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429_천리안위성 2호 위성본체 본격 조립 착수.hwp
|
보 도 자 료 |
|
|||
http://www.msip.go.kr |
|||||
보도일시 |
2016. 4. 29.(금) 조간(온라인 4. 28. 12: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16. 4. 28.(목) 9:00 |
담당부서 |
우주기술과 |
||
담당과장 |
김꽃마음(02-2110-2440) |
담 당 자 |
오남준 사무관(02-2110-2441) |
4배 성능 향상된 천리안위성 2호, 기상‧해양‧환경 상시관측 추진 ‘16.5월부터 마지막 개발단계인 조립ㆍ시험 본격 착수 -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 이하 항우연)은 천리안위성 2호의 상세설계를 완료하고 천리안위성 2호의 조립ㆍ시험을 2016년 5월부터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밝혔다.
※ 천리안위성 1호(통신해양기상위성), 천리안위성 2호(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기상/우주기상관측위성, 2B호:해양ㆍ환경관측위성)
ㅇ 천리안위성 2호사업은 천리안위성 1호의 기상/해양임무 승계 및 환경관측을 위해 미래부를총괄부처로 하고 환경부, 해수부, 기상청이 함께 참여하는 다부처 위성개발사업*이다.
* 미래부(시스템‧본체‧지상국), 환경부(환경탑재체), 해수부(해양탑재체), 기상청(기상탑재체)이 ‘11.7~’19.9월까지 총 7,200억원 투입하여 정지궤도(36,000km) 위성 2기 공동개발
ㅇ 천리안위성 2호는 천리안위성 1호보다 4배 뛰어난 해상도로 24시간 한반도를 상시관측하면서 한반도의 기상예보, 기상이변, 해양오염, 해양감시 및 한반도 주변의 대기오염물질의 대응 등에 활용될 계획이다.
ㅇ 올해 5월부터 2018년까지 위성 조립ㆍ시험을 거쳐 2A호는 2018년 5월에, 2B호는 2019년 3월에 각각 남미 가이아나 우주센터에서 발사되어 10여년 간 운용될 예정이다.
□ 이번 위성 조립ㆍ시험은 위성개발단계상 다음 위성발사로의 진입을 결정짓는 위성개발의 마지막 검증과정이다.
![]() |
⇨ |
![]() |
⇨ |
![]() |
⇨ |
![]() |
(위성설계단계) |
(부분품 제작ㆍ구매단계) |
(위성조립ㆍ시험단계) |
(위성발사ㆍ운용단계) |
ㅇ 위성본체, 탑재체(기상‧환경‧해양)의 비행모델 조립, 본체‧탑재체의 총조립‧시험으로 우주에 발사할 위성의 비행모델을 만들 계획이다.
□ 천리안위성 2호사업은 기존 위성사업에서 확보한 기술을 바탕으로 핵심기술 확보와 핵심부품의 국내 독자개발역량 향상을 추진해왔다.
ㅇ 성공적인 예비‧상세설계 수행으로 미국, 러시아, 중국, 일본처럼 정지궤도위성 플랫폼의 독자설계기술을 확보한 나라가 되었다.
ㅇ 위성구조물, 열제어부분품, 위성탑재컴퓨터 등의 국산화 및 산업육성으로 국내 위성분야 발전의 발판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 현재까지 총사업예산(5,300억, 발사비ㆍ보험료 제외) 중 민간우주산업 투자액은 위성구조체, 열제어부분품, 위성탑재컴퓨터 등 약 33개 기업에 약 1,100여억원 투자
□ 국정과제인 천리안위성 2호사업은 한반도 기상‧해양관측 및 환경관측을 통한 고해상도의 다양한 위성영상정보를 국민에게 제공함으로써 기상ㆍ해양 및 환경분야의 국민 실생활 편익을 증진시킬 것으로 보인다.
※ 미국, 유럽도 정지궤도 환경관측위성(TEMPO, Sentinel-4)을 개발 중이며 모두 ‘19년 이후 발사예정
![]() |
![]() |
![]() |
![]() |
(기상관측, 해양‧환경관측 해상도 증가) |
(기상산출물 확대 <16종→52종> 및 위험기상 감시기능 향상) |
(해양산출물 확대(13종→38종) 및 해양 감시기능 향상) |
(대기오염 분석‧예보 지원 및 대기오염물질의 실시간 이동 감시) |
ㅇ 정지궤도 기상관측위성은 천리안위성 1호보다 해상도 4배 이상의 한반도 기상관측을 통해 기상예보 및 장마철 집중호우 등 기상특보를 보다 빠르게 제공할 수 있어 국민의 생명과 안전에 기여할 것으로 보인다.
ㅇ 정지궤도 해양관측위성은 천리안위성 1호보다 해상도 4배이상의 한반도 해양관측을 통해 적조, 냉수대, 어장환경 등 세밀한 연안 해양재해에 조기 대응 및 효과적인 해양영토 관리를 지원할 것으로 보인다.
ㅇ 세계 최초*의 정지궤도 환경관측위성은 특히나 최근 주변국으로부터 미세먼지 유입 등 대기환경의 급격한 악화에 대해 보다 정확하게 사전 예보함으로써 국민건강을 지켜줄 것으로 보인다.
* 미국, 유럽도 정지궤도 환경관측위성(TEMPO, Sentinel-4)을 개발 중이며 모두 ‘19년 이후 발사예정
□ 우주기술과 김꽃마음 과장은 “이번 조립ㆍ시험 착수는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따른 정지궤도위성 개발역량을 실증적으로 확인함으로써, 30년 이후 독자모델을 기반으로 한 정지궤도 통신위성, 항법위성 등 중대형급 수출시장에 진입할 수 있는 기틀 마련에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붙임 1. 정지궤도복합위성(천리안위성 2호)개발사업 개요
2. 천리안위성 2호 개발과정
3. 위성 조립ㆍ시험과정
4. 천리안위성 1호/2호 기술자립화 수준 비교
5. 민간업체의 주요개발 참여현황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오남준 사무관(☎ 02-2110-244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1 |
정지궤도복합위성(천리안위성 2A/2B호) 개발사업 개요 |
□ 사업목적
ㅇ 천리안위성 1호 개발을 통한 기술적 기반을 토대로 정지궤도위성 독자개발 기반 마련 및 핵심기술 자립화
- 한반도 주변 기상, 환경 및 해양 등 독자적 상시관측체계 구축
□ 사업기간 : ‘11. 7 ~ ’19. 9
□ 사 업 비 : 7,200억원*
* 미래부 3,354억 / 환경부 1,238억 / 해수부 1,033억 / 기상청 1,575억
□ 주관연구기관
ㅇ 주관부처 : (총괄) 미래부, (탑재체) 환경부․해수부․기상청
※ 총괄주관연구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ㅇ 주요임무
정지궤도복합위성 2A |
정지궤도복합위성 2B |
|
기상임무/우주기상임무 |
해양임무 |
환경임무 |
• 태풍 및 집중호우 감시 • 폭설 및 해빙 감시 • 안개/황사 감시 • 화산활동 감시 • 우주기상감시 |
• 해양의 탄소순환 관측 • 해양환경 감시 (적조, 녹조, 염분농도 등) • 유류오염 등 해양오염 감시 • 해양자원 및 해류 감시 |
• 기후변화대응 기초자료 제공 • 대기환경감시 및 대기오염 경보제도 정확도 향상 • 대류권 환경변화 규명 • 대기와 기상 간 상호작용 규명 |
□ 위성형상
천리안위성 2A호 상상도 |
천리안위성 2B호 상상도 |
|
|
□ 향후계획
ㅇ 위성본체 조립 본격 착수(‘17.4)
ㅇ 탑재체 국내 입고 및 위성체 총조립‧시험(2A:’17.4~‘18.3, 2B:’17.4~‘19.3)
ㅇ 위성체 발사(2A:‘18.5, 2B:’19.3) 및 궤도시험(2A:‘18.12~,2B:’19.9~)
참고1-1 |
천리안위성1호 및 2호 성능비교 |
항목 |
천리안위성1호 (통신해양기상위성) |
천리안위성2호 (정지궤도복합위성) |
■ 일반 |
||
임무수명 |
7년 |
10년 |
임무 |
위성통신, 기상 및 해양관측 |
기상, 우주기상, 해양 및 환경관측 |
운용궤도 |
정지궤도 (위성운용경도 동경 128.2도) |
정지궤도 (위성운용경도 동경 128.2도) |
본체크기 |
2.7×1.8×3.2 (m) |
3.0×2.3×4.6 (m) |
발사중량 |
2.5톤급 |
3.5톤급 |
위성플랫폼 수 |
1기 |
2기(기상, 해양/환경 각1기) |
위성개발방식 |
해외공동개발 |
국내주도 |
투입예산 |
3,549억원(위성 1기) |
7,200억원(위성 2기) |
■ 목표성능 |
||
관측자료 전송속도 |
6.2Mbps |
115 Mbps |
궤도결정정밀도 |
18km |
3km |
해상도 |
기상 1km(적외채널 4km), 해양 500m |
기상 1km(가시채널 일부 500m, 적외채널 2km), 해양 250m, 환경 7km |
■ 탑재체 |
||
기상탑재체 |
5채널 (가시 1, 적외 4) |
16채널 (가시 4, 적외/근적외 12) |
해양탑재체 |
8채널 (가시 8) |
13채널 (가시 9, 적외 3, 광대역 1) |
통신탑재체 |
Ka대역 |
- |
환경탑재체 |
- |
1000채널 (분광스펙트럼 : 자외/가시) |
참고2 |
천리안위성 2호 개발과정 |
SDR |
System Design Review |
(시스템설계검토회의) 시스템 규격을 만족시키기 위해 각 서브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정의 |
PDR |
Preliminary Design Review |
(예비설계검토회의) 설계를 구체화하고 실제적인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설계를 검토 |
CDR |
Critical Design Review |
(상세설계검토회의) 예비설계단계 및 검증에서 문제가 된 설계를 수정 및 보완하여 최종설계 마무리 |
IRR |
Integration Readiness Review |
(위성조립 준비점검회의) 위성조립에 대한 점검 |
PSR |
Pre-Ship Review |
(위성의 발사장 이동을 위한 최종 점검회의) 상세설계 이후 위성 제작 및 시험과정에서 발생한 문제점 및 해결과정에 대한 확인 |
STB |
Software Test Bed |
인공위성 소프트웨어 기능 및 성능시험, 하드웨어와의 접속을 위한 테스트 베드 |
ETB |
Electrical Test Bed |
인공위성 전기전자 장치의 접속, 기능 및 성능시험을 위한 테스트 베드 |
STM |
Structural and Thermal Model |
위성 구조체의 구조/열시험을 위한 모델 |
EM |
Engineering Model |
전기적 기능시험 등을 통해 성능을 확인하는 검증모델 |
QM |
Qualification Model |
우주환경에서의 성능검증을 위한 검증모델 |
FM |
Flight Model |
비행용 위성체에 탑재되는 모델 (비행모델) |
참고3 |
위성 조립‧시험과정 |
ㅇ 위성본체, 기상ㆍ해양ㆍ환경 각 탑재체의 비행 모델(Flight Model) 조립, 본체ㆍ탑재체 총 조립 및 시험을 수행하여 위성 비행모델 제작
- 위성부분품, 중심구조물, 위성패널 등을 장착하여 위성형상을 우선 만들고, 위치정렬도 측정과 안테나 및 탑재체 순으로 조립한 후 최종 진동ㆍ충격ㆍ열진공시험 등 실시
ㅇ 위성조립ㆍ시험의 본격 착수를 위해 사전에 위성개발분야 연구진ㆍ전문가, 관계부처 관계자 등 100여명이 올해 4월 조립준비검토회의(IRR*)를 개최하여 위성조립‧시험 준비사항을 점검ㆍ확인
* IRR: Integration Readiness Review
□ 위성의 조립ㆍ시험과정은 위성의 설계를 검증하고 발사를 준비하는 단계로 위성개발 과정의 꽃이라 하나 그만큼 많은 긴장과 곤란의 단계
ㅇ 위성은 발사이후 수리가 불가능하므로 가혹한 발사과정과 우주공간에서 최적 작동을 위해 우주와 유사한 환경에서 엄격한 시험절차 수행
* 해외 선진 위성개발국에서 조립시험 중 위성이 쓰러지는 등(‘03, 미 Lockheed Martin사)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기도 함.
ㅇ 현재, 항우연은 국가주도 우주개발 과제의 원활한 추진을 위하여 청정도를 갖춘 조립시험실, 진동시험시설, 전자파 챔버 등 선진 위성개발국과 유사한 최첨단의 위성조립‧시험 인프라를 구축
참고4 |
천리안위성 1호/2호 기술자립화 수준 비교 |
□ 시스템ㆍ본체
시스템/본체 분야 |
천리안위성 1호 개발종료시점(‘10) |
천리안위성 2호 완료시점(‘19) |
시스템 |
72% |
90% |
기계/구조계 |
76% |
92% |
열제어계 |
73% |
84% |
추진계 |
46% |
75% |
자세제어계 |
62% |
86% |
전력계 |
66% |
84% |
원격측정명령계 |
69% |
87% |
관측자료송수신계 |
70% |
90% |
탑재소프트웨어계 |
77% |
99% |
관측영상보정계 |
74% |
91% |
조립 및 시험 |
82% |
94% |
지상국 |
92% |
100% |
계 |
72% |
89% |
□ 탑재체
탑재체 분야 |
천리안위성 1호 개발종료시점(‘10) |
천리안위성 2호 완료시점(‘19) |
|
기상 탑재체 |
시스템 기술 |
31% |
37% |
광기계 기술 |
20% |
23% |
|
열제어 기술 |
20% |
24% |
|
광학 기술 |
18% |
20% |
|
전자 기술 |
28% |
68% |
|
적외선 검출기 기술 |
15% |
17% |
|
우주입자 검출기 기술 |
45% |
70% |
|
시험 및 운영지원 기술 |
18% |
23% |
|
계 |
24% |
35% |
|
해양 탑재체 |
시스템 기술 |
50% |
75% |
광기계 기술 |
45% |
65% |
|
열제어 기술 |
43% |
70% |
|
광학 기술 |
50% |
65% |
|
전자 기술 |
68% |
75% |
|
가시광선 검출기 기술 |
48% |
58% |
|
시험 및 운영지원 기술 |
52% |
76% |
|
계 |
51% |
69% |
|
환경 탑재체 |
탑재체 시스템 기술 |
55% |
75% |
광학 기술 |
50% |
70% |
|
광기계 기술 |
43% |
70% |
|
광전자 기술 |
43% |
63% |
|
지상시험지원장비 기술 |
73% |
93% |
|
환경시험 기술 |
77% |
90% |
|
총조립/시험 및 보정 기술 |
55% |
80% |
|
계 |
57% |
77% |
참고5 |
민간업체의 주요개발 참여현황 |
국산화품목 |
참여업체명 |
개발품목 사진 |
위성구조체 |
한국항공우주산업 |
|
열제어부분품 |
두원중공업 |
|
위성탑재컴퓨터, 히터파이로펄스유닛, 하니스/플러그, 전력분배모듈 |
한국항공우주산업 |
|
탑재체접속모듈/ 관측자료송신 부분품 |
QNION |
|
기계지상지원장비 |
우레아텍 |
|
전기지상지원장비 |
에이피우주항공 등 |
|
지상국 시스템 |
케이티셋 |
※지상국 시스템 사진은 천리안위성 1호 장비 예시임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