는 앞으로 수 주 동안 명왕성 대기의 변화에 대한 REX측정 결과를 보내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 이 글은 아래 링크의 기사를 참조하여 작성하였습니다.
http://www.nasa.gov/feature/new-horizons-reveals-pluto-s-atmospheric-pressure-has-sharply-decreas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