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30705조간보도_다목적실용위성2호3번째임무연장승인.hwp
국민이 행복한 변화가 시작 됩니다!
|
보 도 자 료 |
http://www.msip.go.kr |
2013. 7. 5(금) 조간(온라인 7. 4. 11:3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문의 : 우주과학기술과 박경수 과장(02-2110-2440), 이충현 주무관(02-2110-2444) |
다목적실용위성 2호 3번째 임무연장 승인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다목적실용위성 2호 위성 운용 기간을 3번째 연장하여 2015년 7월 27일까지 운용한다고 밝혔다.
※ (발사) ‘06.7 →(1회) ’09.7~‘11.7 →(2회) ’11.7~‘13.7 →(3회) ’13.7~‘15.7
□ 미래부는 임무연장을 결정하기에 앞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김승조, 이하 항우연) 주관으로 6월 29일 국내 산학연 전문가로 구성된 ‘다목적실용위성 2호 임무 및 운용 검토위원회’를 개최하여 임무연장에 대한 기술적인 점검을 수행하였으며,
o 점검 결과, 현재 위성 본체 및 탑재체, 지상시스템 등 모든 부문의 상태가 정상 작동되고 있으며, 궤도 유지 및 교신 상태도 정상이라고 밝혔다.
< 서울 잠실 지역, 2009년 9월 촬영 > < 독도, 2008년 7월 촬영 >
□ 고해상도 카메라를 탑재(1m급)한 지구관측위성인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하루에 약 15바퀴씩 지구를 돌며 현재까지 약 2만3천회 지상과 교신하였으며,
o 약 5만4천회의 영상 촬영을 통해 약 2백9십만장(15km×15km/장)의 사진을 획득하였다.
o 또한, 2007년 6월 1일부터 세계상용 위성영상 서비스 시장에 진출을 통해 현재까지 약 2만1천장의 영상을 판매하였다.
※ 국․내외 위성영상 판매액은 147.3억원(’07.6~’13.5)임
□ 다목적실용위성 2호는 현재 운용 중인 3호와 발사 예정인 5호 및 3A호 등과 함께 운용될 경우, 서로 다른 시간대 위성 영상 획득이 가능해 국가 위성영상 활용의 다양화 및 극대화에 기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 다목적실용위성 영상 형태 및 획득시간>
구분 |
영상형태 |
해상도 |
한반도 통과 시간 |
발사일 |
다목적실용위성 2호 |
광학 |
흑백 1m 칼라 4m |
11:00경 |
'06.7.28 |
다목적실용위성 3호 |
광학 |
흑백 0.7m 칼라 2.8m |
13:40경 |
'12.5.18 |
다목적실용위성 5호 |
레이더 영상 |
레이더 영상 1m/3m/20m |
06:10경 |
'13.8.22 예정 |
다목적실용위성 3A호 |
광학/적외선 |
흑백 0.55m 칼라 2.2m 적외선 5.5m |
13:40경 |
‘14.하 발사 예정 |
< 프랑스 파리 지역, 2011년 4월 촬영 > < 프랑스령 폴리네시아, 2013년 5월 촬영 >
□ 한편, 미래부는 위성 및 지상국의 노후화에 따라 위성상태 모니터링 강화, 지상시스템 보강 등 대비책 마련하고, 2년간의 3차 임무연장을 성공적으로 마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며, 혹시 발생할 수 있는 임무종료에도 대비할 예정이다.
붙임 1. 다목적실용위성 2호 운용 개요
2. 위성영상 공공기관 주요 활용실적
붙임1 |
다목적실용위성 2호 운용 개요 |
사업개요
o 사업내용 : 고해상도 카메라 탑재체한 지구관측위성 개발(흑백 1m, 컬러 4m)
o 사업기간 : 1999∼2006
o 참여부처 : 과학기술부(총괄), 산업자원부, 정보통신부
o 참여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총괄), 전자통신연구원, 인공위성센터,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 한화, 대우종합기계,두원중공업 등
o 총 개발비용 : 2,633억원
□ 추진경과
o 다목적실용위성 2호 발사(‘06.7)
o 다목적실용위성 2호 설계 수명 완수(‘09.7)
o 다목적실용위성 2호 1차 임무연장 2년 완수(‘11.7)
o 다목적실용위성 2호 2차 임무연장 2년 완수 예정(‘13.7, 운영 7년차)
□ 운용 성과
o 발사 후 현재(‘13.5 기준)까지 2,858,609장 영상 획득(15km×15km)
o 2007년부터 영상 상용화 운영
o 발사 후 현재까지 약 36,000회 지구를 선회하였고, 위성과 지상 간의 누적 교신 횟수는 약 23,466회(일 평균 9회 교신 수행)
o 위성 본체 및 탑재체는 정상상태 범위 내에 있음
- 현재까지 안전모드 진입은 총 4회이며, 정상 복구되었음
- 자세제어특성 향상을 위한 위성 소프트웨어 패치 완료
- 정상 궤도범위를 유지하고 있으며, 연료량은 64% 남아 있음
붙임2 |
위성영상 공공기관 주요 활용실적 |
◉ 토지피복도 제작(환경부)
- 다목적실용위성 2호를 활용하여 정사영상 제작 및 토지피복지도 갱신사업 실시
※대분류: 농지, 산림지, 시가지, 수역, 습지 등
※중분류: 주거지, 공업지, 상업지, 교통, 논, 밭 등
- 서울, 인천, 대전, 경기, 충청지역 중분류 지도 구축
◉ 연안관리정보 시스템 구축(해수부)
- 다목적실용위성 2호를 활용해 연안정보 DB 및 연안지도(WebGIS) 시스템 구축
- 위성영상 검색시스템 운영
- 연안정보도 : 축척 1/25,000
- 연안기본도 : 축척 1/5,000) 제작
◉ 국내 경지총조사 및 벼 재배면적조사(통계청)
- 다목적실용위성 2호 영상자료를 활용하여 작물의 재배면적 및 생산량 통계 산출 기반 구축
◉ 관광정보 안내시스템 구축(대전광역시)
- 다목적실용위성 2호 위성영상기반의 수치표고모델(DEM) 구축
- 위성정보를 활용한 3차원 웹서비스 및 인트라넷 등 대민 서비스 제공
◉ 국립공원 생태지도 제작(지리산 국립공원)
- 다목적실용위성 2호 위성영상을 활용하여 고해상도 정밀 식생 DB 구축
- 자원모니터링 자료기반 생태지도 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