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105 조간 (보도)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 개최.hwp
보도일시 |
2020. 11. 5.(목) 조간(온라인 11. 4. 12: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20. 11. 4.(수) 09:00 |
담당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과 |
담당과장 |
신재식(044-202-4620) |
담 당 자 |
용찬재 사무관(044-202-4624) |
누구나 참여하는 우주 시대, 도전과 기회 공유의 장 마련 -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 개최(11.5~6, 온라인 생중계) - |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는 11월 5일(목)부터 6일(금)까지 2일간, 서울 JW메리어트호텔에서 ‘코리아 스페이스포럼 2020’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ㅇ 과기정통부가 주최하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동아사이언스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이번 행사에는 국내·외 저명인사 30명이 참석하여 우주분야 다양한 주제발표와 패널토론이 진행될 계획이다.
ㅇ 코로나19 확산 방지를 위해 행사 현장에는 최소 인원만 참석하고, 현장에 참석하지 못한 국민들을 위해 유튜브 채널*을 통해 실시간 생중계와 함께 시청자와 온라인 질의응답도 진행한다.
*
□ 세계적으로 혁신적인 민간 기업이 우주개발을 주도하는 이른바 ‘뉴스페이스’가 우주개발의 주요한 흐름으로 자리 잡고 있다.
ㅇ 과거 우주개발이 국가주도의 프로젝트였다면, 이제는 민간 기업의 도전적인 투자영역이 되고 있으며, 우주인터넷, 우주여행과 같은 상업적 가치 창출이 주요한 목적이 되고 있다.
ㅇ 이에 동 포럼은 ‘뉴스페이스’ 시대에 우리나라 우주정책 방향을 점검하고, 우주 산업이 지속 성장할 수 있는 방안을 논의하기 위해 마련하였다.
□ 포럼 첫날(11.5)은 ‘뉴스페이스’ 시대의 우주안보정책 및 우주탐사 계획과 함께 신흥 우주개발국 들의 우주개발 동향을 공유한다.
ㅇ 토마스 뮬러(Thomas Mueller) 전(前) 스페이스X 최고기술경영자는 스페이스X사를 비롯한 로켓 기업들이 지구 저궤도 너머로 진출하려는 이유와 로켓 엔지니어들의 양성 경험을 공유한다.
ㅇ 나사(NASA)의 마크 키라시치(Mark Kirasich) 우주탐사본부 부장은 미국의 달 궤도 우주정거장 건설 프로그램인 아르테미스 프로그램을 소개한다.
ㅇ 호주 우주청의 메간 클라크 청장(Dr. Megan Clark)은 한국과 호주의 우주 개발 협력방안과 함께, 2030년까지 2만개의 일자리 창출을 목표로 한 호주의 우주개발 계획을 발표한다.
□ 포럼 둘째날(11.6)에는 ‘뉴스페이스’와 관련한 해외 우주 기업의 기술개발 동향을 공유하고, 국내 우주산업의 발전방향을 논의한다.
ㅇ 3차원(3D)프린터를 활용해 소형로켓을 제조하는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초소형위성을 활용해 매일 전지구의 40%를 촬영하고 있는 플래닛랩스, 로켓 본체를 탄소복합소재로 제작 중인 파이어 플라이 등 대표적인 뉴스페이스 기업의 기술혁신 사례를 공유한다.
ㅇ 이와 함께, 세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산업(KAI), 케이티샛(KTsat), 솔탑 등 우리나라 대표 기업들의 사업현황 및 계획을 공유하고, 국내 우주스타트업 생태계 현황과 벤처창업 활성화를 위한 추진과제를 논의할 계획이다.
□ 과기정통부 최기영 장관은 “우주분야 최고의 전문가가 참여하는 코리아 스페이스포럼을 통해 우리나라 우주산업이 한 단계 도약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며, “과기정통부는 민간이 우주산업에 좀 더 과감히 도전하고, 지속 발전할 수 있도록 재정적, 제도적 지원을 아끼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기정통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 용찬재 사무관(☎044-202-4624)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붙임1 |
「Korea Space Forum 2020」 행사 프로그램 |
□ 1일차(11.5) 프로그램
시간 |
세부내용 |
09:30 ∼ |
참가자 등록 |
10:00∼10:10 |
개회사(과기정통부 장관), 환영사(한국항공우주연구원 원장) |
기조연설 1 10:10∼10:50 |
로켓 기업들은 왜 지구 저궤도 너머를 꿈꾸나... 톰 뮬러와의 대화 Thomas Mueller 스타버스트 수석 고문(前 스페이스X CTO) |
세션1 10:50∼11:50 |
우주 신 국제질서의 모색 |
우주환경 보호와 지속가능한 우주활동을 위해 유럽연합은 무엇을 하는가 Christophe Besse 주한유럽연합대표부 공사참사관 |
|
미국의 우주안보정책 유준구 국립외교원 교수 |
|
미중 전략 경쟁 시대 우주 경쟁의 변화 이승주 중앙대 정치국제학과 교수 |
|
11:50∼13:00 |
오찬 |
기조연설 2 13:00∼13:20 |
과학을 통한 우주탐사 Jim Green, NASA HQ, Chief Scientist |
세션2 13:20∼15:40 |
달로 돌아가는 NASA의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Mark Kirasich, NASA HQ 우주탐사본부 선진탐사부 부장 |
국제우주탐사로드맵 업데이트와 캐나다의 우주탐사전략 Dr. Christian Lange 국제우주탐사협의체(ISECG)의장/CSA 우주탐사전략디렉터 |
|
Break time |
|
한국의 달탐사 - KPLO 이상률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달탐사사업단장 |
|
CLPS에서의 한국의 역할 최영준 한국천문연구원 우주과학본부장 |
|
Q&A |
|
우주탐사가 가지는 과학적 산업적 사회적 가치는 Dr. David Parker 유럽우주국(ESA) 인간로봇탐사 디렉터 |
|
화성탐사 50년, 무엇을 배웠고 다음 계획은 무엇인가? Prof. Paulo de Souza 호주 그리피스 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학과장 |
|
15:40∼15:50 |
Break time |
세션3 15:50∼17:30 |
호주, 우주에서 찾은 기회 Dr. Megan Clark AC, 호주 우주청장 |
카자흐스탄의 지구관측 우주시스템과 우주감시 Alzhan Braliyev 국영기업 KGS우주기술 사업전략개발부장 |
|
우즈베키스탄의 우주산업 발전을 위한 기본 체계 Shuhrat Kadirov, 우즈벡 우주청 청장 직무대행 |
|
슬로바키아의 우주생태계 개발 및 ESA와의 협력 Dominik Susa, 슬로바키아 투자통상개발청 부청장 |
|
2020 국방 전략 이후 호주의 우주분야 대응전략 Dr. Malcolm, 호주전략정책연구소(ASPI), 국방전략역량 선임분석관 |
□ 2일차(11.6) 프로그램
시간 |
세부내용 |
09:00∼09:15 |
인사말(한국우주기술진흥협 회장, 동아사이언스 대표, 한국천문연구원 원장) |
기조연설 09:15∼09:50 |
팬데믹 이후 뉴스페이스에 부는 변화의 바람 Chad Anderson 스페이스캐피탈 매니징 파트너 |
세션1 09:50∼10:50 |
우주 개발의 뉴웨이브 |
(발표 1) 실시간 지구를 스캔하다 James Mason 플래닛랩스 우주 시스템 부문 수석부사장 |
|
(발표 2) UAE 화성탐사 프로젝트는 국가를 어떻게 혁신하는가 Omran Sharaf 아랍에미레이트 화성 계획 담당자 |
|
10:50∼11:00 |
Break time |
발표 11:00∼12:00 |
한국 우주벤처의 도전과 기회 |
(발표1)나라스페이스 박재필 나라스페이스 대표 |
|
(발표2)컨텍 이성희 컨텍 대표 |
|
(발표3)이노스페이스 김수종 이노스페이스 대표 |
|
(발표4)한컴인스페이스 최명진 한컴인스페이스 대표 |
|
(라운드테이블)우주 스타트업 생태계 현황과 과제 좌장 : 박성동 쎄트렉아이 이사회의장 |
|
12:00∼13:30 |
오찬 |
연설1 13:30∼14:00 |
대기업은 왜 스타트업과 함께 우주개발에 나서나 Dina Hyde 레이시언 우주전략담당 |
세션2 14:00∼15:00 |
발사체 시장의 새로운 도전자들 |
(발표1)3D프린터와 무인공장이 생산하는 로켓 제조 시대가 온다 Josh Brost, 렐러티비티 스페이스, 경영 부문 부사장 |
|
(발표2)작고 경쟁력 있는 로켓 기업 만들기 Tom Markusic 파이어 플라이 CEO |
|
15:00∼15:15 |
Break time |
연설2 15:15∼15:45 |
우주산업의 지평을 확장하다: 학문적, 사회적, 경제적 도전에 대처하는 법 Masayasu Ishida 스페이스타이드 대표 |
세션3 15:45∼17:15 |
한국 우주기업의 재발견 |
(발표1) 대한민국의 우주산업화를 선도한다 김이을 쎄트렉아이 대표이사 |
|
(발표2) 한국 첫 민간 우주토털 서비스기업을 꿈꾼다 한창헌 KAI 부문장 |
|
(발표3) 5G/6G 시대에 찾아 온 새로운 위성통신의 기회 송경민 KT샛 대표(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장) |
|
(발표4) 초소형위성으로 글로벌 우주기업에의 도전 이호진 솔탑 부사장 |
|
(라운드테이블)한국 우주기업의 국제화 좌장 : 송경민 KT샛 대표(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장) |
붙임2 |
「Korea Space Forum 2020」 행사 포스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