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DF문서2008년_우주산업실태조사보고서.pdf

닫기

background image

2008년  우주산업실태조사

2008.  12

주관연구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 i -

I.  조사  개요 ······································································································································ 1

    1.  조사목적  및  법적근거  등 ····································································································· 3

    2.  2008년  실태조사  대상기간  및  기준일 ·············································································· 3

    3.  조사방법  및  조사기관 ··········································································································· 3

    4.  조사항목 ··································································································································· 4

    5.  용어해설  및  참고사항 ··········································································································· 5

    6.  본  조사보고서의  이용  상  유의점과  제약조건 ································································· 5

II.  요  약 ············································································································································· 7

    1.  종  합 ········································································································································· 8

    2.  기  업 ········································································································································· 9

    3.  연구기관 ································································································································· 10

    4.  대  학 ······································································································································· 10

III.  우주산업  세부  현황 ················································································································ 13

    1.  종  합 ······································································································································· 15

        1.1.  우주분야  참여기관  일반  현황 ···················································································· 15

        1.2.  우주산업  매출현황 ········································································································ 17

        1.3.  우주산업  수출입  현황 ·································································································· 20

        1.4.  우주산업  총  투자  현황 ································································································ 22

        1.5.  우주산업  인력  현황 ······································································································ 22


background image

- ii -

    2.  기  업 ······································································································································· 28

        2.1.  일반현황 ·························································································································· 28

        2.2.  우주분야  매출현황  및  추이 ························································································ 30

        2.3.  수출입  현황 ···················································································································· 36

        2.4.  투자  현황 ························································································································ 38

        2.5.  인력  현황 ························································································································ 40

    3.  연구기관 ································································································································· 43

        3.1.  일반현황 ·························································································································· 43

        3.2.  우주분야  예산  현황  및  추이 ······················································································ 46

        3.3.  수출입  현황 ···················································································································· 50

        3.4.  투자  현황 ························································································································ 51

        3.5.  인력  현황 ························································································································ 51

    4.  대  학 ······································································································································· 55

        4.1.  일반현황 ·························································································································· 55

        4.2.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및  추이 ···································································· 57

        4.3.  수출입  현황 ···················································································································· 60

        4.4.  투자  현황 ························································································································ 61

        4.5.  인력  현황 ························································································································ 61

▣  부    록 ········································································································································ 65

    1.  우주산업  통계 ······················································································································· 67

        1.  2008년  실태조사  회신  현황 ·························································································· 67

        2.  우주산업실태조사  분야별  분류 ····················································································· 67

        3.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관  현황 ··················································································· 68

        4.  우주분야  참여기관의  지역별  분포 ··············································································· 68

        5.  우주산업  연도별  매출  현황 ··························································································· 68


background image

- iii -

        6.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현황 ··························································································· 69

        7.  우주산업  연도별  수출입  현황 ······················································································· 69

        8.  우주산업  분야별  수출입  현황 ······················································································· 70

        9.  우주산업  투자  현황 ········································································································· 70

      10.  우주산업  연도별  종사인력  현황 ·················································································· 70

      11.  우주산업  종사인력  기관별‧성별  현황 ········································································· 71

      12.  우주분야  종사인력  학력별  현황 ·················································································· 71

      13.  우주분야  종사인력  학력별  증감  현황 ········································································ 71

      14.  우주산업  분야별  종사인력  현황 ·················································································· 72

      15.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업  현황 ·················································································· 73

      16.  우주분야  참여기업  지역별  분포 ·················································································· 74

      17.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우주분야  매출  비중 ································································ 74

      18.  우주분야  참여기업  자본금  규모별  분포 ···································································· 74

      19.  우주분야  참여기업  매출액  규모별  분포 ···································································· 74

      20.  우주분야  참여기업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 74

      21.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연도별  매출  현황 ···································································· 74

      22.  기업의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현황 ············································································ 75

      23.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매출  현황 ·································································· 75

      24.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액  규모별  분포 ········································································ 76

      25.  기업의  고객별  우주산업  매출  현황 ············································································ 76

      26.  기업의  나라별․분야별  우주산업  수출액  현황 ···························································· 77

      27.  기업의  나라별․분야별  우주산업  수입액  현황 ···························································· 78

      28.  기업의  우주산업  투자  현황 ·························································································· 79

      29.  기업의  우주산업  고용인력  현황 ·················································································· 79

      30.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 79

      31.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직능별  현황 ···································································· 79

      32.  기업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 79

      33.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 80


background image

- iv -

      34.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연구기관  현황 ········································································ 81

      35.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지역별  분포 ·············································································· 82

      36.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연구  비중별  분포 ·················································· 82

      37.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총  예산  규모별  분포 ······························································ 82

      38.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총  인력  규모별  분포 ······························································ 82

      39.  우주분야  국가  R&D예산  및  연구기관  연구비  현황 ················································ 82

      40.  연구기관의  우주분야별  예산  현황 ·············································································· 83

      41.  연구기관  우주분야  예산  규모별  분포 ········································································ 83

      42.  연구기관의  예산출처별  우주분야  예산  현황 ···························································· 84

      43.  연구기관의  나라별․분야별  수입액  현황 ······································································ 85

      44.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투자  현황 ·················································································· 85

      45.  연구기관의  연도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 85

      46.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 86

      47.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직능별  고용인력  현황 ···························································· 86

      48.  연구기관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 86

      49.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 87

      50.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참여  대학  현황 ······································································ 88

      51.  우주분야  참여  대학의  지역별  분포 ············································································ 89

      52.  대학의  연도별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 89

      53.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연구비  현황 ······························································ 89

      54.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규모별  분포 ········································································ 90

      55.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출처별  현황 ········································································ 90

      56.  대학의  우주분야  투자  현황 ·························································································· 91

      57.  대학의  연도별  우주분야  연구인력  현황 ···································································· 91

      58.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인력  규모별  분포 ···································································· 91

      59.  대학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연구인력  현황 ···························································· 91

      60.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인력  현황 ·································································· 92


background image

    2.  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 93

        A.  기업 ···································································································································· 93

        B.  연구기관 ·························································································································· 125

        C.  대학 ·································································································································· 137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Ⅰ•조사개요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3

I.  조사  개요

I.  조사 

1. 조사목적 및 법적근거 등

◈ 국내 우주산업 관련 기초 자료를 확보하여 학계․연구계의 학술․정책연구와

정부의 우주개발 정책수립에 참고 자료로 활용

◈ 법적근거 : 우주개발진흥법 제24조

◈ 조사주기 : 매년

◈ 조사현황 : 제1회(’05), 제2회(’07)

2. 2008년 실태조사 대상기간 및 기준일

◈ 대상기간 : 2007.1.1~12.31

◈ 조사기준일 : 2007.12.31

◈ 조사기간 : 2008.8월~11월

3. 조사방법 및 조사기관

◈ 조사방법 : 우주산업실태조사서 배포를 통한 설문 조사

◈ 설문대상 : 우주관련 제품제작, 개발․연구 및 관련 사업의 시행과 연관성이 높은

기업(69), 연구기관(17)(국공립․정부출연 연구기관), 대학(37) 총
123개 기관

◈ 회신현황 : 기업(56), 연구기관(17), 대학(33) 총 106개 기관(응답률 : 86%)

◈ 분석대상 : 조사서에 응답한 기관 중 우주 관련 현황이 있다고 회신한 기업 (34),

연구기관(11), 대학(학과)(31) 총 76개 기관


background image

4

<표 1> 2008년 실태조사 회신 현황

(단위 : 개)

구 분

발송기관

응답기관(응답률)

우주관련 기관

기업

69

56(81%)

34

연구기관

17

17(100%)

11

대학(학과)

37

33(89%)

31*

합계

123

106(86%)

76

        *  학과  수  기준이며,  대학  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22개  임

4. 조사항목

◈ 기관명, 대표자명, 설립연도, 주요 참여 우주분야, 총 매출액, 총 종업원 수 등

◈ 분야별․고객별 매출액 및 나라별․분야별 수출입액

◈ 항목별(시설, 연구개발, 기타) 투자액

◈ 직능별․학력별․성별․분야별 우주분야 종사 인력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사체/탑재체 접속․총 조립 및 시험

위성 본체

위성본체 및 부품

탑재체

광학, SAR, 해양, 통신, 기상, 과학관측 등의 탑재체와 부품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사체/탑재체 접속, 총조립 및 시험

추진기관

액체․고체 엔진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등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인공위성의 추적․통제․운영․시험 등을 위한 지상 장비 및

소프트웨어, 위성 데이터 처리 장비 및 소프트웨어,

발사체 관련 발사체의 발사․관제․통제 및 시험 등을 위한 지상 장비 및

소프트웨어

우주활용

원격탐사

위성영상, 데이터, 지도제작 관련 서비스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항법위성 관련 서비스

서비스이용장비

(내비게이션) (자동차 내비게이션)

위성방송

위성 방송 관련 서비스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위성통신 관련 서비스

서비스이용장비

(통신기기)

(GPS 수신 장비)

우주과학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등

<표 2> 우주산업실태조사 우주산업 분야별 분류


background image

Ⅰ•조사개요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5

5. 용어해설 및 참고사항

◈ 우주분야 : <표 2>에 포함 또는 관련되는 산업․연구 분야

◈ 우주분야 (종사)인력 : 기업․연구기관은 우주분야 고용인력, 대학은 석사학위

이상의 우주분야 연구인력을 각각 의미

◈ 우주기기제작 : 우주물체와 지상시설, 이와 관련한 소프트웨어나 부품 등의

연구․개발․제작․생산

◈ 우주활용 : 인공위성, 우주정거장 등과 같은 우주 인프라를 활용하거나 이를

이용한 서비스의 제공 및 본 서비스 이용 장비(단말기 등)의 연구․개발․
제작․생산 등

◈ 우주분야 참여기관 : 우주분야에 매출 또는 예산이 있거나 우주관련 인력이

있는 기업․연구기관․대학

        *  대학의  경우는  개별  과(부)를  1개의  기관으로  계상(같은  대학  소속이더라도  과(부)가  다를 

경우  각기  다른  기관으로  계상)

◈ 우주분야 매출액(우주산업 규모) : 기업은 우주분야 매출, 연구기관은 우주분야

예산, 대학은 우주분야 연구비를 각각 의미

◈ 통계표에 나타난 ‘NA’는 해당수치가 없는 경우이며 ‘0’은 단위수치 미만을 의미

6. 본 조사보고서의 이용 상 유의점과 제약조건

◈ 우주분야 매출액의 경우,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예산 중 일부가 기업의 매출* 및

대학의 연구비**와 중복 계상되어 있어 실제 우주분야 총 매출액은 본 보고서의
규모보다 작을 수 있음

      *    기업으로부터의  기술․제품  등을  구입(기업의  입장에서는  매출액으로  계상됨)

      **  대학으로의  연구개발  위탁(대학의  입장에서는  연구비로  계상됨)


background image

6

◈ 본 우주산업실태조사보고서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경우 우주분야에 매출 및

연구비가 있는 대부분의 기업․대학․연구기관이 조사대상에 포함, 동 기관의
직접적 응답 자료에 기초하여 조사․분석이 이루어졌으나,

- 우주활용 서비스이용장비 분야의 경우 그 대상과 범위의 광대함과 우주관련

자체의 모호성으로 인한 조사의 현실적 어려움으로 인해, 내비게이션 분야는
데이코 D&S사의 「2006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의 조사결과를,
통신기기 분야는 관련 대표 2개 기업 응답 자료를 기초로 조사․분석 수행

        ※  본  보고서의  내용  중  특별한  언급이  없는  경우는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하지  않은  경우

이며,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자료일  경우  별도로  표시함

◈ 현재 국내외적으로 우주분야(우주산업 분야)에 대한 표준적인 정의는 없는 상태로

본 보고서에서는 국내외 우주 관련 자료를 참고하여 우주분야의 범위 등을
정하였으며, 우주분야 범위 등에 대한 정의를 달리할 경우 매출액, 인력, 수출입액
등의 관련 수치가 달라질 수 있음

        ※  우주분야도  다른  분야와  마찬가지로  점점  더  여러  산업분야가  서로  연관성을  가지고  얽혀

있어  우주분야를  타  분야와  명확히  구분하기가  현실적으로  불가능

            -  예)  위성방송․통신 분야의 경우 우주분야(위성활용 분야)인 동시에 방송․통신 분야이기도 함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Ⅱ•요  약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9

II.  요  약

II.  요 

1. 종  합

2007년 우주분야 주요 활동으로는 2011년, 2010년 각각 발사 예정인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와 2009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과학위성 2호 및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개발․제작․시험과 2009년 발사를 위한 소형위성발사체
(KSLV-I)의 개발․제작 및 우주센터 건설 등이 있었으며, 2008년 4월 한국
최초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과학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실험 장비
제작도 이루어졌다. 2006년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2호가 촬영한 위성영상이
2007년 6월부터 해외 판매되기 시작하며 다목적실용위성 2호 위성영상
상용화가 본격화 되었다. 또한 (주)케이티는 2006년 발사한 무궁화위성 5호를
이용하여 위성통신서비스를 본격화하였으며, (주)쎄트렉아이가 중동 국가에
소형 관측위성을 수출하여 우주분야 수출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2007년 우주분야 참여기관은 총 76개로 기업 34개, 연구기관 11개, 대학

(학과) 31개이다. 2007년 기업의 매출, 연구기관의 예산, 대학의 연구비를
합한 우주산업 총 규모는 전년 대비 13.2% 증가한 1조 2,630억원으로,
2006년에 전년대비 27.9% 증가한데 이어 2007년에도 10%대의 증가세를 기록
함으로써 우리나라 우주산업 규모가 크게 팽창하고 있음을 보여주었다.

기업은 총 8,873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연구기관은 3,673억원의 예산을,

대학은 84억원의 연구비를 각각 집행하였다. 데이코 D&S사의 「2006 네비
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에 기초한 2007년 내비게이션 분야 매출
(7,000억원)을 합하면 우리나라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은 1조 5,873억원으로
우주산업 총 규모는 1조 9,630억원에 이른다. 연구기관과 대학의 연구비는 전년
대비 각각 9.2%, 28.0% 감소*한 반면 기업의 매출은 전년 대비 26.7% 증가하여
기업의 우주분야 참여가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연구예산의  대부분을  정부지원에  의존하는  연구기관‧대학의  특성상  정부우주개발 

예산이  3,125억원('06)에서  2,924억원('07)으로  감소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됨


background image

10

우주분야 매출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06년 63%에서 2007년

70%로 증가하여 우주분야에서 기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보였다.

2007년 기업, 연구기관, 대학의 우주관련 인력은 각각 1,621명, 717명, 367명

으로 총 인력은 전년대비 14% 증가한 2,705명으로 조사되었다. 기업과 대학의
인력은 각각 17.3%, 40.6% 증가한 반면 무궁화위성 5호의 군 통신용 탑재체
개발 종료에 따른 전문연구기관 담당부서 해체에 따라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의 인력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인력은 1.8%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7년 우주분야 참여기관의 총 투자액은 4,012억원으로 전체의 89.7%가

연구개발에 투자되었으며, 설비투자는 총 투자액의 9.8%를 차지했다. 직원
교육 및 도서구입 투자비중은 1%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2. 기  업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에서 우주활용 분야는 전체의 85.7%를 차지하여

우주활용 분야 산업이 우주기기제작 분야 산업보다 더욱 활성화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주기기제작 분야 매출은 전체의 14.3%인 1,268억원으로
전년 대비 123% 크게 증가하였다. 이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 과학기술위성 2호,
통신해양기상위성, 소형위성발사체(KSLV-I)의 개발에 따른 기업의 우주개발
참여 확대에 기인한 것으로 분석된다. 우주활용 분야는 7,604억원의 매출을
올려 전년대비 18% 증가하였으며, 그 주요 원인은 위성방송 분야의 매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총 수출액은 573억원으로, 전년 대비 11.0% 증가

하였다. 주요 수출 실적으로는 (주)쎄트렉아이의 위성 및 위성영상처리용
지상장치 수출, (주)아태위성산업의 위성 휴대폰 수출, (주)하이게인안테나의
위성 수신용 안테나 부품 수출 등이 있었다.

기업의 우주분야 총 수입액은 275억원으로 전년대비 134.7% 증가하였다.

주요 수입내용은 한국항공우주산업(주)․(주)대한항공의 다목적실용위성


background image

Ⅱ•요  약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1

3호․5호 제작을 위한 자재 수입, (주)대한항공의 발사체 지상이송장비 도입,
두원중공업(주)의 알루미늄 원자재 수입, (주)쎄트렉아이의 소형위성 부품
구입 등이다.

기업의 우주분야 종사인력 규모는 우주기기제작 분야에 727명, 우주활용

분야에 894명으로 총 1,621명으로 조사되었다. 기업은 또한 향후 5년 동안
우주분야에 추가적으로 947명의 인원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하여 향후 5년
후엔 기업의 우주분야 종사인력은 현재의 1.6배 규모로 팽창할 것으로
예상된다.

3. 연구기관

2007년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총 예산은 3,673억원으로 전년 대비 9.2%

감소하였다. 연구기관 우주분야 총 예산의 세부내역을 살펴보면 인공위성
분야 예산이 전체 우주분야 예산의 53.5%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발사체 분야는 22.9%, 지상설비 분야는 12.0%를 차지하였다. 원격탐사
분야는 전체 예산대비 6.9%로 위성활용 분야 중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다.

2007년 연구기관 우주분야 종사인력은 전년 대비 1.8% 감소한 717명으로

78.8%는 우주기기제작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주분야 연구기관이 응답한 향후 5년 동안의 우주분야 추가소요 인력은

우주기기제작 분야 108명(현재 인력 대비 약 20%), 우주활용 분야 112명
(현재 인력 대비 약 70%)으로 총 220명이었다.

4. 대  학

2007년 대학의 우주분야 총 연구비는 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8.0% 감소

하였다. 이는 연구기관과 마찬가지로 우주분야 연구예산의 대부분을 정부


background image

12

지원에 의존하는 대학의 특성상 2007년 정부 우주개발 예산이 전년대비
6.1% 감소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중 우주활용 분야의 연구비가 전체의 42.0%를

차지하여 연구기관(11.7%)에 비하여 우주활용 분야의 연구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분류 기준에서는 우주활용 분야의 원격
탐사 분야와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인공위성 분야․발사체 분야의 연구비
(각각 전체의 약 25%)가 전체의 75%를 차지하여 대학에서는 이 세 분야의
연구비중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07년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은 전년 대비 40.6% 증가한 367명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하였다.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 중 53.1%가 우주기기제작 분야에서, 46.9%가 우주

활용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기업, 연구기관에
비해 우주활용 분야의 인력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분류 기준으로는 전체의 28.6% 인력이 발사체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그 외 각 분야 연구인력 비율이 인공위성 분야 19.1%, 원격탐사 분야
19.1%, 위성항법 분야 9.8%로 조사되어 기업, 연구기관에 비해 연구 인력이
각 분야에 두루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5

III.  우주산업  세부  현황

III.  우주산업  세부 

1. 종  합

2007년 우주분야 주요 활동으로는 2011년, 2010년 각각 발사 예정인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와 2009년 발사를 목표로 하는 과학위성 2호 및
통신해양기상위성의 개발․제작․시험과 2009년 발사를 위한 소형위성발사체
(KSLV-I)의 개발․제작 및 우주센터 건설 등이 있었으며, 2008년 4월 한국
최초 우주인이 국제우주정거장에서 과학실험을 수행하기 위한 실험 장비
제작도 이루어졌다. 2006년 발사된 다목적실용위성 2호가 촬영한 위성영상이
2007년 6월부터 해외 판매되기 시작하며 다목적실용위성 2호 위성영상
상용화가 본격화 되었다. 또한 (주)케이티는 2006년 발사한 무궁화위성 5호를
이용하여 위성통신서비스를 본격화하였으며, (주)쎄트렉아이가 중동 국가에
소형 관측위성을 수출하여 우주분야 수출의 주요한 부분을 차지하였다.

 1.1. 우주분야 참여기관 일반 현황

2007년 우주분야 참여기관은 총 76개로 기업 34개1), 연구기관 11개2),

대학(학과) 31개3)이다.

 가. 분야별 우주관련 기관수

1)

 (주)넷커스터마이즈, (주)단암, (주)대한항공, 두원중공업(주), 삼성탈레스(주), 서진인스텍, (주)솔탑, (주)스페이스링크, 

(주)쎄트렉아이, 씨앤스페이스, 아태위성산업(주), 알앤지월드, (주)에이알테크놀로지,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엠티지, 
(주)위드텍,  (주)이오시스템,  중앙항업(주),  (주)지아이소프트,  (주)지오씨엔아이,  (주)창우통상,  (주)카이이미지, 
(주)케이티, (주)코스페이스, 티유미디어(주), (주)픽소니어, (주)하이게인안테나,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한국항공
우주산업(주), 한국화이바(주), 한양네비콤(주), (주)한화, 현대중공업(주), STX엔진(주)

2)

 국립기상연구소, 국립방재연구소,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전문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전자통신

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3)

 강원대학교(지구물리), 건국대학교(사회환경시스템공학,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 경상대학교(항공우주공학),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 고려대학교(환경생태공학), 공주대학교(대기과학), 광주과학기술원(환경공학), 국민대학교(응용정보기술), 
남서울대학교(지리정보공학), 부경대학교(위성정보과학), 부산대학교(항공우주공학, 대기과학), 서울대학교(기계항공공학, 
건설환경공학부),  연세대학교(천문우주),  울산대학교(항공우주공학),  인하대학교(항공우주공학,  지리정보공학),  전북대학교
(항공우주공학),  조선대학교(항공우주공학),  충남대학교(항공우주공학,  천문우주과학),  한국과학기술원(항공우주공학), 
한국폴리텍항공대학교(항공기계, 항공정비, 항공전자), 한성대학교(정보시스템공학), 항공대학교(항공우주 및 기계공학, 항
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 항공재료공학)


background image

16

대체적으로 우주기기제작 분야보다는 우주활용 분야에 참여하는 기관수가

적게 조사되어 우리나라의 우주개발이 우주활용 분야 보다는 우주기기제작
분야에 더 집중되어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는 역으로 우리나라의 우주활용
분야의 산업 및 연구가 앞으로 더욱 활성화될 여지가 많음을 나타내는
것이기도 하다.

우주산업 중분류 기준으로는 원격탐사 분야에 제일 많은 기관이 참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대학에서 위성영상 활용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기업․연구기관에 비해 원격탐사 분야에서 대학의 참여가 높게
나타났다.

<그림1>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관 현황

대분류

중분류

참여기관 수

합 계

기업

연구기관

대학(학과)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8

5

9

22

발사체

8

1

10

19

지상설비

16

5

5

26

우주활용

원격탐사

8

6

13

27

위성항법

0(78*)

4

4

8(86*)

위성방송

2

1

0

3

위성통신

4

1

1

6

우주과학

0

4

3

7

<표 3>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관 현황

(단위 : 개)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7

 나. 우주분야 참여기관의 지역별 분포

우주분야 참여기관은 수도권에 50.0%, 충청권에 26.3%, 영남권에 18.4%가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은 본사가 수도권에 밀집되어 수도권에
많은 기업이 분포하며 연구기관은 대전 연구단지에 밀집되어있어 수도권
및 충청권을 중심으로 우주분야 기업․연구기관․대학의 군이 형성되어
있었다. 영남권에는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을 중심으로 한 항공우주산업군이
형성되어 있어, 우주관련 기관의 분포가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표 4> 우주분야 참여기관의 지역별 분포

(단위 : 개)

소재지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계(비율)

기업

21(61.8%)

0(0.0%)

5(14.7%)

0(0.0%)

8(23.5%)

34(100.0%)

연구기관

4(36.4%)

0(0.0%)

0(0.0%)

0(0.0%)

7(63.6%)

11(100.0%)

대학 학과

13(41.9%)

1(3.2%)

9(29.0%)

3(9.7%)

5(16.1%)

31(100.0%)

합 계

38(50.0%)

1(1.3%)

14(18.4%)

3(3.9%)

20(26.3%) 76(100.0%)

 1.2. 우주산업 매출현황

2007년 기업의 매출, 연구기관의 예산, 대학의 연구비를 합한 우주산업

매출 총 규모는 1조 2,630억원이다. 우주산업 총 매출은 2006년 전년대비
27.9% 증가한데 이어 2007년에도 전년 대비 13.2% 증가하여 우리나라 우주
산업의 규모가 크게 팽창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가. 우주산업 기관별 매출 규모

기업은 총 8,873억원의 매출을 올렸으며, 데이코 D&S사의 「2006 네비

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에 기초하여 전망한 2007년 내비게이션
매출(7,000억원)을 합산할 경우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은 1조 5,873억원이다.


background image

18

연구기관은 2007년 총 3,673억원의 우주 분야 예산을, 대학은 84억원의 우주
분야 연구비를 각각 집행하였다. 연구기관과 대학의 연구비는 전년대비
각각 9.2%, 28.0% 감소*한 반면 기업의 매출은 전년 대비 26.7% 증가하여
기업의 우주분야 참여가 더욱 활성화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  연구예산의  대부분을  정부지원에  의존하는  연구기관‧대학의  특성상  정부우주개발 

예산이  3,125억원('06)에서  2,924억원('07)으로  감소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됨

우주산업 매출에서 기업이 차지하는 비중 또한 2006년 63%에서 2007년

70%로 증가하여 우주분야에서 기업의 비중이 커지고 있음을 보였다.

<그림2> 기업, 연구소, 대학의 우주분야 총 매출액 및 연구비 추이

<표 5> 우주산업 연도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기 업

558,536

(NA)

700,055(25.3%)

(NA)

887,255 (26.7%)

(1,587,255*)

연구기관

303,565

404,369(33.2%)

367,302(△9.2%)

대 학

10,377

11,718(12.9%)

8,441(△28.0%)

합 계

872,478

(NA)

1,116,142(27.9%)

(NA)

1,262,998 (13.2%)

(1,962,998*)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9

 나.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2007년 우주산업 총 매출(1조 2,630억원) 중 우주기기제작 분야와 우주

활용 분야(이상 우주산업 대분류)의 매출 비중은 각각 36%(4,562억원)와
64%(8,068억원)이다. 우주산업 매출을 중분류로 보다 세분화해 보면 위성
방송 분야가 전체대비 40%(5,077억원)를 차지하여 가장 규모가 큰 우주
산업 분야로 조사되었다. 그 다음으로 규모가 큰 우주산업 분야는 위성
통신 분야(19%, 2,420억원)와 인공위성 분야(19%, 2,407억원)이며, 지상
장비 분야, 발사체 분야 순으로 우주산업 규모가 큰 것으로 조사되었다.

      ※  내비게이션  분야(2007년  매출액(추정치)  7,000억원)를  고려할  경우,  위성항법 

분야(7,016억원)가  위성방송  분야(5,077억원)보다  그  규모가  큰  것으로  조사됨

<표 6>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기업(비율)

(매출)

연구기관(비율)

(예산)

대학(비율)

(연구비)

합계(비율)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42,156(4.8%) 196,429(53.5%)

2,111(25.0%)

240,696(19.1%)

발사체

14,570(1.6%)

84,083(22.9%)

2,100(24.9%)

100,753(8.0%)

지상설비

70,098(7.9%)

43,935(12.0%)

682(8.1%)

114,715(9.1%)

합 계

126,824(14.3%) 324,447(88.3%)

4,893(58.0%)

456,164(36.1%)

우주활용

원격탐사

10,784(1.2%)

25,369(6.9%)

2,116(25.1%)

38,269(3.0%)

위성항법

0(0.0%)

(700,000*)

1,167(0.3%)

441(5.2%)

1,608(0.1%)

(700,000*)

위성방송

507,708(57.2%)

21(0.0%)

0(0.0%)

507,729(40.2%)

위성통신

241,939(27.3%)

53(0.0%)

0(0.0%)

241,992(19.2%)

우주과학

0(0.0%)

15,204(4.1%)

730(8.6%)

15,934(1.3%)

기 타

0(0.0%)

1,041(0.3%)

261(3.1%)

1,302(0.1%)

합 계

760,431(85.7%)

(1,460,431*)

42,855(11.7%)

3,548(42.0%)

806,834(63.9%)

(1,506,834*)

총 계

887,255(100.0%)

(1,587,255*)

367,302(100.0%)

8,441(100.0%) 1,262,998(100.0%)

(1,962,998*)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20

<그림3> 기업의 매출액, 연구소․대학의 예산 및 연구비 총액

 1.3. 우주산업 수출입 현황

2007년 우주산업 분야에서 총 573억원을 수출하고, 1,240억원을 수입하여

666억원의 무역 적자를 보았으나, 2006년 1,509억원 적자(수출 526억원, 수입
2,035억원)에 비해 적자폭이 상당히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적자폭 감소의
원인은 수출의 증가(9% 증가)보다는 수입의 감소(39% 감소)에 따른 것이며,
우주분야의 수출은 인공위성․지상장비․위성영상․위성통신 분야에 한정
되어 발생하였다.

<표 7> 우주산업 연도별 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06

’07(증가율)

’06

’07(증가율)

’06

’07(개선율)

우주기기제작

9,368 13,902(48.4%) 146,808 117,499(△20.0%) △137,440 △103,597(24.6%)

우주활용

43,212 43,446(0.5%)

56,720

6,464(△88.6%) △13,508 36,982(373.8%)

총 계

52,580

57,348(9.1%) 203,528 123,963(△39.1%) △150,948 △66,615(55.9%)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21

<그림4> 우주산업 분야별 수출입 현황

<표 8> 우주산업 분야별 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비율

비율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10,697

18.7%

64,630

52.1%

발사체

0

0.0%

7,994

6.4%

지상설비

3,205

5.6%

44,875

36.2%

합 계

13,902

24.2%

117,499

94.8%

우주활용

기 타

원격탐사

345

0.6%

674

0.5%

위성항법

0

0.0%

348

0.3%

위성방송

0

0.0%

0

0.0%

위성통신

43,101

75.2%

5,273

4.3%

우주과학

0

0.0%

169

0.1%

기 타

0

0.0%

0

0.0%

합 계

43,446

75.8%

6,464

5.2%

총 계

57,348

100.0%

123,963

100.0%


background image

22

 1.4. 우주산업 총 투자 현황

2007년 우주분야 참여기관의 총 투자액은 4,012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전체 투자액의 90%(3,600억원)가 연구개발 분야에 투자되었으며, 설비투자는
총 투자액의 10%를 차지한다. 직원 교육 및 도서구입 투자 등 기타는
전체 투자 대비 비중이 1% 미만으로 조사되었다.

<표 9>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기업(비율)

연구기관(비율)

대학(비율)

합계(비율)

설비투자

13,000(58.2%)

26,061(6.9%)

332(31.8%)

39,393(9.8%)

연구개발

8,606(38.6%)

350,725(92.8%)

713(68.2%)

360,044(89.7%

717(3.2%)

1,033(0.3%)

0(0.0%)

1,750(0.4%)

22,323(100.0%) 377,819(100.0%)

1,045(100.0%) 401,187(100.0%)

 1.5. 우주산업 인력 현황

2007년 기업, 연구기관, 대학에 종사하는 우주분야 인력은 2,705명으로

전년대비 14.0% 증가하였다. 기업과 대학의 우주분야 종사인력이 각각
17.3%, 40.6% 증가한 반면 무궁화위성 5호 군 통신용 탑재체 제작 종료에
따른 전문연구기관 담당 조직의 해체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등의 인력이
증가했음에도 불구하고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종사인력은 1.8% 감소한 것
으로 조사되었다.

<표 10> 우주산업 연도별 종사인력 현황

(단위 : 명)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1,301

1,381(6.1%)

1,621(17.3%)

연구기관

695

730(5.0%)

717(△1.8%)

229

261(14.0%)

367(40.6%)

2,225

2,372(6.6%)

2,705(14.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23

<그림5> 기업, 연구소, 대학의 우주분야 총 종사인력 추이

 가. 우주분야 종사인력의 기관별‧성별 현황

2007년 우주분야 종사인력 중 기업, 연구기관, 대학의 인력 비중은 각각

59.9%(1,621명), 26.5%(717명), 13.6%(367명)이다. 기업 인력의 비중이 2006년
(58.2%)에 이어 2007년에도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편, 우주분야 종사인력의 성별 비중은 남성 88.2%, 여성 11.2%로 조사

되었다. 기업, 연구기관, 대학의 우주분야 종사인력 중 여성 비율은 각각
9.7%, 15.8%, 8.7%로 연구기관의 여성 비율이 기업, 대학에 비하여 비교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11> 우주산업 종사인력 기관별‧성별 현황

(단위 : 명)

남(성별 비율*)

여(성별 비율*)

합계(기관별 비율**)

1,463(90.3%)

158(9.7%)

1,621(59.9%)

연구기관

604(84.2%)

113(15.8%)

717(26.5%)

335(91.3%)

32(8.7%)

367(13.6%)

2,402(88.8%)

303(11.2%)

2,705(100.0%)

      *    전체  인력에  대한  (남성/여성)의  비율

      **  전체  인력에  대한  각  기관(기업/연구기관/대학)의  비율


background image

24

 나. 우주분야 인력의 학력별 분포

2007년 우주분야 종사인력의 학력별 비중은 박사 16.0%, 석사 36.4%, 학사

37.7%, 기타 9.9%이다.

각 기관별 인력비중에서는 기업은 학사(57.4%), 연구기관․대학에서는

석사(각각 49.4%, 67.0%) 학위의 인력비중이 가장 높았으며, 박사 학위 이상의
인력비중이 기업 3.2%, 연구기관 36.1%, 대학 33.0%로 각각 조사되어 기업의
박사학위 인력비중이 연구기관․대학에 비해 매우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6> 우주분야 총 종사인력의 학력별 현황

<표 12> 우주분야 종사인력 학력별 현황

(단위 : 명)

구 분

기업(비율)

연구기관(비율)

대학(비율)

전체(비율)

박 사

52(3.2%)

259(36.1%)

121(33.0%)

432(16.0%)

석 사

384(23.7%)

354(49.4%)

246(67.0%)

984(36.4%)

학 사

931(57.4%)

90(12.6%)

NA

1,021(37.7%)

고졸이하

254(15.7%)

14(2.0%)

NA

268(9.9%)

합 계

1,621(100.0%)

717(100.0%)

367(100.0%)

2,705(100.0%)

<표 13> 우주분야 종사인력 학력별 증감 현황

(단위 : 명)

구 분

박사

석사

학사

고졸이하

합 계

’06

’07

’06

’07

’06

’07

’06

’07

’06

’07

인 력

416

432

870

984

901

1,021

185

268

2,372

2,705

비율(%)

18%

16%

36%

36%

38%

38%

8%

10%

100%

10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25

 다. 우주분야 인력의 우주산업 분야별 분포

우주분야 인력의 55.0%는 우주기기제작 부분에 종사하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우주산업 중분류 기준에서는 인공위성 분야에 가장 많은 인원이
종사하며, 지상설비, 위성방송, 발사체, 위성통신, 원격탐사의 순으로 종사
인력이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7> 우주산업 분야별 총 종사인력 현황

<표 14> 우주산업 분야별 종사인력 현황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비율

비율

비율

비율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213

13.1%

286

39.9%

70

19.1%

569

21.0%

발사체

118

7.3%

167

23.3%

105

28.6%

390

14.4%

지상설비

396

24.4%

112

15.6%

20

5.4%

528

19.5%

합 계

727

44.8%

565

78.8%

195

53.1%

1,487

55.0%

우주활용

원격탐사

119

7.3%

66

9.2%

70

19.1%

255

9.4%

위성항법

15

0.9%

24

3.3%

36

9.8%

75

2.8%

위성방송

457

28.2%

7

1.0%

0

0.0%

464

17.2%

위성통신

303

18.7%

19

2.6%

5

1.4%

327

12.1%

우주과학

0

0.0%

31

4.3%

31

8.4%

62

2.3%

기 타

0

0.0%

5

0.7%

30

8.2%

35

1.3%

합 계

894

55.2%

152

21.2%

172

46.9%

1,218

45.0%

총 계

1,621 100.0%

717 100.0%

367 100.0%

2,705 100.0%


background image

26

2. 기 업

 2.1. 일반현황

 가.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업 현황

2007년 우주분야에 매출이 있거나 관련 인력을 고용하고 있다고 응답한

기업은 34개1)이다.

인공위성제작 분야 9개, 발사체제작 분야 8개, 지상설비 제작 분야 16개

등 우주기기 제작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은 27개로 조사되었으며, 우주활용
분야는 원격탐사, 위성방송, 위성통신통신(서비스제공) 분야 12개, 위성통신
(서비스이용장비) 분야 2개 등 14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4개 기업이 참여하고 있는 우주산업 세부분야는 아래의 표와 같으며,

여러 우주분야에 참여하고 있는 기업의 경우 해당 참여 분야에 모두 기재
하였다.

위성통신과 위성항법은 서비스제공 분야와 소비자가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서비스이용장비 분야로 세 분류하였으며, 서비스이용장비의 내비게이션
분야는 산업조사 전문기관인 데이코 D&S사의 「2006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 자료를 인용*하였다.

      *  「2006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에서  조사된  내비게이션  분야  관련기업은 

78개로  세부  통계자료가  조사되지  않아  매출액  등  특별한  경우를  제와하고는  본 

보고서  통계자료에  내비게이션  분야는  포함하지  않았으며,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자료일  경우  별도로  표시함

1)

 (주)넷커스터마이즈, (주)단암, (주)대한항공, 두원중공업(주), 삼성탈레스(주), 서진인스텍, (주)솔탑, (주)스페이스링크, 

(주)쎄트렉아이, 씨앤스페이스, 아태위성산업(주), 알앤지월드, (주)에이알테크놀로지,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엠티지, 

(주)위드텍,  (주)이오시스템,  중앙항업(주),  (주)지아이소프트,  (주)지오씨엔아이,  (주)창우통상,  (주)카이이미지, 

(주)케이티, (주)코스페이스, 티유미디어(주), (주)픽소니어, (주)하이게인안테나,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한국항공

우주산업(주), 한국화이바(주), 한양네비콤(주), (주)한화, 현대중공업(주), STX엔진(주)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27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참여기업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주)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서진인덱스

위성 본체

(주)쎄트렉아이, 두원중공업(주), (주)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주)

탑재체

위드텍, 삼성탈레스(주), (주)대한항공,

(주)코스페이스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단암시스템즈, 한양네비콤(주), (주)한화,
한국화이바(주), (주)대한항공

추진기관

씨앤스페이스, (주)한화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주)한화, 두원중공업(주),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주)하이게인안테나, (주)엠티지, (주)스페이스링크,

(주)솔탑, (주)에이알테크놀로지, 도담시스템즈,

(주)쎄트렉아이, 서진인덱스, STX엔진(주),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창우통상, (주)대한항공,

(주)픽소니어, 위드텍, 넷커스터마이즈

발사체 관련 현대중공업(주)

우주활용

원격탐사

지오씨엔아이, (주)지아이소프트, (주)카이이미지,

중앙항업(주), 알앤지월드, (주)창우통상, 픽소니어,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서비스이용

장비

(내비게이션)

(현대오토넷, 팅크웨어, 카포인트, 파인디지털 등 78개*)

위성방송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주)케이티, (주)코스페이스

서비스이용

장비

삼성탈레스, 아태위성산업(주)

<표 15>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업 현황

      *  「2006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에서  조사된  내비게이션  분야  관련기업


background image

28

 나. 지역별 분포(본사 소재지 기준)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61.8%가 수도권에 분포하고 있으며, 충청권에

23.5%, 영남권에 14.7%가 각각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위성서비스
분야 및 우주기기제작 분야 기업의 본사가 수도권에 밀집되어 있으며,
우주기기 제작업체의 주요 공장 및 지사는 대덕연구단지 및 영남 사천시를
중심으로 밀집되어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16> 우주분야 참여기업 지역별 분포

구 분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계(비율)

기업 수(비율)

21(61.8%)

0(0.0%)

5(14.7%)

0(0.0%)

8(23.5%)

34(100.0%)

 다. 우주분야 매출 비중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총 매출대비 우주분야 매출 비중은 2%로 항공, 기계,

전자, 통신 등 기업의 다른 산업분야에 비해 우주분야의 비중이 매우 낮았다.
총 매출에서 우주분야 매출 비중이 25%이하인 기업은 전체기업의 56%이며,
우주분야의 매출이 기업 전체 매출의 75%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우주 전문
기업은 (주)픽소니어, (주)지아이소프트, (주)카이이미지, 아태위성산업(주),
알앤지월드,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 (주)솔탑, (주)쎄트렉아이
등이다.

<표 17>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우주분야 매출 비중

총매출 대비

우주분야 매출 비중

0%~25%

26%~50%

51%~75%

76%~100%

기업 수

19

3

1

11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29

 라. 자본금 규모별 업체 분포

자본금 규모에 따른 우주분야 참여기업 수는 100억원 이상이 11개, 100억원

미만이 20개로 조사되었으며 자본금 규모를 확인할 수 없었던 3개 기업의
자본금 규모를 100억원 이하로 추정할 때, 자본금 100억원 이하 중소기업이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67.6%를 차지했다

<표 18> 우주분야 참여기업 자본금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5,000억 이상

NA

기업 수

9

11

1

8

2

3

 마. 매출액 규모별 업체 분포

총 매출액* 규모에 따른 우주분야 참여기업 수는 100억원 이상이 20개,

100억원 미만이 12개로 조사되었으며, 매출액 규모를 확인할 수 없었던 2개
기업의 매출을 100억원 이하로 추정할 때 매출액 100억원 이상의 기업이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58.8%를 차지했다.

      *  우주분야에서만의  매출이  아닌,  기계․전자․항공  등  모든  분야에서  총  매출  합계

<표 19> 우주분야 참여기업 매출액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5,000억~1조 1조 이상

NA

기업 수

3

9

8

5

3

4

2

 바. 총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총 고용인력 규모에 따른 우주분야 참여기업 수는 100명 미만 소기업이

16개, 100명이상 1,000명 미만 중소기업 10개, 1,000명이상 대기업이 7개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30

<표 20> 우주분야 참여기업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구 분

100명 미만

100명~499명 500명~1,000명 1,000명 이상

NA

기업 수

16

8

2

7

1

 2.2. 우주분야 매출현황 및 추이

 가. 매출 현황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총 매출은 8,873억원으로 조사되었다. 2006년

우주분야 매출이 전년대비 25.3% 증가한데 이어 2007년에도 전년대비
26.7% 증가를 기록함으로써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성장세가 꾸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데이코 D&S사의 「2006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에서 전망한

2007년도 내비게이션 분야의 기업매출 7,000억원을 포함할 경우 기업의
2007년 우주분야 총 매출은 1조 5,873억원으로 추정된다.

<표 21>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연도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매출액

558,536

(NA)

700,055 (25.3%)

(NA)

887,255 (26.7%)

(1,587,255*)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우주분야 총 매출에서 우주활용 분야의 매출은 전체의 85.7%를 차지하여

우주활용 분야 산업이 우주기기제작 분야 산업보다 활성화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31

우주활용 분야에서의 매출은 7,604억원으로 전년대비 18% 증가하였으며,

이는 주로 위성방송 분야에서의 매출 증가에 따른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주기기제작 분야에서의 매출은 1,268억원으로 7,604억원의 매출을 기록한

우주활용 분야에 비해 상대적으로 그 규모가 작지만, 전년대비 122.8% 증가
하여 증가율에서는 우주활용 분야를 크게 앞질렀다. 이러한 큰 폭의 매출
증가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 과학기술위성 2호, 통신해양기상위성, 소형
위성발사체(KSLV-I)의 개발에 기업의 참여가 확대된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표 22> 기업의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06년(비율)

’07년(비율)

’06년 대비 증가율

우주기기제작

56,928(8.1%)

126,824(14.3%)

122.8%

우주활용

643,127(91.9%)

760,431(85.7%)

18.2%

합 계

700,055(100.0%)

887,255(100.0%)

26.7%

우주활용 분야에서 뿐만 아니라, 우주분야 전체에서 가장 큰 매출 비중을

차지하는 분야(중분류 기준)는 위성방송 분야로 그 규모가 약 5,000억원이며,
그 다음으로 위성통신 분야 매출이 약 2,400억원(서비스제공 1,334억원, 서비스
이용장비 1,085억원)을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  내비게이션  분야(2007년  매출액(추정치)  7,000억원)를  고려할  경우,  위성항법 

분야(7,016억원)가  위성방송  분야(5,077억원)보다  그  규모가  큰  것으로  나타남

우주기기제작 분야에서는 지상설비제작 분야의 매출이 701억원으로

가장 크며, 인공위성 제작 분야 매출이 발사체 제작 분야 보다 약 3배정도
많은 422억으로 조사되어 2007년은 위성 제작 산업이 비교적 활발하였음을
보여주었다.


background image

32

<표 23>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내 수

수 출

합 계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026

10,469

11,495

위성본체

20,173

228

20,401

탑재체

10,260

0

10,260

소계

31,459

10,697

42,156

발사체

시스템

9,751

0

9,751

추진기관

666

0

666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4,153

0

4,153

소계

14,570

0

14,57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53,993

3,205

57,198

발사체 관련

12,900

0

12,900

소계

66,893

3,205

70,098

합 계

112,922

13,902

126,824

우주활용

원격탐사

10,484

300

10,784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0

0

0

서비스이용장비

(네비게이션)

0

(700,000*)

0

0

(700,000*)

소계

0

(700,000*)

0

0

(700,000*)

위성방송

507,708

0

507,708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90,300

43,101

133,401

서비스이용장비

108,538

0

108,538

소계

198,838

43,101

241,939

합 계

717,030

(1,417,030*)

43,401

760,431

(1,460,431*)

총 계

829,952

(1,529,952*)

57,303

887,255

(1,587,255*)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33

<그림8>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매출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액 규모별 분류는 다음 표와 같다.

매출액을 답하지 않은 4개 기업은 매출이 10억원 미만으로 추정되며, 우주
분야 매출액 100억원 미만의 기업이 전체의 70.6%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2006년 86.1%의 기업이 100억 미만의 우주분야 매출을 기록
하였던 것에 비하면 우주분야에서 100억 이상의 매출을 기록한 기업의 수가
크게 증가한 것을 알 수 있다.

우주분야 매출이 100억원 이상 1,000억원 미만의 기업은 한국항공우주

산업(주),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쎄트렉아이, (주)케이티, 현대중공업(주),
(주)하이게인안테나, 아태위성산업(주), 삼성탈레스(주)이며, 1,000억원 이상인
기업은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로 조사되었다.

2006년 우주분야 매출 100억원 미만에서 2007년 우주분야 매출 100억원

이상으로 성장한 기업은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쎄트렉아이, 현대중공업(주),
(주)하이게인안테나, 삼성탈레스(주), (주)티유미디어이며, 특히 (주)티유미디어는
우주분야 매출 1,000억원 이상의 기업으로 성장하였다.

<표 24>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액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원 미만

(기업수/비율)

10억~100억원

(기업수/비율)

100억~1,000억원

(기업수/비율)

1,000억~5,000억원

(기업수/비율)

전체

(기업수/비율)

2006년

13(36.1%)

18(50.0%)

41)(11.1%)

12)(2.8%)

36(100.0%)

2007년

12(35.3%)

12(35.3%)

83)(23.5)

24)(5.9)

34(100.0%)


background image

34

<그림9>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액 규모별 기업수

 나. 내수 현황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국내 매출은 8,300억원으로 기업의 우주분야

총 매출의 93%를 차지하며 전년 대비 28% 증가하였다.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한 매출 비중은

27.1%로 정부주도의 우주개발사업, 군 위성통신, 지방자치단체의 지도제작
등에 기업의 참여가 비교적 활발하였다.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기업 매출에서 정부 및 공공기관 대상의 매출 비중은

90%로 우리나라의 우주기기제작이 대부분 정부 및 공공기관 주도로 이루어
지고 있음을 나타낸다. 특히 발사체 및 발사체 관련 지상장비 분야에서의
기업 매출은 100% 정부 및 공공기관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조사
되었다.

반면 우주활용 분야에서는 기업 매출의 83%가 민간을 대상으로 이루어진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중에서도 위성방송․통신 분야는 90% 이상의 매출이
민간을 대상으로 한 것이어서, 우리나라 민간 우주산업이 위성방송․통신
위주로 활성화되어 있음을 보여 주었다.

1)

  (주)티유미디어,  (주)케이티,  아태위성산업(주),  한국항공우주산업(주)

2)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3)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쎄트렉아이,  (주)케이티,  현대중공업(주),  (주)하이게인안테나,  아태위성산업(주), 

삼성탈레스(주)

4)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35

<표 25> 기업의 고객별 우주산업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

내수 합계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026

100.0%

0

0.0%

1,026

100.0%

위성본체

19,625

97.3%

548

2.7%

20,173

100.0%

탑재체

10,260

100.0%

0

0.0%

10,260

100.0%

소계

30,911

98.3%

548

1.7%

31,459

100.0%

발사체

시스템

9,751

100.0%

0

0.0%

9,751

100.0%

추진기관

666

100.0%

0

0.0%

666

100.0%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4,153

100.0%

0

0.0%

4,153

100.0%

소계

14,570

100.0%

0

0.0%

14,570

100.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42,787

79.2%

11,206

20.8%

53,993

100.0%

발사체

관련

12,900

100.0%

0

0.0%

12,900

100.0%

소계

55,687

83.2%

11,206

16.8%

66,893

100.0%

합 계

101,168

89.6%

11,754

10.4% 112,922

100.0%

우주활용

원격탐사

6,808

64.9%

3,676

35.1%

10,484

100.0%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0

-

0

-

0

-

서비스이용

장비

0

-

0

-

0

-

소계

0

-

0

-

0

-

위성방송

593

0.1% 507,115

99.9% 507,708

100.0%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8,000

8.9%

82,300

91.1%

90,300

100.0%

서비스이용

장비

108,538

100.0%

0.0% 108,538

100.0%

소계

116,538

58.6%

82,300

41.4% 198,838

100.0%

합 계

123,939

17.3% 593,091

82.7% 717,030

100.0%

총 계

225,107

27.1% 604,845

72.9% 829,952

100.0%


background image

36

 2.3. 수출입 현황

 가. 수출 현황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총 수출은 573억원으로, 전년(523억원) 대비

11.0% 증가하였다.

2007년 우주분야 수출로는 (주)쎄트렉아이의 위성시스템, 탑재체 및 위성

영상처리용 지상장치, 단암시스템즈, 카이이미지의 위성영상, (주)하이게인
안테나의 위성 수신용 안테나 부품, 아태위성산업의 위성통신단말기, 한국
항공우주산업(주)의 통신해양기상위성 비행모델 하니스, 두원중공업(주)의
열제어계 등이 있었으며, 수출액 규모가 큰 것으로는 아태위성산업의 중동
지역 위성 휴대폰 수출, (주)쎄트렉아이의 중동지역 소형위성 수출이 있었다.

한국항공우주산업(주)의 통신해양기상위성 비행모델 수출은 한국항공

우주산업(주)이 통신해양기상위성의 본체를 제작하여 통신해양기상위성 본체
개발을 주관하고 있는 프랑스 아스트리움사에 수출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26> 기업의 나라별․분야별 우주산업 수출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수출국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기타

합계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0

0

340

0

9,789

340 10,469

위성본체

0

0

90

138

0

0

228

탑재체

0

0

0

0

0

0

0

소계

0

0

430

138

9,789

340 10,697

발사체

시스템

0

0

0

0

0

0

0

추진기관

0

0

0

0

0

0

0

임무, 구조,

전자 등

0

0

0

0

0

0

0

소계

0

0

0

0

0

0

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0

0

648

258

2,299

0

3,205

발사체 관련

0

0

0

0

0

0

0

소계

0

0

648

258

2,299

0

3,205

합 계

0

0

1078

396 12,088

340 13,902

우주활용

원격탐사

0

0

0

0

300

0

300

위성항법

0

0

0

0

0

0

0

위성방송

0

0

0

0

0

0

0

위성통신

5,500

0

0

0 37,501

100 43,101

합 계

5,500

0

0

0 37,801

100 43,401

총 계

5,500

0

1,078

396 49,889

440 57,303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37

 나. 수입 현황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총 수입액은 275억원으로, 전년(117억원) 대비

134.7% 증가하였다.

2007년 우주분야 주요 수입으로는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 제작을 위한

한국항공우주산업(주)․(주)대한항공의 자재 수입(미국․유럽), (주)대한항공의
발사체 지상이송장비 수입(유럽), 두원중공업(주)의 알루미늄 원자재 수입
(미국), (주)쎄트렉아이의 소형위성 부품 수입(미국․유럽), (주)솔탑의 기상
영상수신장비 수입(미국), (주)케이티의 위성방송장비의 도입, (주)스페이스
링크의 위성통신장비의 수입(미국), 단암시스템즈의 발사체 전자장비 부품
수입(미국), (주)하이게인안테나의 위성통신용 안테나 부품 수입(미국), STX
엔진(주)의 고출력 증폭부 지상장비 수입 등이 있었다.

<표 27> 기업의 나라별․분야별 우주산업 수입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수출국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기타

합계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0

0

0

0

0

0

0

위성본체

5,625

0

1,137

382

0

5,384 12,528

탑재체

444

0

219

11

0

0

674

소계

6,069

0

1,356

393

0

5,384 13,202

발사체

시스템

2,280

0

200

0

0

0

2,480

추진기관

0

0

0

0

0

0

0

임무, 구조,

전자 등

0

0

0

0

0

0

0

소계

2,280

0

200

0

0

0

2,48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3,400

0

0

1,000

0

0

4,400

발사체

관련

0

0

1,700

0

0

0

1,700

소계

3,400

0

1,700

1,000

0

0

6,100

합 계

11,749

0

3,256

1,393

0

5,384

21782

우주활용

원격탐사

400

0

0

0

0

0

400

위성항법

0

0

0

0

0

0

0

위성방송

0

0

0

0

0

0

0

위성통신

3,673

0

1,600

0

0

0

5,273

합 계

4,073

0

1,600

0

0

0

5,673

총 계

15,822

0

4,856

1,393

0

5,384

27455


background image

38

 2.4. 투자 현황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투자액은 223억원으로 조사되었다.

설비투자로는 (주)대한항공의 다목적실용위성 3호․5호 구조설계 및 소형

위성발사체(KSLV-I) 총 조립 설비, 두원중공업(주)의 청정 조립동 설비,
(주)케이티의 VSAT 중심국 설치,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의 위성 RF 업 링크
설비, (주)단암시스템즈의 계측장비, STX 엔진(주)의 자동시험기 등이 있었다.

연구개발 분야에서는 (주)네커스터마이즈의 인터넷 위성 무선연동 기술

개발, (주)엠티지의 갈릴레오 위성 추적 시스템 개발 , (주)카이이미지의 위성
영상 주문관리 시스템 개발, (주)엘아지넥스원(주)의 네트워크 분석기 및 SAR
개발, 아태위성산업(주)의 위성 휴대폰 개발, (주)환화, (주)위드텍, (주)쎄트렉
아이, (주)솔탑 등의 투자가 있었다.

그 외에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주)대한항공, 두원중공업(주), (주)쎄트렉아이,

지오씨엔아이에서 직원 역량계발을 위한 교육훈련 및 도서구입 등의 투자가
있었다.

<표 28> 기업의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투자

R&D

기 타

합 계

투자액

13,000

8,606

717

22,323

 2.5. 인력 현황

2007년 기업에서 우주분야에 종사하는 인원은 1,621명으로 조사되었다.

2006년 전년대비 6.1%가 증가한데 이어, 2007년에는 전년 대비 17.3%가 증가
하여 기업의 우주분야 종사인력 수가 급속히 증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29> 기업의 우주산업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05

’06(증가율)

’07(증가율)

우주분야 종사인력

1,301

1,381(6.1%)

1,621(17.3%)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39

우주분야 인력을 51명 이상 100명 이하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한국항공

우주산업(주), (주)쎄트렉아이, 현대중공업(주), (주)하이게인안테나, 삼성탈레스(주),
101명 이상 150명 이하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주)대한항공, 엘아이지
넥스원(주), (주)케이티, 아태위성산업(주), 151명 이상 300명 이하를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주) 티유미디어,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으로 조사되었다.

우주분야 인력을 50명 미만으로 고용하고 있는 기업은 2006년 전체 조사

기업의 81.6%에서 2007년 64.7%로 나타났으며, 2006년 우주분야 인력 50명 미만
고용에서 2007년 50명 이상을 고용한 기업은 현대중공업(주), (주)하이게인
안테나, 삼성탈레스(주), 엘아이지넥스원(주)이다.

<그림10>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표 30>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 개)

구 분

50명 미만

51명~100명 101명~150명 151명~300명 300명 이상

합 계

2006년

31

31)

22)

23)

0

38

2007년

22

54)

45)

26)

0

34

1)

 대한항공, 쎄트렉아이, 한국항공우주산업

2)

 아태위성산업, 케이티

3)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

4)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주)쎄트렉아이, 현대중공업(주), (주)하이게인안테나, 삼성탈레스(주)


background image

40

 가. 직능별 인력 분포

2007년 기업의 우주분야 인력 중 연구․기술직의 비율은 2006년(55.1%)과

비슷한 55.4%를 차지하였다. 2006년에 비해 일반관리직의 인력이 줄어든
반면 연구기술직과 작업기능직의 인력은 증가하였다.

<표 31>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직능별 현황

(단위 : 명)

구 분

일반관리(비율)

연구․기술(비율)

기타(비율)

합계(비율)

2006년

442(32.0%)

761(55.1%)

178(12.9%)

1,381(100.0%)

2007년

429(26.5%)

898(55.4%)

294(18.1%)

1,621(100.0%)

 나. 성별/학력별 인력 분포

2007년 기업에 근무하는 우주분야 인력의 90.3%는 남성인 것으로 조사

되었다. 우주분야 인력의 학력은 학사, 석사, 고졸 이하, 박사 학위 순으로
많았으며 학사가 전체 인력의 57.4%를 차지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그림11> 기업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5)

 (주)대한항공,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케이티, 아태위성산업(주)

6)

 (주) 티유미디어,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41

<표 32> 기업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비율*)

여(비율*)

전체(비율**)

박 사

46(88.5%)

6(11.5%)

52(3.2%)

석 사

355(92.4%)

29(7.6%)

384(23.7%)

학 사

826(88.7%)

105(11.3%)

931(57.4%)

기 타

236(92.9%)

18(7.1%)

254(15.7%)

합 계

1,463(90.3%)

158(9.7%)

1,621(100.0%)

      *    전체에  대한  성별(남/여)  비율
      **  전체에  대한  학력별(박사/석사/학사/기타)  비율

 다. 분야별 인력 현황 및 소요 전망

기업의 우주분야 인력은 우주기기제작 분야에 727명, 우주활용 분야에

894명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이 우주
기기제작 분야에서 1,268억원, 우주활용 분야에서 7,604억원 발생한 것을
고려하면, 우주기기제작 분야는 단위 인력 당 1.7억원의 매출을, 우주활용
분야는 단위인력 당 8.5억원의 매출을 창출하여 우주활용 분야의 노동생산성이
약 5배 더 큰 것으로 분석된다.

우주분야 참여기업이 응답한 향후 5년 동안 우주분야에 추가적으로 소요

될 인력규모를 합산할 경우 추가소요 인력은 우주기기제작 분야 838명,
우주활용 분야 109명으로 총 947명에 이른다.

본 전망에 의하면 2012년에는 기업의 우주분야종사 인력은 현재의 1.6배

규모로 팽창하고, 우주활용 분야보다는 우주기기제작 분야 산업이 더욱
팽창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발사체 분야는 현재 보유한 인력 보다 향후 5년 동안 더 많은 추가

인력이 필요한 것으로 조사되어 발사체 분야의 우주인력 수요가 향후
급증할 것으로 예상되며, 인공위성제작과 원격탐사 분야도 현재 인력의
80% 정도의 인력이 향후 5년 내에 추가로 필요할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42

<표 33>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2007년 인력

(A)

향후 5년 동안

추가 필요인력

(B)

B/A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51

43

0.8

위성본체

125

106

0.8

탑재체

37

10

0.2

소계

213

159

0.7

발사체

시스템

58

108

1.8

추진기관

34

43

1.2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26

29

1.1

소계

118

180

1.5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296

265

0.8

발사체 관련

100

234

2.3

소계

396

499

1.2

합 계

727

838

1.1

우주활용

원격탐사

119

84

0.7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15.00

8

0.5

서비스이용장비

소계

8

0.5

위성방송

457.00

3

0.0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122.00

14

0.1

서비스이용장비

181

0

0.0

소계

14

0.1

합 계

894

109

0.1

총 계

1,621

947

0.5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43

<그림12> 기업의 우주분야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3. 연구기관

 3.1. 일반현황

 가. 우주 연구 분야별 연구기관 분포

11개 연구기관이 우주분야에 관련 예산 또는 종사인력이 있다고 답

하였다. 조사된 11개1) 연구기관의 주요 우주 연구 분야는 다음 표와 같다.

원격탐사 분야에서 가장 많은 연구기관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인공

위성 탑재체, 지상장비, 우주과학, 위성항법 분야에도 다수의 연구기관이
연구에 참여하고 있었다. 발사체 분야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만이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1)

 국립기상연구소, 국립방재연구소,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전문연구기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전자

통신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background image

44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본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탑재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전문연구기관,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관련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활용

원격탐사

국립방재연구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국립기상연구소,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방송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통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주과학/우주
탐사/유인우주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표 34>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연구기관  현황

 나. 소재지별 연구기관 분포

2007년 우주분야 연구기관은 충청권 및 수도권에 모두 분포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을 비롯한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과반수가
대덕 연구단지를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었으며, 대덕연구단지에 소재한
연구기관은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전문연구기관, 한국항공
우주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
해양연구원이다. 수도권 지역에는 국립방재연구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국립기상연구소가 소재하고 있었다.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45

<표 35>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지역별 분포

지 역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 계

연구기관 수

4(36.4%)

0(0.0%)

0(0.0%)

0(0.0%)

7(63.6%)

11

 다. 우주분야 연구비중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전체 예산 중 우주분야 예산 비중은 31%, 전체 인력에

대한 우주분야 인력의 비중은 12%로 각각 조사되었다. 우주분야 예산의
비중이 전체의 75% 이상인 기관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과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로 조사되었다.

<표 36>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연구 비중별 분포

우주연구비중

0%~25%

26%~50%

51%~75%

76%~100%

연구기관 수

9

0

0

2

 라. 총 예산 규모별 연구기관 분포

우주분야 연구기관 중 총 예산이 1,000억원 이상인 연구기관은 4개로 전체의

44%를 차지한다.

<표 37>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총 예산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5,000억~1조

연구기관 수

1

4

2

3

1

 마. 총 고용인력 규모별 연구기관 분포

우주분야 연구기관 중 총 고용인력이 1,000명 이상인 연구기관은 한국

전자통신연구원, 전문연구기관 2개로 조사되었다.

<표 38>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총 인력 규모별 분포

구 분

100명 미만

100명~499명 500명~1,000명 1,000명 이상

NA

연구기관 수

2

4

1

2

2


background image

46

 3.2. 우주분야 예산 현황 및 추이

 가. 우주분야 예산 현황

2007년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총 예산은 3,673억원으로 전년 대비 9.2%

감소하였다. 이는 우주분야 예산의 대부분을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연구
기관의 특성상 2007년 정부 우주개발 예산이 전년대비 6.1%감소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  2006년  정부  우주개발  예산이  전년  대비  65.1%  증가하였을  당시,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예산도  전년  대비  33.2%  증가

<표 39> 우주분야 국가 R&D예산 및 연구기관 연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연구기관 우주분야 예산

303,565

404,369(33.2%)

367,302(△9.2%)

정부 우주개발 예산

189,300

312,500(65.1%)

293,400(△6.1%)

 나. 우주산업 분야별 예산 현황

2007년 연구기관의 우주기기제작 분야 예산은 총 우주분야 예산의

88.3%를 차지하여 2006년 91%에 비하여 연구 비중이 약간 낮아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우주분야 중분류 기준으로는 인공위성 분야 예산이 전체 우주분야 예산의

53.5%를 차지하여 가장 비중이 높았으며, 발사체 분야는 22.9%, 지상설비
분야는 12.0%를 차지하였다. 원격탐사 분야는 전체 예산대비 6.9%로 위성
활용 분야 중에서는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였고, 기업에서 가장 큰 우주
분야 매출비중을 차지하는 위성방송 분야를 비롯한 위성항법․방송․통신
분야는 전체 대비 1% 미만으로 나타났다.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47

<그림13> 연구기관의 우주분야별 예산현황

<표 40> 연구기관의 우주분야별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예산

비율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33,062

9.0%

위성본체

43,021

11.7%

탑재체

120,346

32.8%

소계

196,429

53.5%

발사체

시스템

80,842

22.0%

추진기관

2,678

0.7%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563

0.2%

소계

84,083

22.9%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2,059

3.3%

발사체 관련

31,876

8.7%

소계

43,935

12.0%

합 계

324,447

88.3%

우주활용

원격탐사

25,369

6.9%

위성항법

1,167

0.3%

위성방송

21

0.0%

위성통신

53

0.0%

우주과학

15,204

4.1%

기 타

1,041

0.3%

합 계

42,855

11.7%

총 계

367,302

100.0%


background image

48

2007년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73%는 우주분야 예산이 100억원 미만인

것으로 조사되었으며, 우주분야 예산이 100억원 이상 1,000억원 미만의 연
구기관은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연구기관 등 2개, 1,000억원 이상인 연구기관
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개로 조사되었다.

<그림14> 우주분야 예싼 규모별 연구기관 수

<표 41> 연구기관 우주분야 예산 규모별 분포

(단위  :  연구기관  수)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전체

2006년

1

5

21)

12)

9

2007년

4

4

23)

14)

11

연구기관 우주분야 예산의 97.2%는 정부 및 공공기관부터 지원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특히 발사체 분야는 100% 정부로부터 예산을
배정받았다.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연구기관

2)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연구기관

4)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49

<표 42> 연구기관의 예산출처별 우주분야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

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

연구성과 수익금 등

합 계

예산

비중

예산

비중

예산

비중

예산

비중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33,062 100.0%

0

0.0%

0

0.0% 33,062 100.0%

위성본체 43,021 100.0%

0

0.0%

0

0.0% 43,021 100.0%

탑재체 119,486 99.3%

860

0.7%

0

0.0% 120,346 100.0%

소계

195,569 99.6%

860

0.4%

0

0.0% 196,429 100.0%

발사체

시스템

80,842 100.0%

0

0.0%

0

0.0% 80,842 100.0%

추진기관

2,678 100.0%

0

0.0%

0

0.0%

2,678 100.0%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563 100.0%

0

0.0%

0

0.0%

563 100.0%

소계

84,083 100.0%

0

0.0%

0

0.0% 84,083 100.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1,723 97.2%

336

2.8%

0

0.0% 12,059 100.0%

발사체

관련

31,876 100.0%

0

0.0%

0

0.0% 31,876 100.0%

소계

43,599 99.2%

336

0.8%

0

0.0% 43,935 100.0%

합 계

323,251 99.6%

1,196

0.4%

0

0.0% 324,447 100.0%

우주활용

원격탐사

25,233 99.5%

91

0.4%

45

0.2% 25,369 100.0%

위성항법

1,167 100.0%

0

0.0%

0

0.0%

1,167 100.0%

위성방송

21 100.0%

0

0.0%

0

0.0%

21 100.0%

위성통신

50 94.3%

3

5.7%

0

0.0%

53 100.0%

우주과학

6,145 40.4%

9,059 59.6%

0

0.0% 15,204 100.0%

기 타

1,040 99.9%

1

0.1%

0

0.0%

1,041 100.0%

합 계

33,656 78.5%

9,154 21.4%

45

0.1% 42,855 100.0%

총 계

356,907 97.2% 10,350

2.8%

45

0.0% 367,302 100.0%


background image

50

 3.3. 수출입 현황

2007년 연구기관의 수출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목적실용위성 2호의

영상을 유럽으로 수출하여 4,500만원의 수익을 올린 것이 유일하며, 2006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다목적실용위성 1호의 수신 중계료로 아랍에미리트
로부터 얻은 수익 2억 8,400만원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였다.

연구기관의 2007년 우주분야 수입액은 2006년 1,946억원에 비해 75.2%

감소한 482억원으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소형위성발사체(KSLV-I) 시스템
및 관련 지상장비 수입(러시아)과 통신해양기상위성 본체 수입(유럽), 전문
연구기관의 다목적실용위성 5호 탑재체 SAR 수입, 한국천문연구원의 다목적
실용위성 5호 탑재체 관련 및 위성항법공동연구에 따른 기술도입 등이
있었다.

<표 43> 연구기관의 나라별․분야별 수입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수입국

미국

러시아

유럽

중동

기타

합계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0

0

0

0

0

0

위성본체

0

0

1,214

0

0

1,214

탑재체

362

0

24,139

0

0

24,501

소계

362

0

25,352

0

0

25,714

발사체

시스템

0

2,116

0

0

0

2,116

추진기관

0

0

0

0

0

0

임무, 구조,

전자 등

0

641

0

0

0

641

소계

0

2,757

0

0

0

2,757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508

0

1,571

0

2,409

5,487

발사체

관련

0

13,900

0

0

0

13,900

소계

1,508

13,900

1,571

0

2,409

19,387

합 계

1,870

16,657

26,923

0

2,409

47,859

우주활용

원격탐사

95

0

5

0

35

134

위성항법

62

112

0

0

0

174

우주과학

0

35

0

0

0

35

합 계

156

147

5

0

35

343

총 계

2,026

16,804

26,928

0

2,444

48,201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51

 3.4. 투자 현황

2007년 연구기관은 연구개발에 3,507억원, 설비투자에 261억원 등 우주

분야에 3,778억원을 투자하였다.

주요 연구개발로는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의 통신해양기상위성 위성통신

시스템 개발, 지질자원연구기관의 지구형 행성의 분화과정과 표면 원격
탐사연구, 한국천문연구원의 과학기술위성 3호 주 탑재체 및 다목적실용
위성 5호 AOPOD 시스템 개발과 GPS 상시 관측망 및 국제데이터센터 운영,
광학 탐사 관측시스템 개발, 한국해양연구원의 통신해양기상위성 해양자료
처리시스템 개발, 전문연구기관의 SAR 탑재체 및 EO/IR 탑재체 개발,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의 위성개발 및 위성기술응용 등이 있었다.

<표 44>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투자(비율)

R&D(비율)

기타(비율)

합계(비율)

투자액

26,061(6.9%)

350,725(92.8%)

1,033(0.3%)

377,819(100.0%)

 3.5. 인력 현황

2007년 연구기관에서 우주분야에 종사하는 인력은 전년 대비 1.8% 감소한

717명으로 조사되었다. 조사대상 연구기관의 대부분은 우주분야 인력 수의
변동이 거의 없었으나,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인력은 전년대비 29%인 105명이
증가하였고, 2006년에 무궁화위성 5호 통신 탑재체 개발에 종사하던 전문
연구기관 108명의 우주분야 인력이 무궁화위성 5호 사업 종료로 우주
분야가 아닌 다른 분야의 조직으로 이동하여 전문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종사
인력이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45> 연구기관의 연도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우주분야 인력

695

730(5.0%)

717(△1.8%)


background image

52

2007년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대부분은 전년과 마찬가지로 50명 미만의

우주분야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며, 50명이상 100명 미만의 우주분야
인력을 보유한 연구기관은 전문연구기관, 한국전자통신연구원으로 조사
되었다. 300명 이상의 우주분야 인력을 보유한 연구기관은 2006년과 마찬
가지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1개 기관이었다.

<표 46>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 개)

50명 미만

51명~100명 101명~150명 151명~300명 300명 이상

합 계

2006년

13

11)

12)

0

13)

16

2007년

8

24)

0

0

15)

11

 가. 직능별 인력 분포

2007년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인력 중 연구․기술직은 전체의 88.8%인

637명으로 조사되었다. 연구기관이라는 기관 특성상 일반관리직 등 타
직군에 비해 그 비중이 매우 높았으나, 2006년의 93.0%에 비해 그 비율이
약간 감소하였으며, 일반관리직의 비중은 2006년 3.7%에서 약 2배 가까이
증가한 7.1%로 나타났다.

<표 47>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직능별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일반관리(비율)

연구․기술(비율)

기타(비율)

합계(비율)

2006년

27(3.7%)

679(93.0%)

24(3.3%)

730(100.0%)

2007년

51(7.1%)

637(88.8%)

29(4.0%)

717(100.0%)

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2)

 전문연구기관

3)

 한국항공우주연구원

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전문연구기관

5)

 한국항공우주연구원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53

 나. 성별/학력별 인력 분포

2007년 연구기관 우주관련 인력의 84.2%는 남성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학력별로는 석사, 박사, 학사, 고졸이하 순으로 인력 수가 많았으며,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가 전체의 85.5%를 차지했다.

<그림15> 연구기관의 학력별 ․ 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표 48> 연구기관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비율*)

여(비율*)

전체(비율**)

박 사

241(93.1%)

18(6.9%)

259(36.1%)

석 사

305(86.2%)

49(13.8%)

354(49.4%)

학 사

53(58.9%)

37(41.1%)

90(12.6%)

기 타

5(35.7%)

9(64.3%)

14(2.0%)

합 계

604(84.2%)

113(15.8%)

717(100.0%)

      *    전체에  대한  성별(남/여)  비율
      **  전체에  대한  학력별(박사/석사/학사/기타)  비율

 

 다. 분야별 인력 현황 및 소요 전망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인력 중 78.8%는 우주기기제작 분야에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우주분야 전체인력 중 인공위성 분야에 39.9%,
발사체 분야에 23.3%, 지상설비 분야에 15.6%가 종사하고 있으며, 위성활용


background image

54

분야는 원격탐사 분야 9.2%를 비롯해, 위성항법, 위성방송, 위성통신, 우주과학
분야 모두 전체 대비 10% 미만의 인력이 각각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
되었다.

우주분야 연구기관이 응답한 향후 5년 동안의 우주분야 추가소요 인력은

우주기기제작 분야 108명(현재 인력 대비 약 20%), 우주활용 분야 112명
(현재 인력 대비 약 70%)으로 총 220명이다.

본 응답결과는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예산 및 인력 규모면에서 현재

우주기기제작 분야가 우주활용 분야보다 훨씬 활성화되어 있으나, 향후
원격탐사, 위성항법, 위성방송, 우주과학 등 우주활용 분야에서의 연구가
매우 활발해 질 것으로 연구기관은 전망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표 49>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2007년 인력(A)

향후 5년 동안

추가 필요인력 (B)

B/A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15

23

0.2

위성본체

59

7

0.1

탑재체

112

27

0.2

소계

286

57

0.2

발사체

시스템

69

10

0.1

추진기관

54

9

0.2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44

7

0.2

소계

167

26

0.2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60

21

0.4

발사체 관련

52

4

0.1

소계

112

25

0.2

합 계

565

108

0.2

우주활용

원격탐사

66

50

0.8

위성항법

24

20

0.8

위성방송

7

6

0.9

위성통신

19

10

0.5

우주과학

31

26

0.8

기 타

5

0

0.0

합 계

152

112

0.7

총 계

717

220

0.3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55

<그림16>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4. 대 학

 4.1. 일반현황

 가. 우주 연구 분야별 대학(학과) 분포

우주 분야에 석사학위 이상의 인원을 보유하였거나 우주분야 연구를 수행

하고 있는 대학의 학과는 22개 대학에 31개 학과로 조사되었다. 조사된 31개
대학 학과의 우주 주요 연구 분야는 다음의 표와 같다.

인공위성 분야에 9개, 발사체 분야 10개, 지상설비 분야 5개, 원격탐사

분야 13개, 위성항법 분야 4개, 우주과학 분야에 3개의 학과가 참여하고
있어 원격탐사․인공위성․발사체 분야의 연구에 대학이 많이 참여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56

<표 50>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참여 대학 현황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인하대

항공우주공학전공, 충남대 항공우주공학전공,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
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위성 본체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탑재체

부산대 대기과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부경대 위성정보과학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경상대

기계항공공학부, 충남대 항공우주공학,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부경대 위성정보과학과

추진기관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전북대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 과학기술원 항공우주,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

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인하대

지리정보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공주대 대기과학과

발사체 관련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우주활용

원격탐사

건국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강원대 지구물리학과,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인화대 지리정보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광주과기원 환경공학과,
국민대 응용정보기술,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부경대 위성정보과학과, 한성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위성항법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인하대

지리정보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위성통신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우주과학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57

 나. 소재지별 대학 분포

우주분야 연구를 수행하는 대학은 우주관련 기업체․연구기관이 많이

분포하는 수도권․영남권․충청권에 집중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나, 우주
관련 기업 및 연구기관이 소재하고 있지 않은 호남권․강원권에도 일부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 51> 우주분야 참여 대학의 지역별 분포

소재지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계(비율)

대학 학과 수 13(41.9%)

1(3.2%)

9(29.0%)

3(9.7%)

5(16.1%)

31(100.0%)

 4.2.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및 추이

 가. 연구비 현황

2007년 대학의 우주분야 총 연구비는 84억원으로 전년 대비 28.0% 감소

하였다. 이는 연구기관과 마찬가지로 우주분야 연구예산의 대부분을 정부
지원에 의존하는 대학의 특성상 2007년 정부 우주개발 예산이 전년대비
6.1% 감소한데 따른 영향으로 분석된다.

      ※  2006년  정부  우주개발  예산이  전년  대비  65.1%  증가하였을  당시,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예산도  전년  대비  12.9%  증가

각 대학별로 살펴보면 대부분의 대학은 2006년도와 비슷한 규모의 연구비를

유지하였으나 2006년 가장 많은 우주분야 연구비를 집행한 항공대학교
항공우주학과, 서울대학교 항공우주학과의 우주분야 연구비가 전년대비 약
50%정도 감소함에 따라 2007년 대학의 우주분야 총 연구비가 감소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58

<표 52> 대학의 연도별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대학 우주분야 연구비

10,377

11,718(12.9%)

8,441(△28.0%)

정부 우주개발 예산

189,300

312,500(65.1%)

293,400(△6.1%)

 나. 우주산업 분야별 연구비 분포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중 우주활용 분야의 연구비가 전체의 42.0%를

차지하여 연구기관(11.7%)에 비하여 우주활용 분야의 연구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분류 기준에서는 우주활용 분야의 원격
탐사 분야와 우주기기제작 분야의 인공위성 분야․발사체 분야의 연구비
(각각 전체의 약 25%)가 전체의 75%를 차지하여 대학에서는 이 세 분야의
연구비중이 제일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표 53>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연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연구비

비율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53

1.8%

위성본체

1,488

17.6%

탑재체

470

5.6%

소계

2,111

25.0%

발사체

시스템

442

5.2%

추진기관

1,308

15.5%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350

4.1%

소계

2,100

24.9%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592

7.0%

발사체 관련

90

1.1%

소계

682

8.1%

합 계

4,893

58.0%

우주활용

원격탐사

2,116

25.1%

위성항법

441

5.2%

위성방송

0

0.0%

위성통신

0

0.0%

우주과학

730

8.6%

기 타

261

3.1%

합 계

3,548

42.0%

총 계

8,441

100.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59

<그림17>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연구비 현황

 

 다. 우주분야 연구비 규모별 분포

2007년 약 10억원 정도의 우주분야 연구를 수행한 대학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학과, 항공대 항공우주공학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서울대 항공
우주공학과,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등으로 조사되었다.

<표 54>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규모별 분포

(단위 : 대학 학과 수)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전체

2006년

23

2

0

25

2007년

28

3

0

31

 라. 우주분야 연구비 출처별 현황

대학 우주분야 연구비의 91.7%는 정부 및 공공기관으로부터, 6.0%는 민간

으로부터 지원 받았으며, 2.4%는 연구성과 판매 수익금 등으로 충당되었다.
우주기기제작 분야는 민간으로부터 위탁받은 연구비가 전체의 10.3%에
이르나, 우주활용 분야는 민간으로부터 위탁받은 연구비가 전혀 없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background image

60

<표 55>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출처별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

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

연구성과 수익금 등

합 계

연구비

비중

연구비

비중

연구비

비중

연구비

비중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38 90.2%

15

9.8%

0

0.0%

153 100.0%

위성본체 1,393 93.6%

85

5.7%

10

0.7%

1,488 100.0%

탑재체

390 83.0%

80 17.0%

0

0.0%

470 100.0%

소계

1,921 91.0%

180

8.5%

10

0.5%

2,111 100.0%

발사체

시스템

392 88.7%

50 11.3%

0

0.0%

442 100.0%

추진기관 1,204 92.0%

100

7.6%

4

0.3%

1,308 100.0%

임무/유

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284 81.1%

66 18.9%

0

0.0%

350 100.0%

소계

1,880 89.5%

216 10.3%

4

0.2%

2,100 100.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394 66.6%

108 18.2%

90 15.2%

592 100.0%

발사체

관련

85 94.4%

0

0.0%

5

5.6%

90 100.0%

소계

479 70.2%

108 15.8%

95 13.9%

682 100.0%

합 계

4,280 87.5%

504 10.3%

109

2.2%

4,893 100.0%

우주활용

원격탐사

2,026 95.7%

0

0.0%

90

4.3%

2,116 100.0%

위성항법

441 100.0%

0

0.0%

0

0.0%

441 100.0%

위성방송

0

-

0

-

0

-

0

-

위성통신

0

-

0

-

0

-

0

-

우주과학

730 100.0%

0

0.0%

0

0.0%

730 100.0%

기 타

261 100.0%

0

0.0%

0

0.0%

261 100.0%

합 계

3,458 97.5%

0

0.0%

90

2.5%

3,548 100.0%

총 계

7,738 91.7%

504

6.0%

199

2.4%

8,441 100.0%

 4.3. 수출입 현황

2007년 대학의 우주분야 수출 실적은 없으며, 수입은 남서울대학교 지리

정보학과의 분광측정장비 도입(미국, 50백만원), 건국대학교 사회환경시스템
공학과의 QuickBird 영상 수입(미국, 2.5백만원) 등 총 2건으로 총 수입액은
52.5백만원이다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61

 4.4. 투자 현황

2007년 대학은 연구개발에 7억원 등 우주분야에 총 10억원을 투자하였다.

<표 56> 대학의 우주분야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투자

R&D

기 타

합 계

투자액

332

713

0

1,045

 4.5. 인력 현황

2007년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은 전년 대비 40.6% 증가한 367명으로 전년

대비 41% 증가하였다.

      *  우주분야  연구를  수행하는  석사학위  이상  소지자

<표 57> 대학의 연도별 우주분야 연구인력 현황

(단위 : 명)

’05

’06(증가율)

’07(증가율)

우주분야 연구인력

229

261(14.0%)

367(40.6%)

2006년에는 대학의 우주관련 학과 모두 50명 미만의 우주분야 인력을

보유하고 있었으나, 2007년에는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와 항공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가 약 100명의 우주분야 인력을 보유한 학과로 성장하였다.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공학과, 연세대학교 천문우주학과의 우주분야 인력도
50명 가까이 증가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표 58>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 대학 학과 수)

50명 미만

51명~100명 101명~150명 151명~300명 300명 이상

합 계

2006년

29

0

0

0

0

29

2007년

26

11)

12)

0

0

31

1)

 항공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2)

 서울대학교 항공우주공학과


background image

62

 가. 성별/학력별 인력 분포

2007년 대학에서 우주분야 연구를 수행하고 있거나 우주분야 전공의

교수는 121명으로 조사되었으며, 이중 남성이 98%를 차지한다. 본 보고서
에서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으로 정의한 우주분야 교수와 석사 이상의
학위 소지자 외에 우주분야 석사 과정 및 학부 과정의 인력은 각각 323명,
2,400명으로 조사되었다.

<그림18> 기업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표 59> 대학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연구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비율*)

여(비율*)

전체(비율**)

교 수

119(98.3%)

2(1.7%)

121(3.9%)

박사 과정 및 박사 후 연구과정

(석사학위 이상)

216(87.8%)

30(12.2%)

246(8.0%)

우주분야 인력 합계

335(91.3%)

32(8.7%)

367(11.9%)

석사 과정

265(82.0%)

58(18.0%)

323(10.5%)

학부 과정

2,140(89.2%)

260(10.8%)

2,400(77.7%)

총 계

2,740(88.7%)

350(11.3%)

3,090(100.0%)

      *    전체에  대한  성별(남/여)  비율
      **  총계에  대한  학력별(교수/박사/석사/학사  등)  비율

 나. 분야별 인력 분포

대학의 우주분야 인력 중 53.1%가 우주기기제작 분야에서, 46.9%가 우주

활용 분야에서 연구를 수행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되어 기업, 연구기관에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63

비해 우주활용 분야의 인력 비율이 상대적으로 높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중분류 기준으로는 전체의 28.6% 인력이 발사체 분야에서 연구하고 있으며,
그 외 각 분야 연구인력 비율이 인공위성 분야 19.1%, 원격탐사 분야
19.1%, 위성항법 분야 9.8%로 조사되어 기업, 연구기관에 비해 연구 인력이
각 분야에 두루 분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림19>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인력 현황

<표 60>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인력 현황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인력 수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5(1.4%)

위성본체

55(15.0%)

탑재체

10(2.7%)

소계

70(19.1%)

발사체

시스템

13(3.5%)

추진기관

72(19.6%)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20(5.4%)

소계

105(28.6%)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6(4.4%)

발사체 관련

4(1.1%)

소계

20(5.4%)

합 계

195(53.1%)

우주활용

원격탐사

70(19.1%)

위성항법

36(9.8%)

위성방송

0(0.0%)

위성통신

5(1.4%)

우주과학

31(8.4%)

기 타

30(8.2%)

합 계

172(46.9%)

총 계

367(100.0%)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67

1.  우주산업  통계

1.  우주산업 

 1. 2008년 실태조사 회신 현황

(단위 : 개)

구 분

발송기관

응답기관(응답률)

우주관련 기관

기업

69

56(81%)

34

연구기관

17

17(100%)

11

대학(학과)

37

33(89%)

31*

합 계

123

106(86%)

76

        *  학과  수  기준이며,  대학  수를  기준으로  할  경우  22개  임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사체/탑재체 접속․총 조립 및 시험

위성 본체

위성본체 및 부품

탑재체

광학, SAR, 해양, 통신, 기상, 과학관측 등의 탑재체와 부품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시스템 엔지니어링, 발사체/탑재체 접속, 총조립 및 시험

추진기관

액체․고체 엔진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등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인공위성의 추적․통제․운영․시험 등을 위한 지상 장비 및

소프트웨어, 위성 데이터 처리 장비 및 소프트웨어,

발사체 관련 발사체의 발사․관제․통제 및 시험 등을 위한 지상 장비 및

소프트웨어

우주활용

원격탐사

위성영상, 데이터, 지도제작 관련 서비스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항법위성 관련 서비스

서비스이용장비

(내비게이션) (자동차 내비게이션)

위성방송

위성 방송 관련 서비스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위성통신 관련 서비스

서비스이용장비

(통신기기)

(GPS 수신 장비)

우주과학

우주과학, 유인우주, 우주탐사 등

2. 우주산업실태조사 분야별 분류


background image

68

대분류

중분류

참여기관 수

합 계

기업

연구기관

대학(학과)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8

5

9

22

발사체

8

1

10

19

지상설비

16

5

5

26

우주활용

원격탐사

8

6

13

27

위성항법

0(78*)

4

4

8(86*)

위성방송

2

1

0

3

위성통신

4

1

1

6

우주과학

0

4

3

7

3.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관 현황

(단위 : 개)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4. 우주분야 참여기관의 지역별 분포

(단위 : 개)

소재지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계(비율)

기업

21(61.8%)

0(0.0%)

5(14.7%)

0(0.0%)

8(23.5%)

34(100.0%)

연구기관

4(36.4%)

0(0.0%)

0(0.0%)

0(0.0%)

7(63.6%)

11(100.0%)

대학 학과

13(41.9%)

1(3.2%)

9(29.0%)

3(9.7%)

5(16.1%)

31(100.0%)

합 계

38(50.0%)

1(1.3%)

14(18.4%)

3(3.9%)

20(26.3%) 76(100.0%)

 5. 우주산업 연도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기 업

558,536

(NA)

700,055(25.3%)

(NA)

887,255 (26.7%)

(1,587,255*)

연구기관

303,565

404,369(33.2%)

367,302(△9.2%)

대 학

10,377

11,718(12.9%)

8,441(△28.0%)

합 계

872,478

(NA)

1,116,142(27.9%)

(NA)

1,262,998 (13.2%)

(1,962,998*)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69

6.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기업(비율)

(매출)

연구기관(비율)

(예산)

대학(비율)

(연구비)

합계(비율)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42,156(4.8%) 196,429(53.5%)

2,111(25.0%)

240,696(19.1%)

발사체

14,570(1.6%)

84,083(22.9%)

2,100(24.9%)

100,753(8.0%)

지상설비

70,098(7.9%)

43,935(12.0%)

682(8.1%)

114,715(9.1%)

합 계

126,824(14.3%) 324,447(88.3%)

4,893(58.0%)

456,164(36.1%)

우주활용

원격탐사

10,784(1.2%)

25,369(6.9%)

2,116(25.1%)

38,269(3.0%)

위성항법

0(0.0%)

(700,000*)

1,167(0.3%)

441(5.2%)

1,608(0.1%)

(700,000*)

위성방송

507,708(57.2%)

21(0.0%)

0(0.0%)

507,729(40.2%)

위성통신

241,939(27.3%)

53(0.0%)

0(0.0%)

241,992(19.2%)

우주과학

0(0.0%)

15,204(4.1%)

730(8.6%)

15,934(1.3%)

기 타

0(0.0%)

1,041(0.3%)

261(3.1%)

1,302(0.1%)

합 계

760,431(85.7%)

(1,460,431*)

42,855(11.7%)

3,548(42.0%)

806,834(63.9%)

(1,506,834*)

총 계

887,255(100.0%)

(1,587,255*)

367,302(100.0%)

8,441(100.0%) 1,262,998(100.0%)

(1,962,998*)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7. 우주산업 연도별 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수 출

수 입

무역수지

’06

’07(증가율)

’06

’07(증가율)

’06

’07(개선율)

우주기기제작

9,368 13,902(48.4%) 146,808 117,499(△20.0%) △137,440 △103,597(24.6%)

우주활용

43,212 43,446(0.5%)

56,720

6,464(△88.6%) △13,508 36,982(373.8%)

총 계

52,580

57,348(9.1%) 203,528 123,963(△39.1%) △150,948 △66,615(55.9%)


background image

70

 8. 우주산업 분야별 수출입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비율

비율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10,697

18.7%

64,630

52.1%

발사체

0

0.0%

7,994

6.4%

지상설비

3,205

5.6%

44,875

36.2%

합 계

13,902

24.2%

117,499

94.8%

우주활용

기 타

원격탐사

345

0.6%

674

0.5%

위성항법

0

0.0%

348

0.3%

위성방송

0

0.0%

0

0.0%

위성통신

43,101

75.2%

5,273

4.3%

우주과학

0

0.0%

169

0.1%

기 타

0

0.0%

0

0.0%

합 계

43,446

75.8%

6,464

5.2%

총 계

57,348

100.0%

123,963

100.0%

 9.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기업(비율)

연구기관(비율)

대학(비율)

합계(비율)

설비투자

13,000(58.2%)

26,061(6.9%)

332(31.8%)

39,393(9.8%)

연구개발

8,606(38.6%)

350,725(92.8%)

713(68.2%)

360,044(89.7%

717(3.2%)

1,033(0.3%)

0(0.0%)

1,750(0.4%)

22,323(100.0% 377,819(100.0%

1,045(100.0% 401,187(100.0%)

 10. 우주산업 연도별 종사인력 현황

(단위 : 명)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1,301

1,381(6.1%)

1,621(17.3%)

연구기관

695

730(5.0%)

717(△1.8%)

229

261(14.0%)

367(40.6%)

2,225

2,372(6.6%)

2,705(14.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71

 11. 우주산업 종사인력 기관별‧성별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성별 비율*)

여(성별 비율*)

합계(기관별 비율**)

1,463(90.3%)

158(9.7%)

1,621(59.9%)

연구기관

604(84.2%)

113(15.8%)

717(26.5%)

335(91.3%)

32(8.7%)

367(13.6%)

2,402(88.8%)

303(11.2%)

2,705(100.0%)

      *    전체  인력에  대한  (남성/여성)의  비율

      **  전체  인력에  대한  각  기관(기업/연구기관/대학)의  비율

 12. 우주분야 종사인력 학력별 현황

(단위 : 명)

구 분

기업(비율)

연구기관(비율)

대학(비율)

전체(비율)

박 사

52(3.2%)

259(36.1%)

121(33.0%)

432(16.0%)

석 사

384(23.7%)

354(49.4%)

246(67.0%)

984(36.4%)

학 사

931(57.4%)

90(12.6%)

NA

1,021(37.7%)

고졸이하

254(15.7%)

14(2.0%)

NA

268(9.9%)

합 계

1,621(100.0%)

717(100.0%)

367(100.0%)

2,705(100.0%)

 13. 우주분야 종사인력 학력별 증감 현황

(단위 : 명)

구 분

박 사

석 사

학 사

고졸이하

합 계

’06

’07

’06

’07

’06

’07

’06

’07

’06

’07

인력

416

432

870

984

901 1,021

185

268 2,372 2,705

비율(%)

18%

16%

36%

36%

38%

38%

8%

10% 100% 100%


background image

72

 14. 우주산업 분야별 종사인력 현황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기업

연구기관

대학

전체

비율

비율

비율

비율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213

13.1%

286

39.9%

70

19.1%

569

21.0%

발사체

118

7.3%

167

23.3%

105

28.6%

390

14.4%

지상설비

396

24.4%

112

15.6%

20

5.4%

528

19.5%

합 계

727

44.8%

565

78.8%

195

53.1%

1,487

55.0%

우주활용

원격탐사

119

7.3%

66

9.2%

70

19.1%

255

9.4%

위성항법

15

0.9%

24

3.3%

36

9.8%

75

2.8%

위성방송

457

28.2%

7

1.0%

0

0.0%

464

17.2%

위성통신

303

18.7%

19

2.6%

5

1.4%

327

12.1%

우주과학

0

0.0%

31

4.3%

31

8.4%

62

2.3%

기 타

0

0.0%

5

0.7%

30

8.2%

35

1.3%

합 계

894

55.2%

152

21.2%

172

46.9%

1,218

45.0%

총 계

1,621 100.0%

717 100.0%

367 100.0%

2,705 100.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73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참여기업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주)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서진인덱스

위성 본체

(주)쎄트렉아이, 두원중공업(주), (주)대한항공,

한국항공우주산업(주)

탑재체

위드텍, 삼성탈레스(주), (주)대한항공,

(주)코스페이스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단암시스템즈, 한양네비콤(주), (주)한화,
한국화이바(주), (주)대한항공

추진기관

씨앤스페이스, (주)한화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주)한화, 두원중공업(주),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주)하이게인안테나, (주)엠티지, (주)스페이스링크,

(주)솔탑, (주)에이알테크놀로지, 도담시스템즈,

(주)쎄트렉아이, 서진인덱스, STX엔진(주),
엘아이지넥스원(주), (주)창우통상, (주)대한항공,

(주)픽소니어, 위드텍, 넷커스터마이즈

발사체 관련 현대중공업(주)

우주활용

원격탐사

지오씨엔아이, (주)지아이소프트, (주)카이이미지,

중앙항업(주), 알앤지월드, (주)창우통상, 픽소니어,

한국항공우주산업(주)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서비스이용

장비

(내비게이션)

(현대오토넷, 팅크웨어, 카포인트, 파인디지털 등 78개*)

위성방송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티유미디어(주)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주)케이티, (주)코스페이스

서비스이용

장비

삼성탈레스, 아태위성산업(주)

15.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기업 현황

      *  「2006  네비게이션  시스템  실태와  전망」에서  조사된  내비게이션  분야  관련기업


background image

74

 16. 우주분야 참여기업 지역별 분포

구 분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계(비율)

기업 수(비율)

21(61.8%)

0(0.0%)

5(14.7%)

0(0.0%)

8(23.5%)

34(100.0%)

 17.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우주분야 매출 비중

총매출 대비

우주분야 매출 비중

0%~25%

26%~50%

51%~75%

76%~100%

기업 수

19

3

1

11

 18. 우주분야 참여기업 자본금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5,000억 이상

NA

기업 수

9

11

1

8

2

3

 19. 우주분야 참여기업 매출액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5,000억~1조 1조 이상

NA

기업 수

3

9

8

5

3

4

2

 20. 우주분야 참여기업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구 분

100명 미만

100명~499명 500명~1,000명 1,000명 이상

NA

기업 수

16

8

2

7

1

 21. 우주분야 참여기업의 연도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매출액

558,536

(NA)

700,055 (25.3%)

(NA)

887,255 (26.7%)

(1,587,255*)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75

 22. 기업의 우주산업 분야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06년(비율)

’07년(비율)

’06년 대비 증가율

우주기기제작

56,928(8.1%)

126,824(14.3%)

122.8%

우주활용

643,127(91.9%)

760,431(85.7%)

18.2%

합 계

700,055(100.0%)

887,255(100.0%)

26.7%

 23.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내 수

수 출

합 계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026

10,469

11,495

위성본체

20,173

228

20,401

탑재체

10,260

0

10,260

소계

31,459

10,697

42,156

발사체

시스템

9,751

0

9,751

추진기관

666

0

666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4,153

0

4,153

소계

14,570

0

14,57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53,993

3,205

57,198

발사체 관련

12,900

0

12,900

소계

66,893

3,205

70,098

합 계

112,922

13,902

126,824

우주활용

원격탐사

10,484

300

10,784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0

0

0

서비스이용장비

(네비게이션)

0

(700,000*)

0

0

(700,000*)

소계

0

(700,000*)

0

0

(700,000*)

위성방송

507,708

0

507,708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90,300

43,101

133,401

서비스이용장비

108,538

0

108,538

소계

198,838

43,101

241,939

합 계

717,030

(1,417,030*)

43,401

760,431

(1,460,431*)

총 계

829,952

(1,529,952*)

57,303

887,255

(1,587,255*)

   * 내비게이션 분야를 포함한 수치


background image

76

 24. 기업의 우주분야 매출액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원 미만

(기업수/비율)

10억~100억원

(기업수/비율)

100억~1,000억원

(기업수/비율)

1,000억~5,000억원

(기업수/비율)

전체

(기업수/비율)

2006년

13(36.1%)

18(50.0%)

4(11.1%)

1(2.8%)

36(100.0%)

2007년

12(35.3%)

12(35.3%)

8(23.5)

2(5.9)

34(100.0%)

 25. 기업의 고객별 우주산업 매출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

내수 합계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매출액

비중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026

100.0%

0

0.0%

1,026

100.0%

위성본체

19,625

97.3%

548

2.7%

20,173

100.0%

탑재체

10,260

100.0%

0

0.0%

10,260

100.0%

소계

30,911

98.3%

548

1.7%

31,459

100.0%

발사체

시스템

9,751

100.0%

0

0.0%

9,751

100.0%

추진기관

666

100.0%

0

0.0%

666

100.0%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4,153

100.0%

0

0.0%

4,153

100.0%

소계

14,570

100.0%

0

0.0%

14,570

100.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42,787

79.2%

11,206

20.8%

53,993

100.0%

발사체

관련

12,900

100.0%

0

0.0%

12,900

100.0%

소계

55,687

83.2%

11,206

16.8%

66,893

100.0%

합 계

101,168

89.6%

11,754

10.4% 112,922

100.0%

우주활용

원격탐사

6,808

64.9%

3,676

35.1%

10,484

100.0%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0

-

0

-

0

-

서비스이용

장비

0

-

0

-

0

-

소계

0

-

0

-

0

-

위성방송

593

0.1% 507,115

99.9% 507,708

100.0%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8,000

8.9%

82,300

91.1%

90,300

100.0%

서비스이용

장비

108,538

100.0%

0.0% 108,538

100.0%

소계

116,538

58.6%

82,300

41.4% 198,838

100.0%

합 계

123,939

17.3% 593,091

82.7% 717,030

100.0%

총 계

225,107

27.1% 604,845

72.9% 829,952

100.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77

 26. 기업의 나라별․분야별 우주산업 수출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수출국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기타

합계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0

0

340

0

9,789

340 10,469

위성본체

0

0

90

138

0

0

228

탑재체

0

0

0

0

0

0

0

소계

0

0

430

138

9,789

340 10,697

발사체

시스템

0

0

0

0

0

0

0

추진기관

0

0

0

0

0

0

0

임무, 구조,

전자 등

0

0

0

0

0

0

0

소계

0

0

0

0

0

0

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0

0

648

258

2,299

0

3,205

발사체

관련

0

0

0

0

0

0

0

소계

0

0

648

258

2,299

0

3,205

합 계

0

0

1078

396 12,088

340 13,902

우주활용

원격탐사

0

0

0

0

300

0

300

위성항법

0

0

0

0

0

0

0

위성방송

0

0

0

0

0

0

0

위성통신

5,500

0

0

0 37,501

100 43,101

합 계

5,500

0

0

0 37,801

100 43,401

총 계

5,500

0

1,078

396 49,889

440 57,303


background image

78

 27. 기업의 나라별․분야별 우주산업 수입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수출국

미국

러시아

유럽

아시아

중동

기타

합계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0

0

0

0

0

0

0

위성본체

5,625

0

1,137

382

0

5,384 12,528

탑재체

444

0

219

11

0

0

674

소계

6,069

0

1,356

393

0

5,384 13,202

발사체

시스템

2,280

0

200

0

0

0

2,480

추진기관

0

0

0

0

0

0

0

임무, 구조,

전자 등

0

0

0

0

0

0

0

소계

2,280

0

200

0

0

0

2,48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3,400

0

0

1,000

0

0

4,400

발사체

관련

0

0

1,700

0

0

0

1,700

소계

3,400

0

1,700

1,000

0

0

6,100

합 계

11,749

0

3,256

1,393

0

5,384

21782

우주활용

원격탐사

400

0

0

0

0

0

400

위성항법

0

0

0

0

0

0

0

위성방송

0

0

0

0

0

0

0

위성통신

3,673

0

1,600

0

0

0

5,273

합 계

4,073

0

1,600

0

0

0

5,673

총 계

15,822

0

4,856

1,393

0

5,384

27455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79

 28. 기업의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투자

R&D

기 타

합 계

투자액

13,000

8,606

717

22,323

 29. 기업의 우주산업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05

’06(증가율)

’07(증가율)

우주분야 종사인력

1,301

1,381(6.1%)

1,621(17.3%)

 30.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 개)

50명 미만

51명~100명 101명~150명 151명~300명 300명 이상

합 계

2006년

31

3

2

2

0

38

2007년

22

5

4

2

0

34

 31. 기업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직능별 현황

(단위 : 명)

일반관리(비율)

연구․기술(비율)

기타(비율)

합계(비율)

2006년

442(32.0%)

761(55.1%)

178(12.9%)

1,381(100.0%)

2007년

429(26.5%)

898(55.4%)

294(18.1%)

1,621(100.0%)

 32. 기업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비율*)

여(비율*)

전체(비율**)

박 사

46(88.5%)

6(11.5%)

52(3.2%)

석 사

355(92.4%)

29(7.6%)

384(23.7%)

학 사

826(88.7%)

105(11.3%)

931(57.4%)

기 타

236(92.9%)

18(7.1%)

254(15.7%)

합 계

1,463(90.3%)

158(9.7%)

1,621(100.0%)

      *    전체에  대한  성별(남/여)  비율
      **  전체에  대한  학력별(박사/석사/학사/기타)  비율


background image

80

 33. 기업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2007년 인력

(A)

향후 5년 동안

추가 필요인력

(B)

B/A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51

43

0.8

위성본체

125

106

0.8

탑재체

37

10

0.2

소계

213

159

0.7

발사체

시스템

58

108

1.8

추진기관

34

43

1.2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26

29

1.1

소계

118

180

1.5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296

265

0.8

발사체 관련

100

234

2.3

소계

396

499

1.2

합 계

727

838

1.1

우주활용

원격탐사

119

8

0.7

위성항법

서비스제공

15.00

8.00

0.5

서비스이용장비

소계

위성방송

457.00

3.00

0.0

위성통신

서비스제공

122.00

14.00

0.1

서비스이용장비

181

0

0.0

소계

합 계

894

109

0.1

총 계

1,621

947

0.5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81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 본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탑재체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전문연구기관,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발사체 관련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활용

원격탐사

국립방재연구소,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국립기상연구소,
한국해양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항법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방송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위성통신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우주과학/우주
탐사/유인우주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지질자원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34.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연구기관 현황


background image

82

 35.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지역별 분포

지역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 계

연구기관 수

4(36.4%)

0(0.0%)

0(0.0%)

0(0.0%)

7(63.6%)

11

 36.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연구 비중별 분포

우주연구비중

0%~25%

26%~50%

51%~75%

76%~100%

연구기관 수

9

0

0

2

 37.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총 예산 규모별 분포

구 분

10억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5,000억~1조

연구기관 수

1

4

2

3

1

 38. 우주분야 연구기관의 총 인력 규모별 분포

구 분

100명 미만

100명~499명 500명~1,000명 1,000명 이상

NA

연구기관 수

2

4

1

2

2

 39. 우주분야 국가 R&D예산 및 연구기관 연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연구기관 우주분야 예산

303,565

404,369(33.2%)

367,302(△9.2%)

정부 우주개발 예산

189,300

312,500(65.1%)

293,400(△6.1%)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83

 40. 연구기관의 우주분야별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예산

비율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33,062

9.0%

위성본체

43,021

11.7%

탑재체

120,346

32.8%

소계

196,429

53.5%

발사체

시스템

80,842

22.0%

추진기관

2,678

0.7%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563

0.2%

소계

84,083

22.9%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2,059

3.3%

발사체 관련

31,876

8.7%

소계

43,935

12.0%

합 계

324,447

88.3%

우주활용

원격탐사

25,369

6.9%

위성항법

1,167

0.3%

위성방송

21

0.0%

위성통신

53

0.0%

우주과학

15,204

4.1%

기 타

1,041

0.3%

합 계

42,855

11.7%

총 계

367,302

100.0%

 41. 연구기관 우주분야 예산 규모별 분포

(단위  :  연구기관  수)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1,000억~5,000억

전체

2006년

1

5

2

1

9

2007년

4

4

2

1

11


background image

84

 42. 연구기관의 예산출처별 우주분야 예산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

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민간

연구성과 수익금 등

합 계

예산

비중

예산

비중

예산

비중

예산

비중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33,062 100.0%

0

0.0%

0

0.0% 33,062 100.0%

위성본체 43,021 100.0%

0

0.0%

0

0.0% 43,021 100.0%

탑재체 119,486 99.3%

860

0.7%

0

0.0% 120,346 100.0%

소계

195,569 99.6%

860

0.4%

0

0.0% 196,429 100.0%

발사체

시스템

80,842 100.0%

0

0.0%

0

0.0% 80,842 100.0%

추진기관

2,678 100.0%

0

0.0%

0

0.0%

2,678 100.0%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563 100.0%

0

0.0%

0

0.0%

563 100.0%

소계

84,083 100.0%

0

0.0%

0

0.0% 84,083 100.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1,723 97.2%

336

2.8%

0

0.0% 12,059 100.0%

발사체

관련

31,876 100.0%

0

0.0%

0

0.0% 31,876 100.0%

소계

43,599 99.2%

336

0.8%

0

0.0% 43,935 100.0%

합 계

323,251 99.6%

1,196

0.4%

0

0.0% 324,447 100.0%

우주활용

원격탐사

25,233 99.5%

91

0.4%

45

0.2% 25,369 100.0%

위성항법

1,167 100.0%

0

0.0%

0

0.0%

1,167 100.0%

위성방송

21 100.0%

0

0.0%

0

0.0%

21 100.0%

위성통신

50 94.3%

3

5.7%

0

0.0%

53 100.0%

우주과학

6,145 40.4%

9,059 59.6%

0

0.0% 15,204 100.0%

기 타

1,040 99.9%

1

0.1%

0

0.0%

1,041 100.0%

합 계

33,656 78.5%

9,154 21.4%

45

0.1% 42,855 100.0%

총 계

356,907 97.2% 10,350

2.8%

45

0.0% 367,302 100.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85

 43. 연구기관의 나라별․분야별 수입액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수입국

미국

러시아

유럽

중동

기타

합계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0

0

0

0

0

0

위성본체

0

0

1,214

0

0

1,214

탑재체

362

0

24,139

0

0

24,501

소계

362

0

25,352

0

0

25,714

발사체

시스템

0

2,116

0

0

0

2,116

추진기관

0

0

0

0

0

0

임무, 구조,

전자 등

0

641

0

0

0

641

소계

0

2,757

0

0

0

2,757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508

0

1,571

0

2,409

5,487

발사체

관련

0

13,900

0

0

0

13,900

소계

1,508

13,900

1,571

0

2,409

19,387

합 계

1,870

16,657

26,923

0

2,409

47,859

우주활용

원격탐사

95

0

5

0

35

134

위성항법

62

112

0

0

0

174

우주과학

0

35

0

0

0

35

합 계

156

147

5

0

35

343

총 계

2,026

16,804

26,928

0

2,444

48,201

 44.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투자(비율)

R&D(비율)

기타(비율)

합계(비율)

투자액

26,061(6.9%)

350,725(92.8%)

1,033(0.3%)

377,819(100.0%)

 45. 연구기관의 연도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우주분야 인력

695

730(5.0%)

717(△1.8%)


background image

86

 46.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고용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 개)

구 분

50명 미만

51명~100명 101명~150명 151명~300명 300명 이상

합 계

2006년

13

1

1

0

1

16

2007년

8

2

0

0

1

11

 47. 연구기관의 우주분야 직능별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일반관리(비율)

연구․기술(비율)

기타(비율)

합계(비율)

2006년

27(3.7%)

679(93.0%)

24(3.3%)

730(100.0%)

2007년

51(7.1%)

637(88.8%)

29(4.0%)

717(100.0%)

 48. 연구기관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고용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비율*)

여(비율*)

전체(비율**)

박 사

241(93.1%)

18(6.9%)

259(36.1%)

석 사

305(86.2%)

49(13.8%)

354(49.4%)

학 사

53(58.9%)

37(41.1%)

90(12.6%)

기 타

5(35.7%)

9(64.3%)

14(2.0%)

합 계

604(84.2%)

113(15.8%)

717(100.0%)

      *    전체에  대한  성별(남/여)  비율
      **  전체에  대한  학력별(박사/석사/학사/기타)  비율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87

 49. 연구기관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고용인력 현황 및 소요전망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2007년 인력

(A)

향후 5년 동안

추가 필요인력

(B)

B/A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15

23

0.2

위성본체

59

7

0.1

탑재체

112

27

0.2

소계

286

57

0.2

발사체

시스템

69

10

0.1

추진기관

54

9

0.2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44

7

0.2

소계

167

26

0.2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60

21

0.4

발사체 관련

52

4

0.1

소계

112

25

0.2

합 계

565

108

0.2

우주활용

원격탐사

66

50

0.8

위성항법

24

20

0.8

위성방송

7

6

0.9

위성통신

19

10

0.5

우주과학

31

26

0.8

기 타

5

0

0.0

합 계

152

112

0.7

총 계

717

220

0.3


background image

88

 50.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참여 대학 현황

대분류

중분류

세분류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위성 시스템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인하대

항공우주공학전공, 충남대 항공우주공학전공,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
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위성 본체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탑재체

부산대 대기과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부경대 위성정보과학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발사체

발사체

시스템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경상대
기계항공공학부, 충남대 항공우주공학,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부경대 위성정보과학과

추진기관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전북대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 과학기술원 항공우주,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추진시관 외

서브시스템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충남대 항공우주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

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부산대 항공우주공학과,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인하대

지리정보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공주대 대기과학과

발사체 관련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우주활용

원격탐사

건국대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서울대 항공우주공학과,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강원대 지구물리학과, 고려대

환경생태공학부, 인화대 지리정보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광주과기원 환경공학과,

국민대 응용정보기술, 남서울대학교 지리정보공학과,

부경대 위성정보과학과, 한성대학교 정보시스템공학과,
경일대학교 위성정보공학과

위성항법

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인하대
지리정보공학과, 항공대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위성통신

한국폴리텍 항공대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우주과학

충남대 천문우주과학과, 한국과학기술원 항공우주,
연세대 천문우주학과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89

 51. 우주분야 참여 대학의 지역별 분포

소재지

수도권(비율) 강원권(비율) 영남권(비율) 호남권(비율) 충청권(비율)

합계(비율)

대학 학과 수 13(41.9%)

1(3.2%)

9(29.0%)

3(9.7%)

5(16.1%)

31(100.0%)

 52. 대학의 연도별 우주분야 연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2005년

2006년(증가율)

2007년(증가율)

대학 우주분야 연구비

10,377

11,718(12.9%)

8,441(△28.0%)

정부 우주개발 예산

189,300

312,500(65.1%)

293,400(△6.1%)

 53.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연구비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연구비

비율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53

1.8%

위성본체

1,488

17.6%

탑재체

470

5.6%

소계

2,111

25.0%

발사체

시스템

442

5.2%

추진기관

1,308

15.5%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350

4.1%

소계

2,100

24.9%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592

7.0%

발사체 관련

90

1.1%

소계

682

8.1%

합 계

4,893

58.0%

우주활용

원격탐사

2,116

25.1%

위성항법

441

5.2%

위성방송

0

0.0%

위성통신

0

0.0%

우주과학

730

8.6%

기 타

261

3.1%

합 계

3,548

42.0%

총 계

8,441

100.0%


background image

90

 54.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규모별 분포

(단위 : 대학 학과 수)

구 분

10억 미만

10억~100억

100억~1,000억

전 체

2006년

23

2

0

25

2007년

28

3

0

31

 55.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비 출처별 현황

(단위 : 백만원)

대분류 중분류

세부

분야

정부 및 공공기관

민 간

연구성과 수익금 등

합 계

연구비

비중

연구비

비중

연구비

비중

연구비

비중

우주기기

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138 90.2%

15

9.8%

0

0.0%

153 100.0%

위성본체 1,393 93.6%

85

5.7%

10

0.7%

1,488 100.0%

탑재체

390 83.0%

80 17.0%

0

0.0%

470 100.0%

소계

1,921 91.0%

180

8.5%

10

0.5%

2,111 100.0%

발사체

시스템

392 88.7%

50 11.3%

0

0.0%

442 100.0%

추진기관 1,204 92.0%

100

7.6%

4

0.3%

1,308 100.0%

임무/유

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284 81.1%

66 18.9%

0

0.0%

350 100.0%

소계

1,880 89.5%

216 10.3%

4

0.2%

2,100 100.0%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394 66.6%

108 18.2%

90 15.2%

592 100.0%

발사체

관련

85 94.4%

0

0.0%

5

5.6%

90 100.0%

소계

479 70.2%

108 15.8%

95 13.9%

682 100.0%

합 계

4,280 87.5%

504 10.3%

109

2.2%

4,893 100.0%

우주활용

원격탐사

2,026 95.7%

0

0.0%

90

4.3%

2,116 100.0%

위성항법

441 100.0%

0

0.0%

0

0.0%

441 100.0%

위성방송

0

-

0

-

0

-

0

-

위성통신

0

-

0

-

0

-

0

-

우주과학

730 100.0%

0

0.0%

0

0.0%

730 100.0%

기 타

261 100.0%

0

0.0%

0

0.0%

261 100.0%

합 계

3,458 97.5%

0

0.0%

90

2.5%

3,548 100.0%

총 계

7,738 91.7%

504

6.0%

199

2.4%

8,441 100.0%


background image

부록 • 1.우주산업  통계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91

 56. 대학의 우주분야 투자 현황

(단위 : 백만원)

구 분

설비투자

R&D

기 타

합 계

투자액

332

713

0

1,045

 57. 대학의 연도별 우주분야 연구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05

’06(증가율)

’07(증가율)

우주분야 연구인력

229

261(14.0%)

367(40.6%)

 58. 대학의 우주분야 연구인력 규모별 분포

(단위 : 대학 학과 수)

구 분

50명 미만

51명~100명 101명~150명 151명~300명 300명 이상

합 계

2006년

29

0

0

0

0

29

2007년

26

1

1

0

0

31

 59. 대학의 학력별․성별 우주분야 연구인력 현황

(단위 : 명)

구 분

남(비율*)

여(비율*)

전체(비율**)

교 수

119(98.3%)

2(1.7%)

121(3.9%)

박사 과정 및 박사 후 연구과정

(석사학위 이상)

216(87.8%)

30(12.2%)

246(8.0%)

우주분야 인력 합계

335(91.3%)

32(8.7%)

367(11.9%)

석사 과정

265(82.0%)

58(18.0%)

323(10.5%)

학부 과정

2,140(89.2%)

260(10.8%)

2,400(77.7%)

총 계

2,740(88.7%)

350(11.3%)

3,090(100.0%)

      *    전체에  대한  성별(남/여)  비율
      **  총계에  대한  학력별(교수/박사/석사/학사  등)  비율


background image

92

 60. 대학의 우주산업 세부 분야별 인력 현황

(단위 : 명)

대분류

중분류

세부분야

인력 수

우주기기제작

인공위성

시스템

5(1.4%)

위성본체

55(15.0%)

탑재체

10(2.7%)

소계

70(19.1%)

발사체

시스템

13(3.5%)

추진기관

72(19.6%)

임무/유도, 구조, 전자,

제어, 열공력

20(5.4%)

소계

105(28.6%)

지상설비

인공위성 관련

16(4.4%)

발사체 관련

4(1.1%)

소계

20(5.4%)

합 계

195(53.1%)

우주활용

원격탐사

70(19.1%)

위성항법

36(9.8%)

위성방송

0(0.0%)

위성통신

5(1.4%)

우주과학

31(8.4%)

기 타

30(8.2%)

합 계

172(46.9%)

총 계

367(100.0%)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93

2.  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  우주분야  참여기관 

A. 기 업

 ◈ 한국항공우주산업(주)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기업명

한국항공우주산업(주) (Korea Aerospace Industries, Ltd.)

자본금

4,299억원

설립년도

1999년 10월 1일

본 사

(제2사업장)

(서울사무소)

우편번호(664-710) (주소) 경남 사천시 사남면 유천리 802번지

☎(055)851-1000(代)

우편번호(664-802) (주소) 경남 사천시 사천읍 용당리 55번지

☎(055)851-2514(代)

우편번호(100-737) (주소) 서울특별시 중구 서소문동 135번지

☎(02)2001-3029(代)

홈페이지 주소

www.koreaaero.com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김홍경

(직위명) 전무

(성명) 하성용

(직위명) 전무

(성명) 장성섭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 설계 및 AIT

(2) 전력계 개발

(3) 원격측정명령계 개발

(4) 발사체 제어장치 개발

(5) 영상 판매

(5) 위성용 지상장비 개발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용 전력계 핵심부품(PCDU, Harness)

② 위성용 원격측정명령계 핵심부품(IBMU, Transponder)

③ 소형위성발사체(KSLV-1) 성능검증위성
④ 소형위성발사체(KSLV-1) 추력기 제어기(TCU)

⑤ 위성용 Ku-Band 중계기

⑥ 위성 지상지원장비(EGSE/MGSE)
⑦ 위성 관제시스템 S/W 및 직수신 처리/저장 시스템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T-50 고등훈련기 ② KT-1 기본훈련기 ③ SB427/429M

④ KFP

⑤ UAV

⑥ KHP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2% : 98%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위성개발팀

(성명) 한은수 부장

(부서명) 위성개발팀

(성명) 이철희 책임연구원

(부서명) 위성개발팀

(성명) 이재우 책임연구원

(부서명) 위성개발팀

(성명) 김영제 책임연구원

(부서명) 위성개발팀

(성명) 조경환 책임연구원

(부서명) 위성개발팀

(성명) 김경수 책임연구원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8,002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161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778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65명


background image

94

 ◈ (주)대한항공 (Korean Air Co., Ltd)

기업명

(주)대한항공 (Korean Air Co.,Ltd)

자본금

3,667억원

설립년도

1969 년 3 월 2 일

본 사

(항공우주사업본부)

(항공기술연구원)

우편번호(157-712) (주소) 서울 강서구 공항동 1370

☎(지역번호) 02-2656-3951 (代)

우편번호(618-804) (주소) 부산 강서구 대저 2동 103번지

☎(지역번호) 051-970-5620 (代)

우편번호(305-811) (주소) 대전 유성구 전민동 461-1

☎(지역번호) 042-868-6114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kal-asd.co.kr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이종희

(직위명) 항공우주사업본부 사장

(성명) 조항진

(직위명) 항공기술연구원 부원장

(성명) 함명래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인공위성
(2) 위성통신
(3) 발사체
(4) 위성항법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본체구조계

② 위성통신안테나 ③ 태양전지시스템

④ 고정밀우주구조물 ⑤ 발사체총조립

⑥ 발사체 엔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민항기 부품/모듈 (Boeing 737/747/777/787, Airbus 330/340 등)
② 군용기 부품/모듈/완제 (F-4/5, 500MD, UH-60, KF-16, KT-1 등)
③ 항공기 개조개발 및 창정비
④ 여객/화물 운송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0.1 % : 99.9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위성쳉 그룹

(성명) 권상룡

(부서명) 발사체 총조립 그룹

(성명) 김승철

(부서명) 발사체 엔진 그룹

(성명) 김우겸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88,119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93.9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4,890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13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95

 ◈ 한국화이바(주) (HANKUK FIBER GLASS CO., LTD)

기업명

한국화이바(주) (HANKUK FIBER GLASS CO., LTD)

자본금

58.6 억원

설립년도

1972 년

4 월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627-852) (주소)경남 밀양시 부북면 용지리 181-1

☎(지역번호) 055 - 355 - 0081(代)

우편번호(627-912) (주소)경남 밀양시 상남면 연금리 379

☎(지역번호) 055 - 359 - 2339(代)

우편번호(676-811) (주소)경남 함양군 수동면 원평리 181

☎(지역번호) 055 - 960 - 3281(代)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조문수
(직위명) 상무

(성명) 이상재

(직위명) 이사

(성명) 조정표

우주사업
참여시기

2000 년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KSR3 복합재 날개 및 페어링 외피
(2) KSR3 엔진 복합재 내열재

(3) KSLV-1 복합재 노즈페어링 외 5종

연구기관 보유형

종합연구기관( ), 부설연구기관( O ), 연구개발부서(

), 없음(

)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복합재 노즈페어링 ② 음향공명기,블랭킷 ③ 복합재 탑재 패널
④ 복합재 카울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유리섬유 소재

② 항공기 캐노피 ③ 추진기관 내열재, 발사관

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1 % : 99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특사부 항공사업팀 (성명) 조영길 부장
(부서명) 특사부 항공사업팀 (성명) 이호일 과장

(부서명) 특사부 항공사업팀 (성명) 동승진 대리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 1월 1일 - 12월 31일)

1,357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15 억원


background image

96

 ◈ 두원중공업(주) (DooWon Heavy Industrial Co.Ltd)

기업명

두원중공업(주)(DooWon Heavy Industrial Co.Ltd)

자본금

157억원

설립년도

1979

3

월 15 일

본 사

(서울사무소)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664-811) (주소) 경남 사천시 축동면 구호리650

☎(055)851- 2121 (代)

우편번호(135-120) (주소) 서울 감남구 신사동 503-5(두원빌딩)

☎(02)510 - 7566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doowonhi.com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사장 (성명)

성 기천

(직위명) 공장장 상무

(성명)

김 종기

(직위명) 방산본부장

(성명)

김 병화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자동차용 Compressor제조분야
(2) 방위사업분야

(3) 항공사업및위성분야
(4) Bus Cooler 사업분야
(5) 기타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발사체 구조② 위성 열제어계

③ 위성분야Heat Pipe

④ 위성분야 SSM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자동차용압축기

② 방위사업제품

③ 버스쿨러분야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2. 5% : 97.5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방산기술부

(성명) 정 상 완

(부서명)방산기술부

(성명) 강 석 봉

(부서명)방산기술부

(성명) 허 재 일

(부서명) 방산영업부

(성명) 기 우 윤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577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40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333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30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97

 ◈ (주)한화 (Hanwha Corporation) 

기업명

(주)한화 (Hanwha Corporation)

자본금

3,772

억원

설립년도

1952년 10월 28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00-797) (주소) 서울시 중구 장교동 1번지

☎(지역번호) 02-729-3301 (代)

우편번호(330-835) (주소) 충남 천안시 성거읍 신월리 402-1

☎(지역번호)041-580-3961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hanwha.co.kr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남영선

(직위명) 상무

(성명) 이성택

(직위명) 상무

(성명) 배용태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발사체 구동계통
(2) 발사체 추진계통
(3) 발사체 시험설비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유압구동계통

② 추진제어계통

③ 발사체 시험설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항공기부품산업

② 유도무기사업

③ 민수산업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20 % : 80 % (당 연구기관에 한함.)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항공우주/기계연구기관 (성명) 김상범 차장 외
(부서명) 항공우주/기계연구기관 (성명) 전필선 차장 외

(부서명) 항공우주/기계연구기관 (성명) 이종철 차장 외
(부서명) 항공우주/기계연구기관 (성명) 박상준 차장 외
(부서명) 항공우주/기계연구기관 (성명) 이준원 차장 외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6,577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28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732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0명


background image

98

 ◈ (주)창우통상 (Chang Woo, Inc.)

기업명

(주)창우통상 (Chang Woo, Inc.)

자본금

2.8억원

설립년도

1989년

2월 12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50-872) (주소) 서울시 영등포구 여의도동 15-11

☎(02)782-9056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changwooinc.com

주요 임원

대표이사

오종덕

부사장

이기봉

부사장

한현길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수신 및 관제
(2) 위성영상활용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수신시스템 ②위성영상 (Spot, Formosat-2 및 TerraSAR-X)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RF 구성품 및 측정 시스템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20% : 80%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해당사항없슴.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80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35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5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3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99

 ◈ 씨앤스페이스 (C&SPACE)

기업명

씨앤스페이스 (C&SPACE)

자본금

억원

설립년도

2004년

11월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50-872) (주소) 경기도 용인시 처인구 모현면 동림리 91

☎(031) 338-6703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candspace.com

주요 임원

대표이사

한규석

연구기관장

김경호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로켓 엔진 개발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로켓 엔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해당사항없슴.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8명


background image

100

 ◈ 엘아이지넥스원(주) (LIGNEX1 Co.,Ltd.)

기업명

엘아이지넥스원(주) (LIGNEX1 Co.,Ltd.)

자본금

1,000

억원

설립년도

1976 년 2 월 24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35 - 982) (주소) 서울시 강남구 역삼동 838

푸르덴셜타워 11/12F ☎ 1644 - 2005

(代)

우편번호(730 - 703) (주소) 경상북도 구미시 공단동 133

☎ (054) 469- 8212~3 (代)

우편번호(449 - 912)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마북동 148-1

☎ (031) 288 - 9114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lignex1.com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사장

(성명) 구본상

(직위명) 대표이사사장

(성명) 이효구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군 위성통신사업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차량위성통신장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항공전자

유도무기

③ 전자전장비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4 % : 96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C4I2팀

(성명) 최경애 과장

(부서명) 생산기획팀 (성명) 남동완 과장

(부서명) 기술5팀

(성명) 차경석 과장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6,479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264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197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17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01

 ◈ 삼성탈레스(주) (Samsung Thales)

기업명

삼성탈레스(주) (Samsung Thales)

자본금

2560

억원

설립년도

2000

년 1 월 11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730-030) (주소)

경북 구미시 공단동 259 사서함 50호

☎(지역번호)054-460-8800 (代)

우편번호(446-712) (주소)

경기 용인시 기흥구 농서동 산14

☎(지역번호)031-280-9901 (代)

우편번호(449-885) (주소)

경기 용인시 처인구 남사면 창리 304

☎(지역번호)031-329 -2700 (代)

홈페이지 주소

www.samsungthales.com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사장

(성명) 박 태진

(직위명) VCEO

(성명)JD. RONINET

(직위명) VCEO

(성명) 한 영철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항공전자 분야
(2) 레이다/유도무기 분야
(3) 전술/통신 분야
(4) 전투체계 분야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KHP NFLIR, LWR, CDU ② UAV EOTS ③P3C Radar
④ Elint POD ⑤MILSACOM

⑥ T-50 CCTVS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전투체계

② 천마

③ MSAM 다기능레이다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3

% : 97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M&M C2 system team

(성명) 최태봉

(부서명) M&M C2 system team

(성명) 오철희

(부서명) 통신/플래폼 CFCS 그룹

(성명) 이재건

(부서명) 개발1팀

(성명) 최승주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4,807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136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373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약 70명


background image

102

 ◈ STX엔진(주) (STXEngine)

기업명

STX엔진(주) STXEngine

자본금

3002 억원

설립년도

1976 년

12 월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우편번호(641-315) (주소)

경남 창원시 성산동 80

☎(지역번호) 055- 280-0111 (代)

우편번호(446-915) (주소) 경기도 용인시 기흥구 청덕동 418번지

☎(지역번호) 031- 288- 8000 (代)

홈페이지 주소

www.stxengine.co.kr

주요 임원

(직위명)

이사

(성명) 강덕수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이강식

(직위명) 이사

(성명) 정독학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2)
(3)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중고도 정찰용 무인항공기
② 한국형 합동전술데이터링크체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전자연구 2팀

(성명) 하재술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2750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0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976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28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03

 ◈ (주)쎄트렉아이 (Satrec Initiative)

기업명

(주)쎄트렉아이/ Satrec Initiative

자본금

14,37억원

설립년도

1999년 12월 29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05-811) (주소)대전광역시 유성구 전민동 461-26

☎(지역번호)042 -365- 7500(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satreci.com

주요 임원

(직위명)대표이사 (성명) 박성동
(직위명)부사장

(성명) 장현석

(직위명)부사장

(성명) 이성대

주요 우주사업
분야

(1)인공위성시스템
(2)발사체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본체

② 탑재체

③ 지상체

④ 위성용부품

⑤ 발사체용부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환경방사선감시기 ②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95 % :

5%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우주사업부문

(성명) 김병진

(부서명)지상사업부문

(성명) 신동석

(부서명)우주기술연구기관 (성명) 선종호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86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180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98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8 1명


background image

104

 ◈ 한양네비콤(주) (HanyangNavicom)

기업명

한양네비콤(주) (HanyangNavicom)

자본금

50

억원

설립년도

2006 년 3

월 29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 443-400) (주소) 경기도 수원시 영통구 망포동 31-6

☎(지역번호) 031-202-5970 (代)

우편번호(305-509)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관평동 713번지

(연구기관)

☎(지역번호) 042-363-900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hanyangnav.co.kr

주요 임원

(직위명) CEO

(성명) 이상문

(직위명) 연구기관장 (성명) 김영백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발사체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발사체용 GPS 수신기 ②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GPCore TDR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5 % : 95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개발2실 (성명) 김세환
(부서명)

(성명) 박일규

(부서명)

(성명) 이경석

(부서명)

(성명) 배진호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22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3.5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75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8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05

 ◈ 도담시스템스 (Dodaam Systems)

기업명

도담시스템스 (Dodaam Systems)

자본금

89억원

설립년도

2000년

06월 10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05-811 ) (주소) 대전시 유성구 전민동 461-31

☎(042) 337-010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dodaam.com

주요 임원

(직위명)

상무

(성명) 박성호

(직위명)

상무

(성명) 백진수

(직위명)

이사

(성명) 최기한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다목적실용위성 3/5호기 전기지상지원장비 (EGSE) 개발
(2) 다목적실용위성 3/5호기 SOCE 개발
(3) CGS(Common Ground System) 지원모듈 개발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전자지상지원장비 ② CMD/TLM  관리시스템 ③ CGS 지원모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항공기 시뮬레이터 ② 무인 경계장비 ③ 항공전자장비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5 % : 95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EGSE팀 (성명) 최기한 이사
(부서명) EGSE팀 (성명) 정용길 부장
(부서명) EGSE팀 (성명) 이경창 차장
(부서명) EGSE팀 (성명) 정재헌 차장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278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14억원

종업원수

(1) 2006년 전사 종사자

140명

(2) 2006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1 2 명


background image

106

 ◈ (주)코스페이스 (KoSPACE Co.,Ltd.)

기관명

주식회사 코스페이스(KoSPACE Co.,Ltd.)

설립년도

1998년

9월

1일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467-865) (주소) 경기이천시 부발읍신하리 584-1

☎(지역번호)031-639-6121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kospace.co.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대표이사 (성명) 박공만
(직위명)상무

(성명) 박창규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차장

(성명) 조기환

(직위명)과장

(성명) 이건준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Local Osicl ator
(2) Up Converter
(3) PLDRO
(4)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62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14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6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07

 ◈ (주)에이알테크놀로지 (Advanced Radio Technology)

기업명

(주)에이알테크놀로지(Advanced Radio Technology)

자본금

1

억원

설립년도

2000 년 4 월 21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05-350) (주소)대전시 유성구 가정동 34번지 104호

☎(지역번호) 042-863-603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i-art.co.kr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박광량
(직위명) 전무이사 (성명) 박세경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 중계기 성능시험 H/W, S/W
(2) IOT/CSM H/W, S/W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위성전파감시 S/W ②위성통신 중계기 EGSE ③위성혼신조정 S/W
④위성망계획 S/W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전파분석 S/W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30 % : 7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위성시스템부

(성명) 권태곤

(부서명) 위성시스템부

(성명) 구본산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21,64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1.36억원

종업원수

(1) 전사

17 명

(2)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11 명


background image

108

 ◈ (주)솔탑(SOLETOP Inc.)

기업명

(주)솔탑(SOLETOP Inc.)

자본금

2.8억원

설립년도

1995년 05월 10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 305-733)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도룡동 3-1 엑스포과학공원
관리동 3층 ☎(042)-867-744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사공영보

(직위명) 기술이사

(성명) 강병국

(직위명) 책임연구원 (성명) 권오룡

우주사업
참여시기

11 년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관제 시스템

(2) 위성영상수신처리

시스템

(3) EGSE(전기적지상시험장치)
(4) 위성시뮬레이터
(5) 위성연구개발

연구기관 보유형

종합연구기관( ), 부설연구기관(○), 연구개발부서(

), 없음(

)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관제시스템 ② 위성영상수신처리시스템 ③ 위성종합시험 시스템 ④
EGSE S/W개발 ⑤ 전파감시시스템 ⑥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100%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위성시스템사업부) 강병국 이사

(위성영상사업부) 김태훈 부장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 1월 1일 - 12월 31일)

14.05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14.05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5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15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09

 ◈ (주)케이티 (KT)

기업명

(주)케이티(KT)

자본금

1,5610억원

설립년도

1981 년 12 월 10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463-711) (주소) 경기도 성남시 분당구 정자동 206

☎(031) 727 - 2520, 2532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kt.com

주요 임원

(직위명)네크워크부분장

(성명) 서광주

(직위명)망관리본부장

(성명) 박태일

(직위명)국제위성담당

(성명) 권영모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통신서비스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중계기임대서비스 ② 위성통신서비스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통신서비스

② 인터넷서비스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1% : 99%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국제위성담당

(성명) 김원철

(부서명) 국제위성담당

(성명) 장상구

(부서명) 국제위성담당

(성명) 민준기

(부서명) 국제위성담당

(성명) 최성호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904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38,000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40 명


background image

110

 ◈ 티유미디어(주) (TU Media Corp.)

기업명

티유미디어(주) (TU Media Corp.)

자본금

2,184억원

설립년도

2003년

12월 03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00-711) (주소) 서울 중구 남대문로5가 267번지 SK남산빌딩

☎ (02) 6060- 3121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tu4u.com

주요 임원

(직위명) 사장

(성명) 서영길

(직위명) 부사장

(성명) 박병근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방송업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197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1,197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60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11

 ◈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Korea Digital Satellite Broadcasting)

기업명

한국디지털위성방송(주) (Korea Digital Satel ite Broadcasting)

자본금

5,539억원

설립년도

2001년 1월 12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10-702) (주소) 서울 종로구 공평동 100 제일은행본점빌

딩 14~15층

☎(지역번호) 02-2003-300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skylife.co.kr

주요 임원

(직위명) 사장

(성명) 이몽룡(대표이사)

(직위명) 사업총괄

(성명) 최영익(전무)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방송 서비스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3,873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3,873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87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287명


background image

112

 ◈ (주)스페이스링크 (SPACELINK CORP)

기업명

(주)스페이스링크(SPACELINK CORP)

자본금

20억원

설립년도

1997년

06월 05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52-766)

(주소)서울시 구로구 구로3동 197-22 에이스테크노타워5차 5층 509호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주요 임원

(직위명) CFO

(성명) 주은형

(직위명) 이 사

(성명) 이재억

(직위명) 이 사

(성명) 정규선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66 %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63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42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3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9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13

 ◈ 현대중공업주식회사 (Hyundai Heavy Industries Co.,Ltd)

기업명

현대중공업주식회사(Hyundai Heavy Industries Co.,Ltd)

자본금

3,800 억원

설립년도

1973

년 12 월 28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682-792) (주소) 울산광역시 동구 전하동 1번지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hhi.co.kr

주요 임원

(직위명) 부회장

(성명) 민 계 식

※등기이사 3명(社內)

(직위명) 사장

(성명) 최 길 선

(직위명) 부사장

(성명) 이 재 성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SRD(System Design Review)
(2) KSLV-1 발사대 및 관련설비 구축(2단계)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Launch pad

② Erector

③ Cable Mast

④ 추진제공급Sys

⑤ 온도제어Sys

⑥ 발사관제설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선박, 선박엔진

② 화공발전설비

③ 전기전자, 건설장비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0.00083% : 99.99917%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공사관리부(성명) 채남수 부장
(부서명)화공설계부(성명) 박병식 부장
(부서명)설비생산부(성명) 신한성 부장
(부서명)품질경영부(성명) 최유덕 부장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55.330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129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5,000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 0 0 명


background image

114

 ◈ DANAM systems Inc.

기업명

DANAM systems Inc.

자본금

51 억원

설립년도

2001 년

10 월 1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431- 767) (주소) 경기도 안양시 동안구 관양2동 799번지

메가밸리 701호

☎(지역번호) 031 - 420 - 430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danam.co.kr

주요 임원

(직위명) 이사

(성명) 석 종 낙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발사체 분야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전자탑재장비중 ( 데이터처리장치,전원공급장치,고전압구동장치,

RF 부품류 )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30 % : 7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연구기관 (성명) 석 종 낙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86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20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8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8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15

 ◈ (주)넷커스터마이즈 (Network Customizing Technologies Inc)

기업명

(주)넷커스터마이즈(Network Customizing Technologies Inc)

자본금

1

억원

설립년도

2000 년

1 월 14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05-340) (주소) 대전 유성구 도룡동 3-1 엑스포과학공원 내
대전영상특수효과타운 305호 ☎(지역번호) 042 - 863 - 708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netcus.com

주요 임원

(직위명)대표이사 (성명) 안명수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통신분야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40 % :

6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4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5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2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5명


background image

116

 ◈ (주)엠티지 (MTG Ltd)

기업명

주식회사 엠티지 MTG Ltd

자본금

2

억원

설립년도

2001 년 12 월 19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12-923) (주소) 충남 금산군 복수면 용진리 276

☎(지역번호)041-751 - 0633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mtginc.co.kr

주요 임원

(직위명)대표이사 (성명) 김동석
(직위명)이

사 (성명) 한인희

(직위명)감

사 (성명) 김종필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추적 안테나 시스템(관제)
(2)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추적 안테나 시스템 ② Hat 안테나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안테나 측정시스템 ② 챔버 ③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5.0 % : 95.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기구설계

(성명) 최인성

(부서명) 응용시스템

(성명) 구진철

(부서명) 응용시스템

(성명) 김무종

(부서명) 안테나

(성명) 이두연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67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3.3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6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4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17

 ◈ 알앤지월드 (RNG WORLD)

기업명

알앤지월드(RNG WORLD)

자본금

2

억원

설립년도

2003 년 4 월 5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462-120) (주소)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상대원동 333-7
금강펜테리움 A-1007

☎(031)705-6432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rngworld.com

주요 임원

(직위명)대표이사 (성명)한병윤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영상 판매
(2) 위성영상 처리 및 가공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영상

② 소프트웨어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100 % :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연구개발 (성명)문진원
(부서명)연구개발 (성명)정염지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10.2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10.2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4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3 명


background image

118

 ◈ 아태위성산업(주) (Asia Pacific Satellite Industries Co.,Ltd)

기업명

아태위성산업(주)(Asia Pacific Satel ite Industries Co.,Ltd)

자본금

52억원

설립년도

2000년

06월 02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53-768) (주소) 서울시 금천구 가산동 550-1

IT캐슬 2동 9층

☎(지역번호)02 -2026 -7712(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apsat.co.kr

주요 임원

(직위명)대표이사 (성명) 류 장 수
(직위명)부사장

(성명) 조 영 행

(직위명)관리상무 (성명) 유 권 영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통신기술
(2) 위성서비스
(3) 위성부분체 제조
(4) 위성체AIT(Assembly, Integration, and Test)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위성휴대폰

②위성전화기

③위성중계기

④해상안테나

⑤위성모듈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MD(Mobile Device) ②GPS MODULE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98% : 2%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삼백칠십삼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삼백육십팔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30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 0 0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19

 ◈ 중앙항업(주) (Chung-Ang Aerosurvey Co., LTD.)

기업명

중앙항업(주), Chung-Ang Aerosurvey Co., LTD.

자본금

10

억원

설립년도

1971 년 12 월 23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10-100) (주소) 서울 종로구 교남동 18

☎(02) 730 - 0018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caas.co.kr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김 상 성

(직위명) 부사장

(성명) 박 상 완

(직위명) 전무이상

(성명) 전 병 련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항업
(2) 지구관측 및 원격탐사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정밀지형자료제작

② 위성영상지도

③ 항공정사영상지도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UIS사업

② 지하시설물조사, 탐사

③ 각종 활용시스템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9.5 % : 90.5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지리정보연구기관

(성명) 진기호 상무(기술사)

(부서명) 지리정보연구기관

(성명) 김상봉 수석(기술사)

(부서명) 지리정보연구기관

(성명) 장세진 선임(공학박사, 기술사)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396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37.6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90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27 명


background image

120

 ◈ (주)지아이소프트 (GIsoft)

기업명

(주)지아이소프트 (GIsoft)

자본금

0.5

억원

설립년도

2004 년 6 월 2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121-876) (주소) 서울특별시 마포구 용강동 494-41

동우빌딩 2층

☎(지역번호)02 - 711 - 3522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윤미옥
(직위명) 이사

(성명) 윤순한

(직위명) 이사

(성명) 홍성은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상용위성영상 분석/처리/활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 구축
(2) 기상위성영상 분석/처리/활용 소프트웨어 개발 및 시스템 구축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위성영상 분석처리 S/W (상표명: GeoCanvas)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방송용 PLC 원격제어 S/W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100 % : 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영업팀

(성명) 윤순한

(부서명) 연구개발팀 (성명) 홍성은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6.76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6.76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2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7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21

 ◈ (주)하이게인안테나 (High Gain Antenna Co., Ltd.)

기업명

(주)하이게인안테나 [ High Gain Antenna Co., Ltd.]

자본금

45 억원

설립년도

1970 년 10

월 1 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우편번호(425-852) (주소)경기도 안산시 단원구 원시동 772번지

☎(031)490-6600 (代)

상동

홈페이지 주소

www.highgain.co.kr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이돈신
(직위명) 부사장

(성명) 김명득

(직위명) 전무이사 (성명) 이승호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통신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위성 지구국 위성안테나 ②군 위성통신용 안테나 ③전파 망원경 안테나
④위성 수신용 안테나 ⑤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방송통신용 안테나

②M/W 통신용 안테나 ③ 기타유무선 통신 부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40 % : 6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1사업부

(성명) 김명득 부사장

(부서명)마케팅부 (성명) 강성윤 부사장
(부서명)마케팅부 (성명) 배민수 상무
(부서명)마케팅부 (성명) 이봉환 부장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 1월 1일 - 12월 31일)

316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125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150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65명


background image

122

 ◈ (주)픽소니어 (Pixoneer Geomatics, Inc.)

기업명

(주)픽소니어 (Pixoneer Geomatics, Inc.)

자본금

12.5억원

설립년도

1992년 2월 26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05-340) (주소) 대전시 유성구 도룡동 3-1

☎(지역번호)042-862-8100(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pixoneer.co.kr

주요 임원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위성영상처리 소프트웨어 개발
(2) 인공위성영상 판매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PG-STEAMER

②Satel ite Image

③ 우주 관련 개발 용역

우주 외
타산업 제품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90 % : 1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영업팀

(성명) 윤병현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28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25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33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33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23

 ◈ 지오씨엔아이 (GEO C&I)

기업명

지오씨엔아이(GEO C&I)

자본금

2억원

설립년도

2003년 3월 12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712-210)
(주소)경북 경산시 삼풍동 300 경북테크노파크 임베디드센터 2202호

☎(지역번호) 053-857-7312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geocni.com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조명희
(직위명) 부사장

(성명) 이의승

(직위명) 부장

(성명) 김형섭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지구관측 및 원격탐사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연안관리정보시스템 ② 경주시 정밀산림지도제작
③ 경상북도 산림정보 원격탐사시스템
④ 3차원하천지형정보시스템 ⑤통신해양기상위성 통합운영시스템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가로등 관리시스템 ② 공원정보관리시스템 ③UIS관련사업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41% : 59%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 공간정보기술연구기관 (성명) 김성재
(부서명) 영상GIS사업팀 (성명) 김동영
(부서명) 영상GIS사업팀 (성명) 정윤재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21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8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33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2명


background image

124

 ◈ (주)위드텍 (Withtech Inc.)

기업명

(주)위드텍 (Withtech Inc.)

자본금

5 억원

설립년도

2003 년

12 월 11일

본 사

(주요 공장/지사명 1)

(주요 공장/지사명 2)

우편번호(305-500) (주소) 대전 유성구 용산동 534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주요 임원

(직위명) 대표이사 (성명) 유승교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사업
분야

(1) 우주 물질 분석 기술
(2) 항공 우주 부품
(3)
(4)
(5)

우주산업
관련제품

① Coat ID

② Smartracer

우주 외
타산업 제품

① HAM Series

② Navi series

③ Sola Series 등

매출비중

우주산업 제품 : 타산업 제품 =

0 % : 100 %

우주개발제품
관계담당자

(부서명)환경기술 (성명) 정 해 영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부서명)

(성명)

매출액

(1) 2007년 전사 매출액(1월 1일 - 12월 31일)

억원

(2) 2007년 우주관련 매출액

.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전사 종사자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

1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25

B. 연구기관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기관명

한국전자통신연구원(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 ETRI)

설립년도

1976 년 12월

본 원

(주요 분원명)

305-700 대전광역시 유성구 가정동 161

☎042 - 860 - 6114

(代)

(대구임베디드SW연구센터)

705-033 대구 남구 대명동 3동 2139번지 디지털산업진흥원 별관 2층 206호

☎053 - 621 -2652

(代)

(광통신연구센터)

500-480 광주 북구 오룡동 1110-6번지

☎062 - 970- 6501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etri.re.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임원)

원장

(성명) 최문기

(임원)

감사

(성명) 김영완

(직위명) 방송통신융합연구부문 소장(성명) 안치득
(직위명) 광역무선기술연구부장

(성명) 이호진

(직위명) 광역방통융합연구팀장

(성명) 장대익

(직위명) 광역무선전송연구팀장

(성명) 안도섭

(직위명) 위성무선 RF연구팀장

(성명) 염인복

(직위명) 위성탑재시스템연구팀장

(성명) 이성팔

(직위명) 위성관제항법연구팀장

(성명) 김재훈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책연

(성명) 오덕길

(직위명) 책연

(성명) 박재우

(직위명) 책연

(성명) 김호겸

(직위명) 책연

(성명) 정원찬

(직위명) 책연

(성명) 이병선

(직위명) 책연

(성명) 이상욱

주요 우주개발

분야

(2007년 과제명)

(1) 고속이동체용 이동형 위성광대역 통신기술
(2) 개인휴대 위성통신 전송기술(위성IMT-2000)
(3) Ka대역 위성방송 전송기술
(4) 통신해양기상위성 통신탑재체 및 부품
(5) 통신해양기상위성 관제시스템 및 다목적위성 관제시스템
(6) 위성항법 지상국시스템 및 탐색구조단말 기술
(7) 공공안전 재난구조 통신기술
(8) 성층권/고고고 통신방송시스템 기술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5,486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267.6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2,495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62명


background image

126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기관명

한국지질자원연구원
(Korea Institute of Geoscience and Mineral Resources)

설립년도

1976 년

5 월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305 - 350 ) (주소) 대전시 유성구 과학로 92

☎ (042) 868 - 3114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kigam.re.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 선임부장 (책임연구원)

(성명) 신성천

(직위명) 지질기반정보연구부장 (책임연구원) (성명) 김복철
(직위명) 프론티어사업단 국장 (책임연구원)

(성명) 이성록

(직위명) 기획부장 (책임연구원)

(성명) 조봉규

(직위명) 정책연구부장 (책임연구원)

(성명) 김광은

(직위명) 연구정책팀장 (선임연구원)

(성명) 김성용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선임연구원

(성명) 이승렬

(직위명) 책임연구원

(성명) 이승구

(직위명) 책임연구원

(성명) 조등룡

(직위명) 선임연구원

(성명) 김경자

(직위명) 선임연구원

(성명) 김현철

(직위명) 선임연구원

(성명) 이미정

(직위명) 책임연구원

(성명) 김건한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행성지질학 (달, 화성 지질도)
(2) 우주화학 (우주연대학, 운석 및 행성화학)
(3) 행성표면 원격탐사 자료 해석기법 개발
(4) 행성지질자원분포도 작성
(5) 우주, 행성 시료 전문관리기법 개발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99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

3.4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296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7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27

 ◈ 한국천문연구원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기관명

한국천문연구원
Korea Astronomy & Space Science Institute

설립년도

1974년 9월 13일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305-348)
(주소) : 대전시 유성구 대덕대로 838

☎ (042) - 865 - 3332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kasi.re.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 원장

(성명) 박 석 재

(직위명) 선임연구부장

(성명) 박 필 호

(직위명) 우주천문연구부장

(성명) 박 장 현

(직위명) 우주측지연구부장

(성명) 박 종 욱

(직위명) 위성탑재체연구그룹 그룹장

(성명) 진

(직위명) 태양우주환경연구그룹 그룹장

(성명) 조 경 석

(직위명) 위성항법기술그룹 그룹장

(성명) 조 성 기

(직위명) 지구관측연구그룹 그룹장

(성명) 조 정 호

(직위명) 근지구천체연구그룹 그룹장

(성명) 임 홍 서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책임연구원 박영득

선임연구원 조중현

책임연구원 남욱원

선임연구원 정종균

책임연구원 한원용

선임연구원 임형철

책임연구원 김관혁

선임연구원 신영홍

선임연구원 이대희

선임기술원 최병규

선임연구원 김연한

선임연구원 이창희

기 술 원 박영식

선임연구원 황정아

선임연구원 봉수찬

선임연구원 곽영실

선임연구원 정웅섭

선임연구원 최성환

선임연구원 이재진

선임연구원 최영준

(※. 정규직만 제시)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우주관측기기 (위성탑재체, 지상관측기기)
(2) 우주측지연구
(3) 위성항법기술
(4) 우주탐사 (달탐사, 행성탐사 등 태양계 천체)
(5) 우주환경 (태양 및 근지구 우주환경연구)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232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

58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132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32명


background image

128

 ◈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기관명

한국해양연구원 (Korea Ocean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설립년도

1973

년 10

30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426-744) (주소) 경기도 안산시 상록구 해안로 454(사동) 한국해양
연구원

☎(지역번호) 031-400-600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kordi.re.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원장

(성명) 강정극

(직위명)연구총괄본부장

(성명) 이흥재

(직위명)해양위성·관측기술연구부장

(성명) 안유환

(직위명)해양위성센터장

(성명) 안유환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해양위성·관측기술연구부장

(성명) 안유환

(직위명)책임연구원

(성명) 유홍룡

(직위명)선임연구원

(성명) 유주형

(직위명)선임연구원

(성명) 양찬수

(직위명)기술원

(성명) 윤석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정지궤도 해양 원격탐사 기술 개발
(2) 극궤도 해양위성 활용
(3) SAR를 기반으로한 해양 원격탐사
(4)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1176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

28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1005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17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29

 ◈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KAIST Satell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

기관명

한국과학기술원 인공위성연구센터
(Satel ite Technology Research Center)

설립년도

1989 년 8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305 - 701) (주소) 대전 광역시 유성구 과학로 335
KAIST 인공위성연구센터

☎(042) 869 - 8611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 소장

(성명) 명로훈

(직위명) 위성연구실장

(성명) 강경인

(직위명) 기획실장

(성명) 장태성

(직위명) 위성응용실장

(성명) 채장수

(직위명) 행정실장

(성명) 임상오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전력및센서팀장

(성명) 신구환

(직위명) 전자및통신팀장

(성명) 오대수

(직위명) 위성운영및소프트웨어팀장

(성명) 박홍영

(직위명) 궤도및자세제어팀장

(성명) 김선구

(직위명) 미래기술팀장

(성명) 서정기

(직위명) 기획팀장

(성명) 유광선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기술시험위성 개발 (과학기술위성개발)
(2) 핵심위성기술에 대한 선행연구 및 검증
(3) 위성영상 수신처리시스템 개발
(4) 우주개발 전문 연구인력양성 및 배출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36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

36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35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30 명


background image

130

 ◈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기관명

국립방재연구소 (National Institute for Disaster Prevention)

설립년도

1997 년 9 월 2 일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121-719) (주소)
서울시 마포구 공덕2동 재정회관빌딩 6층

☎(지역번호) 02-3271-320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 소장

(성명) 이원호

(직위명) 관리팀장 (성명) 김규영
(직위명)

(성명) 심재현

(직위명)

(성명) 이종설

(직위명)

(성명) 박덕근

(직위명)

(성명) 정태성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성명) 최우정

(직위명)

(성명) 진경혁

(직위명)

(성명) 조명흠

(직위명)

(성명) 구신회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재해정보 관리를 위한 위성영상 활용 기술 개발
(2) 위성영상 DB 구축
(3) 항공/LiDAR 영상 처리 및 분석
(4)

예산액

(1) 2008년 전체 예산액

55 억원

(2) 2008년 우주개발 예산액

3 억원

종업원수

(1) 2008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52 명

(2) 2008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5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31

 ◈ 국립산림과학원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기관명

국립산림과학원(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설립년도

1922 년

8 월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130-712) (주소) 서울특별시 동대문구 회기로 57

☎(02) 961 - 2522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원장)

(성명) 정광수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2)
(3)
(4)

예산액

(1) 2006년 전체 예산액

454

억원

(2) 2006년 우주개발 예산액

NA 억원

종업원수

(1) 2006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303

(2) 2006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2


background image

132

 ◈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

기관명

서울대학교 해양연구소
(Research Institute of Oceanography, Seoul National Univ.)

설립년도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 151 -742

) 서울시 관악구 신림동 산56-1 서울대학교 해양

연구소

☎(지역번호)02-880-6512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rio@snu.ac.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센터장) 박경애 서울대학교 지구과학교육과 조교수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직위명)

(성명)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위성해양학
(2) 인공위성 지구과학
(3)
(4)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

0.5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0.5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1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33

 ◈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Korea Environment Institute)

기관명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orea Environment Institute)

설립년도

1992년 12 월 28 일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122-706) 서울특별시 은평구 불광동 613-2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02) 380 - 7777(代)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원장) 박태주
(센터장) 김지영
(실장) 전성우
(실장) 윤정호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실장) 전성우
(팀장) 윤정호
(책임연구원) 명수정
(책임연구원) 이상범
(연구원) 이명진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광학 원격탐사
(2) 레이다 영상 시스템(SAR)
(2) GPS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

142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0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180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7 명


background image

134

 ◈ 전문연구기관

기관명

전문연구기관

설립년도

1970 년 8

6

본 원

(주요 분원명)

홈페이지 주소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주요 우주개발

분야

예산액

종업원수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35

 ◈ 국립기상연구소(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기관명

국립기상연구소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설립년도

1978 년 4 월 15 일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156-720) (주소) 서울시 동작구 신대방 2동 460-18

기상청 국립기상연구소

☎(02) 6712-0201

홈페이지 주소

http://www.metir.re.kr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연구기관장

(성명) 최치영

(직위명)지구환경시스템연구팀장

(성명) 김금란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기상연구관

(성명) 오미림

(직위명) 기상연구관

(성명) 김윤재

(직위명) 기상연구사

(성명) 정주용

(직위명) 기상연구사

(성명) 손은하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우주활용 - 원격탐사
(2)

(3)
(4)

예산액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예산액(외부 R&D 포함)

74.26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

14.5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127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24 명


background image

136

 ◈ 기상청 지구환경위성과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Environmental & 

Meteorological Satellite Division)

기관명

기상청 지구환경위성과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
Environmental & Meteorological Satel ite Division

설립년도

1904 년 3 월 (최초 근대기상업무 착수)

1970년 12월 (최초 기상위성 수신업무 개시)

본 원

(주요 분원명)

우편번호(156-720) (주소)

서울특별시 동작구 기상청길 45

☎(지역번호) 02 - 2181 - 0802 (代)

주요 임원

우주개발 관련

부서장

(직위명) 기상기술기반국장

(성명) 김병선

(직위명) 지구환경위성과장

(성명) 서애숙

우주개발

관계 주요담당자

(직위명) 기상사무관

(성명) 권오웅

(직위명) 기상사무관

(성명) 심재면

(직위명) 기상연구관

(성명) 박종서

(직위명) 기상사무관

(성명) 장재동

(직위명) 방송통신사무관

(성명) 이봉주

(직위명) 기상연구관

(성명) 김도형

(직위명) 기상사무관

(성명) 원재광

주요 우주개발

분야

(1) 기상위성개발
(2) 기상위성운영기반 구축
(3) 기상위성자료 활용

예산액

(1) 2007년 전체 예산액

256 억원

(2) 2007년 우주개발 예산액

.

176 억원

종업원수

(1) 2007년 연구기관 전체 종사자

38 명

(2) 2007년 우주개발 관계 종사자

22 명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37

C. 대 학

 ◈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대학명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9 년 9 월 9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43 - 701) (주소)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1번지

☎(02) 450-3114 (代)

우편번호(380 - 701) (주소) 충북 충주시 단월동 322번지

☎(043) 840-3114 (代)

홈페이지 주소

www.konkuk.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창립년도

1990.03.01

학과장 성명

정성남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8.36억원

 ◈ 건국대학교 (Konkuk University) -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대학명

건국대학교(KONKUK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6년 5 월 15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43-701) (주소) 서울시 광진구 화양동 1번지

☎(02) 450 - 3114 (代)

우편번호(380-701) (주소) 충북 충주시 단월동 322번지

☎(043) 840 - 3114 (代)

홈페이지 주소

www.konkuk.ac.kr

우주관련 학과명

사회환경시스템공학과

창립년도

2004년도

학과장 성명

김기두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3억원


background image

138

 ◈ 경상대학교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 기계항공공학부

대학명

경상대학교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8 년 10 월 20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660-701) (주소)

경남 진주시 가좌동 900번지

☎(지역번호)055-751-5114 (代)

우편번호(650-160) (주소)

경남 통영시 인평동 445번지

☎(지역번호)055-640-3114 (代)

홈페이지 주소

www.gnu.ac.kr

우주관련 학과명

기계항공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

창립년도

1996

학과장 성명

김병수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6 억원

 ◈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 항공우주공학과

대학명

부산대학교(Pusan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5년 10월

본 교
: 부산대학교

(주요 분교명)

: 밀양캠퍼스

우편번호(609-735) (주소) 부산시 금정구 장전2동 산30

☎(지역번호)051-512-0311 (代)

우편번호(627-706) (주소) 경남 밀양시 삼량진읍 청학리 50번지

☎(지역번호)055-350-5100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pusan.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과

창립년도

1989

학과장 성명

김위대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61 억원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39

 ◈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 대기과학과

대학명

부산대학교 (Pusan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6 년 5 월 16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609 - 135) (주소)

부산시 금정구 장전동 산 30

☎(지역번호) 051 - 512 - 0311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pusan.ac.kr

우주관련 학과명

대기과학과

창립년도

1989

학과장 성명

김철희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75 억원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항공우주공학과

대학명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6년 8월 22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51-742) 서울시 관악구 신림9동 산56-1

☎(02) 880-7380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snu.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과

창립년도

1946

학과장 성명

기창돈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9.18 억원


background image

140

 ◈ 서울대학교 (Seoul National University) - 건설환경공학부

대학명

서울대학교(Seoul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6년 10월 15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51-742) (주소) 서울시 관악구 관악로 599 서울대학교

☎(02) 880-5114 (代)

홈페이지 주소

www.spins.snu.ac.kr

우주관련 학과명

건설환경공학부

창립년도

1996년

학과장 성명

서경덕 교수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3.24억원

 ◈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 지구물리학과

대학명

강원대학교 (Kangwon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7년 6월 14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200-701) (주소) 강원도 춘천시 강원대학길 1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kangwon.ac.kr/

우주관련 학과명

지구물리학과

창립년도

1989

학과장 성명

조인기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 억원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41

 ◈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 환경생태공학부

대학명

고려대학교 (Korea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05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36-701) (주소) 서울시 성북구 안암동 5가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우주관련 학과명

환경생태공학부

창립년도

2001

학과장 성명

이우균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NA 억원

 ◈ 인하대학교 (Inha University) - 항공우주공학전공

대학명

인하대학교 (Inha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54년 04월 24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402-751) 인천광역시 남구 용현동 253

☎(032) 860-7114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inha.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전공

창립년도

1972년

학과장 성명

노태성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3 억원


background image

142

 ◈ 인하대학교 (Inha University) - 지리정보공학과

대학명

인하대학교(INHA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54 년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402 - 751) (주소) 인천 남구 용현동 253

☎(지역번호)032-860-7114(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우주관련 학과명

지리정보공학과

창립년도

1994

학과장 성명

김태정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8.9 억원

 ◈ 전북대학교 (CHONBUK NATIONAL UNIVERSITY) - 항공우주공학과

대학명

전북대학교(CHONBUK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561-756) (주소) 전북 전주시 덕진구 덕진동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chonbuk.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과

창립년도

학과장 성명

김만영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6 억원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43

 ◈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항공우주선박해양공학부

대학명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52년 5월

25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 305-764) (주소)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 220

☎(지역번호) 042-821-5114 (代)

홈페이지 주소

http://plus.cnu.ac.kr/cnu/U01/index.jsp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선박해양공학부
항공우주공학전공

창립년도

1992

학과장 성명

허환일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2.92억원

 ◈ 조선대학교 (Chosun University) - 항공우주공학과

대학명

조선대학교(Chosun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6년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501-759) (주소)광주광역시 동구 서석동 375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chosun.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과

창립년도

1985

학과장 성명

이상기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약 0 억원


background image

144

 ◈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noal University) - 천문우주과학과

대학명

충남대학교 (Chungnam Natino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52년 5월 25일

본 교

(보운캠퍼스)

우편번호(305-764) 대전광역시 유성구 궁동 220번지

☎(지역번호) 042 - 821 - 5114 (代)

우편번호(301-

) 대전광역시 중구 문화동 6번지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cnu.ac.kr

우주관련 학과명

천문우주과학과

창립년도

1988

학과장 성명

류동수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 억원

 ◈ 한국항공대학교 (Korea Aerospace University) -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 항공재료공학과

대학명

한국항공대학교(Korea Aerospace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52년 6월 16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412-791) (주소)경기도 고양시 화전동 200-1

☎(지역번호) 02-300-0114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kau.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
항공재료공학과

창립년도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2000)
항공전자 및 정보통신공학부(2000)
항공재료공학과(1988)

학과장 성명

항공우주 및 기계공학부
학부장 전창수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7 억원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45

 ◈ 광주과학기술원 (GIST) - 환경공학과

대학명

광주과학기술원(GIST)

대학 설립년도

1995 년 3 월 9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 ( 500 - 712 )
(주소) 광주광역시 북구 첨단 과기로 261(오룡동) 광주과학기술원

☎(지역번호)062-970-2300

홈페이지 주소

http://www.gist.ac.kr

우주관련 학과명

환경공학과

창립년도

1995년

학과장 성명

조재원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2,000 만원

 ◈ 국민대학교 (Kookmin University) - 응용정보기술학과((구 산림자원학과)

대학명

국민대학교(Kookmin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6년 09월 01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36-702) (주소)서울 성북구 정릉동 861-1

☎(지역번호) 02-910-4813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kookmin.ac.kr

우주관련 학과명

대학원 응용정보기술학과
(구, 학부 및 대학원 산림자원학과)

창립년도

2006년(응용정보기술학과)

학과장 성명

김 천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35억원


background image

146

 ◈ 남서울대학교 (Namseoul Univ) - 지리정보공학과

대학명

남서울대학교 Namseoul Univ

대학 설립년도

1994 년 3 월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 330 -707

) (주소) 충남 천안시 성환읍 매주리

☎(지역번호)041-580- 2000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주관련 학과명

지리정보공학과

창립년도

1996년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3억원

 ◈ 부경대학교 (Pukyung National University) - 위성정보과학과

대학명

부경대학교 (Pukyung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96 년

07 월

06 일

구)부산수산대학교, 구)부산공업대학교 통합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608-737) 부산 남구 대연3동 599-1 부경대학교

☎(지역번호)051- 629- 4114(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pknu.ac.kr/

우주관련 학과명

위성정보과학과

창립년도

1999년

학과장 성명

최 철 웅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2.35억원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47

 ◈ 한국폴리텍 항공대학 (Korea Aviation Polytechnic College) - 항공기계과, 항공정비과, 

항공전자과

대학명

한국폴리텍 항공대학 (Korea Aviation Polytechnic Col ege)

대학 설립년도

2001년 5 월 4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664-708) (주소) 경남 사천시 이금동 438

☎(055) 830 -3400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koreapolytec10.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기계과,항공정비과,항공전자과

창립년도

2001

학과장 성명

이병은/김효진/오경석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억원

 ◈ 한성대학교 (Hansung University) - 정보시스템공학과

대학명

한성대학교 (Hansung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5 년 10 월 5 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 136 - 792 ) (주소) 서울 성북구 삼선동 389

☎(지역번호) 02 - 760 - 4114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http://www.hansung.ac.kr

우주관련 학과명

정보시스템공학과

창립년도

2001

학과장 성명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4 억원


background image

148

 ◈ 경일대학교 (Kyungil University) - 위성정보공학과

대학명

경일대학교(Kyungi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63

년 1 월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712-701) (주소) 경북 경산시 하양읍 부호리 33

☎(지역번호)053- 850 - 7380 (代)

홈페이지 주소

geosat.kiu.ac.kr

우주관련 학과명

위성정보공학과

창립년도

2007

학과장 성명

조명희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 억원

 ◈ 연세대학교 (Yonsei University) - 천문우주학과

대학명

연세대학교(Yonsei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85년 4월

5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120-749)(주소) 서울 서대문구 신촌동 14

☎(지역번호) 02-2123-2114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우주관련 학과명

천문우주학과

창립년도

1967

학과장 성명

박상영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0.21억원


background image

부록 • 2.우주분야  참여기관  현황

2008년  우주산업  실태조사  •  149

 ◈ 공주대학교 (Kongju National University) - 대기과학과

대학명

공주대학교(Kongju National University)

대학 설립년도

1948 년 11 월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314

- 701 ) (주소)

충남 공주시 신관동 182

☎(지역번호) 041-850-8920 (代)

우편번호(

-

) (주소)

예산캠퍼스, 천안캠퍼스

홈페이지 주소

www.kongju.ac.kr

우주관련 학과명

자연대 대기과학과

창립년도

1994

학과장 성명

김맹기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5억원

 ◈ 한국과학기술원 (KAIST) - 항공우주공학과

대학명

한국과학기술원 (KAIST)

대학 설립년도

1971년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kaist.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과

창립년도

1979

학과장 성명

김천곤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12.95 억원


background image

150

 ◈ 울산대학교(university of ulsan) - 항공우주공학과

대학명

울산대학교(university of ulsan)

대학 설립년도

1970년 3월 1일

본 교

(주요 분교명)

우편번호(680-749) (주소) 울산광역시 남구 무거동 산 29번지

☎(지역번호) 052-259-2590

우편번호(

-

) (주소)

☎(지역번호)

-

-

(代)

홈페이지 주소

www.ulsan.ac.kr

우주관련 학과명

항공우주공학과

창립년도

1991.3

학과장 성명

하철근

2007년 우주분야 예산액*

0 억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