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량제어밸브
원하는 유체의 유량을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고, 급격한 시스템 부하의 변화와 상관없이 항상
일정한 유량이 흐르도록 제어함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크기 및 무게가 1/10 정도 줄어듦
따라서 선박, 항공기 등의 연비향상
기/술/개/요
•
항공우주, 자동차, 선박, 석유화학, 발전, 건설, 플랜
트 산업 등에 필수적인 핵심요소부품으로 고부가가
치 창출이 가능한 수출 유망 상품임
구성이 간단해지고, 제어가 용이하며,
고장의 빈도가 낮아짐
유량조절밸브의 시스템 부하가 급격히 변하더라도 유량이 항상 일정하고,
기존 기술에 비해 크기 및 무게가 1/10 정도 줄어듦
차별성
종래 밸브의 경우 Closing element가 상하운동하여 유로를 조절
하는데, 해당부위 상하부 압력차에 의해 Closing element를 위로
올리려는 힘이 발생함. 이를 극복하고 밸브 개도를 제어하기 위해
Actuator에 큰 힘이 필요함.
따라서 Actuator의 크기가 커짐
- 엑츄에이터의 구성이 복잡해지고 제어가 어려우며 고장의
빈도가 높아지는 등의 문제가 발생함
•
슬리브가 얇은 두께로 형성되어, 작은 힘으로 슬리
브의 이동이 가능함
→ 엑츄에이터의 무게가 작아짐
→ 유량조절밸브 자체의 무게가 작아짐
Closing element
슬리브
스풀
•
유량 조절기능
→ 슬리브를 좌우로 이동시켜 유량을 조절함
•
일정 유량 유지기능
→ 입출구 압력(부하)의 급격한 변화에도, 스풀이
좌우로 이동하여 일정 유량을 유지함
수요처 및 권리현황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해외 밸브 시장규모: 약 50조원(2013년)
* 국내 밸브 시장규모: 약 3조원(2013년)
* 세계 공업용 밸브 시장은 연평균
5.4%로 성장해 2015년 935억달러(약
104조 2992억원)로 전망됨
주 연구원
정태규 박사
기술문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김일태 선임, 조문희 선임
042-870-3673, 042-860-2272
magickit@kari.re.kr
moonyxp@kari.re.kr
발명의 명칭
출원(등록)번호
비고
유량조절밸브
0980612
한국
Flow Control Valve
8128056
미국
유량조절밸브
4870799
일본
시공실적 및 기술내용
기술 수요
적용처
•
국내외 조선업계
•
국내외 플랜트 업계
•
밸브 제조社
•
국내외 건설장비社
•
플랜트(발전, 정유등 유량조절)
•
항공(조작 엑츄에이터)
•
건설기계(굴삭기 등 작업장치)
•
조선(조타 장치등 유압제어)
개발현황
- 본 기술은 시제품이 제작되었고, 제조 효율성 향상을 위한 유량조절 밸브 개량 기술 개발중임
기술내용
수요처
권리현황
추가기술정보
1. 정밀유량제어
2. 소형화/전자제어 가능
1. 유로와 평행한 밸브
→ 저항압력 ↓, 작동토크 ↓
2. 소형밸브 제조 가능
3. 적정유량유지
* 시제품
* 급격한 압력변화 대응
액체의
유량을 정밀하게 제어하는 동시
에
시스템 부하 변화에 상관없이 일정
한
유량을 보장하는 유량 조절밸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