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0325)_미래부_보도자료_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창립총회_및_기념_심포지엄_개최.hwp
국민이 행복한 변화가 시작 됩니다!
![]() |
보 도 자 료 |
http://www.msip.go.kr |
2014. 3. 25.(화) 조간(온라인 3. 24. 12: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문의 : 미래부 우주기술과 김현수 과장(02-2110-2440), 윤상웅 사무관(02-2110-2443) |
우주 산업체 맞손 잡고, 창조경제의 빅뱅을 준비한다.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창립총회 및 기념 심포지엄 개최 -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이하 미래부)는 3.25(화) 오후 2시, 서울 양재동(엘타워 컨벤션)에서 산·학·연·관 관계자 200여명이 참가한 가운데『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창립총회 및 기념 심포지엄』을 개최한다고 밝혔다.
o 이번 행사는 우주산업 육성을 통한 미래성장동력 창출과 창조경제 실현을 위해 국내 최초로 우주산업 분야 전문협회를 설립하는 한편, 우주 분야 관계기관들이 우주산업을 향후 창조경제 핵심으로 성장시키기 위한 방안을 논의하는 계기로 삼기 위해 마련되었다.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에는 우주 분야 산업체, 연구기관 등 총 66개 기관이 참여하게 되며, 창립총회를 통해 협회 정관, 임원사, 사업 계획 등이 마련될 예정이다.
o 한편, 창립 총회에 앞서 우주 분야 산·학·연·관 전문가들이 협회 창립을 기념해 지난 우주개발 과정을 돌아보고, 우주기술 산업화 및 창조경제 구현 방안을 모색하기 위한 심포지엄도 개최된다.
□ 동 심포지엄에서는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김현수 미래부 우주기술과장), 우주산업과 창조경제(류장수 AP우주항공 대표), 위성정보활용 기본계획(조황희 STEPI 국제기술혁신협력센터장)’에 대한 정부 및 민간 전문가의 발표와 5인 패널 중심의 종합토론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o 미래부는 이번 논의를 토대로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을 본격 추진하고, 다목적실용위성2·3·5호 등으로 확보한 위성정보를 활용해 고부가가치 신성장산업을 창출하기 위한 『위성정보 활용 기본계획』도 상반기 중 마련해 우주산업화 및 창조경제 구현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 세계 우주시장은 최근 급속도로 팽창하여 2012년도 세계 각국의 우주개발 예산은 729억 달러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고, 우주개발 참여국도 총57개 국으로 증가했다. (2013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미래부)
o 우리나라도 현재까지 인공위성 12기와 발사체 개발에 성공하며, 2012년 우주 분야 참여 91개 산업체 매출액이 전년 대비 31.1% 상승한 1조 1,619억 원 규모로 성장했으나, 91개 산업체 중 우주부문 매출액 10억원 미만 45.1%, 종사자 100인 미만 68.9%로, 아직 국내 우주산업 규모는 영세한 수준이다.
□ 이에, 미래부는 국내 우주 산업체 및 관련 기관의 역량을 총결집하여, 고부가가치의 우주 첨단기술 기업을 육성하고, 세계 우주 시장에 진입하기 위한 종합적인 지원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 2013년 11월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을 수립했으며,
o 우주 분야 전문협회 설립은『우주기술 산업화 전략』의 추진과제 일환으로 추진되어, 우주 분야 산업체와 유관기관의 적극적인 협조와 호응을 이끌어 내어 결실을 맺게 되었다.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는 향후, ‘회원사 간 정보 공유, 대정부 정책건의, 정부위탁사업 수행, R&D 지원, 우주산업 실태조사․홍보, 인력 양성, 회원사 수출지원, 기술컨설팅 및 창업지원 등’을 수행하며,
o 국가 우주개발 사업에도 관련 산업체들의 역량을 결집하여 적극 참여함으로써 국가 R&D 투자 효율성과 연계해 국내 산업체들의 기술 경쟁력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할 것이다.
□ 또한, 우주기술 분야 연구조합 육성 등을 통해 대기업이 진입하기 힘든 다품종, 소량의 고부가가치 혁신제품을 개발해내는 우주 강소기업들을 배출함으로써 국내시장을 넘어 해외시장 경쟁력까지 갖추어 국부 창출 및 창조경제를 견인하고, 국민소득 4만 불을 달성하는 견실한 토대를 마련하는 데 기여하며,
o 미래부가 첨단 우주 전문 기업 양성 등 우주산업의 국제 경쟁력 강화를 위한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추진을 지원하고, 뒷받침하는 동반자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첨부 1.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창립총회 및 심포지엄 개요
2.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원 기관
3. 국내 우주산업체 현황
붙임1 |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창립총회 및 심포지엄 개요 |
□ 행사 개요
o 일시 : 2014. 3. 25(화) 14:00~19:00
o 장소 : 엘타워 컨벤션 7층 그랜드홀(서울시 서초구 강남대로 213)
o 행사계획
구 분 |
시 간 |
내 용 |
비고 |
|
심포지엄 |
14:00~14:05 (05“) |
개회 및 인사말씀 |
미래부 연구정책실장 |
|
14:05~14:55 (50“) |
발제 |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
미래부 우주기술과장 |
|
우주산업과 창조경제 |
류장수(AP우주항공) |
|||
위성정보활용 기본계획(안) |
조황희(STEPI) |
|||
14:55~15:15 (20“) |
휴 식 |
|||
15:15~16:00 (45“) |
패널 토론 |
총 5명 |
||
16:00~16:40 (40“) |
청중 질의·응답 |
전 원 |
||
창립총회 |
17:10~17:40 (30“) |
협회창립 발기인 대회 |
협회창립 발기인 35명 |
|
18:00~18:05 (05“) |
개회 및 인사말씀 |
창립총회 의장 |
||
18:05~18:10 (05“) |
축 사 |
미래부 1차관 |
||
18:10~19:00 (50“) |
창립 총회 |
□ 심포지엄 발제자 및 토론자
구 분 |
발제자 및 토론자 |
||
발 제 (총3명) |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
|
김현수 미래창조과학부 우주기술과장 |
‘우주산업과 창조경제‘ |
|
류장수 AP우주항공 대표 |
|
‘위성정보활용 기본계획’ |
|
조황희 STEPI 국제기술혁신협력센터장 |
|
토 론 (총5명) |
산업계 (1명) |
|
이병호 비츠로테크 사장 |
학 계 (2명) |
|
이인 KAIST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좌장) |
|
|
이창진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
||
연구계 (1명) |
|
사공호상 한국지리정보학회 회장 (국토연구원 국토정보연구본부장) |
|
언론계 (1명) |
|
유용하 동아사이언스 부장 |
□ 행사 포스터
붙임2 |
한국우주기술진흥협회 회원 기관 |
구분 |
기관 |
|
산업체 |
발사체 (16개) |
대화알로이테크, 세연이엔에스, 스페이스솔루션, 데크, 비츠로테크, 삼성테크윈, 단암시스템즈, 신성이엔지, 에이피솔루션즈, 코세코, 대산정밀, 하이록코리아, 코마틱코리아, 한화테크엠, 한국내쇼날인스트루먼트, 한화 |
위성체 (12개) |
에이피우주항공, 제노코, 에이디알에프코리아, 한국항공우주산업, 두원중공업, 쎄트렉아이, 에스엠인스트루먼트, 에이디솔루션, 정우이엔지, 케이에스솔루션, 쏠리드, 삼성탈레스 |
|
위성활용 (18개) |
가이아쓰리디, 넷커스터마이즈, 지아이소프트, 케이티샛, 파워넷시스템즈, 위스페이스, 솔탑, 인디웨어, 인스페이스, 두시텍, 새아소프트, 아이파이브, 에스이랩, 엑스엠더블유, 우리별, 지오씨엔아이, 제아이티솔루션, 케이티스카이라이프 |
|
지상장비 (11개) |
동진커뮤니케이션시스템, 엘아이지넥스원, 제이엔티, 카스타, 피디케이, 가스로드, 현대로템, 현대중공업, 하이게인안테나, 한양이엔지, 에이피우주통신 |
|
과학연구 (2개) |
알에스피, 포디솔루션 |
|
소계 59개 |
||
공공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인공위성센터, 한국건설기술연구원,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한국기계연구원 부설재료연구소 |
|
소계 7개 |
||
합계 66개 |
붙임3 |
국내 우주산업체 현황(’13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항우연) |
○ 2012년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우주산업 분야 총 매출액은 전년 대비 31.1% 증가한 약 1조 1,619억원 규모
<연도별 우주산업 분야 매출액>
○ 현황이 파악된 91개 산업체 중 우주부문 매출액 10억원 미만(45.1%), 종사자 100인 미만(68.9%) 업체가 다수
<우주산업 분야 매출액 규모별 기업분포> <기업전체 종업원수별 분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