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30627조간_사진_천리안위성및다목적실용위성3호발사기념행사개최.hwp

닫기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2013. 6. 27(목) 조간(온라인 6. 26. 11:3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우주기술과 박경수 과장(02-2110-2440), 이성욱 주무관(02-2110-244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대원 저궤도위성관제팀장(042-860-2398), 채태병 위성정보확산팀장(042-860-2756)

천리안위성과 다목적실용위성3호 발사 기념행사 개최

- 위성 영상산업 활성화의 실마리가 되다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오는 6월 27일 오후 3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에서 천리안위성 발사 3주년다목적실용위성3호 발사1주년 기념행사를 개최한다.

본 기념행사에서는 천리안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3호의 성공적 발사운영 성과발표하고, 그간의 개발 및 운영 과정에서 확보된 항우연국내 기업체의 위성기술에 대한 전시홍보 이루어진다.

o 국내에서 개발최초정지궤도위성천리안위성은 오는 6월 27일로 발사 3주년을 맞이하였으며, 현재 순조로운 운항을 계속하고 있다.

- 천리안위성은 매일 170장의 기상영상8장의 해양영상을 촬영하여 지상으로 전송하고 있으며, 이 영상자료는 국민의 편익 증진 위한 일기예보, 한반도 연안 해양환경 감시 및 연구 등에 활용되고 있다.

운영성과

(기상) 태풍 등 기상영상 자료를 기존의 30분 간격에서 8분 간격으로 수신해 기상예보의 정확도 제고

(해양) 적조, 녹조 등 해양오염해양자원감시(단기중장기 모니터링 가능)

(통신) 재난통신 및 차세대 방송(3D TV, Satellite News Gathering, UHDTV 등) 시험 운영 ICT 산업기술발전크게 기여 예상

o 지난 5월 18일 발사 1주년을 맞이한 다목적실용위성3호지구를 하루 약 15바퀴 선회하고 있으며, 매일 약 1,400장전 세계 지역 영상촬영하여 지상으로 전송하고 있다.

- 위성영상은 공공수요국민의 안전하고 행복한 삶 구현을 위해 재해재난 감시, 국토관리, 수자원관리, 농업자원관리 등에 활용되고 있으며, 2013년 3월 29일부터 판매대행사(해외기업과 국내기업 컨소시엄)를 통해 국내외 상용보급시작하였다.

o 특히, 이번 기념행사에서는 지난 1월에 다목적실용위성3호가 촬영한 백두산 지역 영상을 3차원으로 가공한 3D 영상공개한다.

- 3D 동영상으로 제작된 이번 공개영상에서는 360도 시점에서 바라본 백두산 천지의 모습을 볼 수 있으며, 특히 천지 입구에서부터 비룡폭포(장백폭포) 백두산 기상관측소에 이르는 등산로입체감 있게 보여준다.

o 아울러, 항우연과 대한항공 등 6개 국내기업체가 개발한 위성 및 지상시스템관련 개발물천리안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3호 디지털 영상자료전시된다.

이날 문해주 우주원자력정책관은 천리안위성과 다목적실용위성3호의 개발과정을 통해 이룩한 위성 핵심기술의 성과위성영상 활용 상용화새로운 우주산업 시장을 만들고 질 좋은 일자리확산시켜 고용창출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끝으로, 이번 행사를 계기로 위성 핵심기술의 성과 확산위성영상의 다양한 활용크게 확대될 것으로 기대된다.

붙임 1. 천리안위성 개요

2. 다목적실용위성3호 개요

3. 위성기술 국내 기업체 초청 전시회 개요

4. 천리안위성 영상

5. 다목적실용위성3호 영상

참고1

천리안위성 개요 (발사 3주년)

추진배경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96.4)에 따라 정지궤도 위성 개발을 통한 기반기술 습득기술자립화 초석 마련

- 공공 수요에 따른 기상 및 해양관측, 통신 탑재체 우주인증 및 정지궤도위성 기술 개발 및 확산

추진경과

○ ’02.11 통신해양기상위성(천리안위성) 개발사업 확정

○ ‘03.9~’10.2 천리안위성 개발

○ ‘10.6.27 천리안위성 발사(기아나 우주센터, 아리안5호)

사업기간 및 예산

사업기간 : 03.9~’10.12 (7년 4개월)

사업예산 : 총 3,548억원(미래부(구,교과부) 1,309억원, 미래부(구,방통위) 788억원, 해수부(구,국토부) 702억원, 기상청 749억원)

추진체계

주관기관 : 총괄 한국항공우주(연), 전자통신(연), 기상청, 해양(연)

참여업체 :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 세트렉아이, 두원중공업, 한화, AP 우주항공, 아스트리움(프랑스), 솔탑, 하이게인 등

운영성과

○ ‘11.4월부터 기상/해양 영상서비스 및 방송통신 서비스 제공

기상영상(기상탑재체) 170장, 해양영상(해양탑재체) 8장 매일 지상 전송(고도 35,800km)

위성영상자료는 일기예보, 한반도 연안 해양환경 감시연구에 활용

해양환경의 거시적 변화 관측이 가능하여 효용성과 활용도 계속 증가

기상영상은 국가기상위성센터(nmsc.kma.go.kr), 해양영상은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위성센터(kosc.kiost.ac)와 국가공간정보센터(www.nsic.go.kr)웹페이지를 통해 일반인에게도 제공

참고2

다목적실용위성 3호 개요 (발사 1주년)

추진배경

우주개발중장기기본계획(‘96.4)에 따라 실용급 인공위성의 국내 독자개발 역량 확보를 통한 다양한 국가수요 영상정보 수요에 대응핵심 영상정보의 자주적 획득활용

- 한반도 정밀지상관측 등 지구저궤도용 해상도 70급 광학관측 카메라 탑재위성의 국내주도개발

다목적실용위성 2호('06.7월 발사), 5호('13.8월 발사예정), 3A호('14.하반기 발사예정)

추진경과

’03.5~‘04.3 기획연구 추진

○ ‘04.8~’12.1 위성 개발

○ ‘12.5.18 위성 발사(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사업기간 및 예산

사업기간 : 04.8~’12.8 (8년)

사업예산 : 2,826.5억원 (미래부 1,936.5억원, 산업부 890억원)

추진체계

주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참여업체 : 쎄트렉아이, 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두원중공업, 한화, AP우주항공 등

운영성과

위성영상자료(전 세계 대상 촬영)는 재해재난감시, 국토관리, 수자원관리, 임농업자원관리, 환경기상 분야에 활용

전 세계 영상 약 1,400장 매일 지상 전송 (고도 685km에서 궤도를 따라 하루 약 15바퀴 지구 선회)

다목적실용위성3호 영상 ‘13.3.29.부터 국내외에 상용보급 시작

해외 선진기업-국내기업간 컨소시엄인 (주)세트렉아이를 판매대행사로 선정하여 국내 및 해외 업체에 위성영상 판매

참고3

위성기술 국내 기업체 초청 전시회 개요

개요

목적 : 천리안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3호 핵심기술 성과 소개

전시기간 : ‘13. 6. 27.부터 1개월간

전시장소 : 항우연 위성정보협력센터 내

전시내용

천리안위성, 다목적실용위성3호 국내기업체 개발 품목 전시

- 한국항공우주산업, 대한항공, 두원중공업, 한화, 쎄트렉아이, AP 우주항공 등 6개사의 개발품목 및 설명자료 전시

KARI Solution

- 항우연에서 개발된 위성 및 지상시스템 보유기술 전시

- PC 및 대형 모니터를 통한 디지털 자료 전시

천리안위성 및 다목적실용위성3호 축소 모형 등

< 6개 초청기업 위성기술 개발 분야 >

연번

기업명

참여분야

관련위성

1

한국항공우주산업(주)

본체 공동설계 및 조립, 전력계 및 원격 측정명령계 개발

다목적 3호

하니스 제작

천리안위성

2

(주)대한항공

구조계 개발

다목적 3호

위성 구조체 제작 및 위성체 조립

천리안위성

3

두원중공업(주)

열제어계 개발

다목적 3호

열제어부품 제작

천리안위성

4

(주)한화

추진계 개발

다목적 3호

5

쎄트렉아이

저정밀태양센서

다목적 3호

이축태양센서 등

천리안위성

6

AP 우주항공

탑재체 영상자료처리장치 설계, 조립 시험

다목적 3호

참고4

천리안위성 영상

<그림1> 천리안위성의 기상탑재체 전구(Full Disk) 영상

<그림2> 천리안위성의 해양탑재체 컬러 합성 한반도 영상

<그림3> 천리안위성 발사장면. 2010년 6월 27일, 프랑스령 기아나소재 기아나우주센터

참고5

다목적실용위성 3호 영상

<그림4> 백두산 천지 3차원 영상 (2013년 1월 7일 촬영)

<그림5> 아랍에미리트, 페라리월드

<그림6> 러시아, 소치올림픽 경기장

<그림7> 모로코, 하산 2세 사원

<그림8> 부산, 광안대교

<그림9> 다목적실용위성 3호 발사장면. 2012년 5월 18일 일본 다네가시마 우주센터

<그림10> 우주에 있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를 지상레이더로 촬영한 모습 (2013년 1월)

사진 사용 안내

본 사진 사용 시, 사진출처(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제공)를 명시하여 주시고, 워터마크 삽입 등의 임의편집을 제한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