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317239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헬기 부품 정비/제조社
· 유/무인 헬기 개발社
· 기존 운용중인 헬기도 개조 및 개량하여 부가형식증명 등을
통해 장착 가능
· 미국 특허 출원 : Application Number 14451693
· 회전익 항공기
(유인헬기, 무인헬기 등)
회전익 항공기용 팽창식 날개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110 : 날개부
111 : 주날개
112 : 보조날개
112a : 제1보조날개
112b : 제2보조날개
113 : 이동가이드부
114: 공기주입구
120 : 공기공급부
121 : 공기공급장치
122 : 공기공급배관
시장전망
* 세계 유인헬기 시장규모
: 2016년 약 408억 달러 전망
* 세계 민수헬기 신규수요 전망
: ’11~’20년 약 18,075대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김준호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3.10.04 국내 특허등록 완료
공기 주입 또는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 가능한 날개
• 회전익 항공기의 동체 하부(c.g. 근처)에 구비되며,
내부가 중공으로 형성되어 공기 주입 및 배출에
따라 팽창 및 수축하는 주날개와 보조날개를 구비
• 이동가이드부를 구비하여 주날개의 지지력을 보강
하고, 공기를 주입하여 전개할 경우 발생될 수 있는
오작동 최소화
다양한 회전익 항공기에 활용 가능
• 유인헬기(해상비행), 무인헬기, 민수 및 군용헬기 등 다양한 회전익 항공기에 적용, 항공사고 감소 기대
• 활용분야
<팽창식 날개 도면>
<유인헬기>
<무인헬기>
<개념도 : 팽창식 날개를 장착한 헬기>
* 출처 : Airbus Helicopters, Yamaha
회전익 항공기용 팽창식 날개
기/술/개/요
회전익 항공기의 비상착륙을 보조하는 장치로, 항공기 제어가 가능하면서 추가양력을
제공할 수 있는 회전익 항공기용 팽창식 날개 (평상시에도 활용 가능 연료절감효과)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경제적 효과
회전익 항공기용 팽창식 날개는 엔진 고장, 꼬리로터 고장 등의 비상 상황 또는
정상적인 비행 시에도 보조 양력을 제공받기 위해 제한없이 사용가능
자동회전비행 시 항공기의 방향 제어가 용이하고, 해상에서 일정시간 부유능력 제공
엔진고장 등 무동력 비행시 추가 양력 제공
항공 사고로 인한 사상자 감소 기대
• 무동력 착륙이 요구될 경우, 팽창식 날개를 이용하여
보조 양력으로 제공
• 자동회전 하강 비행 시 하중을 부가적으로 담당
• FAA, EASA 등은 항공기 운용시 안전성 향상을 위해
인증규정을 강화하는 추세임.
• 국내 항공사고에 의한 사망자/ 부상자는 회전익
항공기에서 다수 발생
→ 회전익 항공기용 팽창식 날개를 통해 인명
(사상자)과 재산 피해 감소 기대
건수
(2006~2010)
사망자
부상자
국내 항공사고 발생건수
대형
소형
회전익
0
3
6
4
5
16
* 출처 : 비상하는 항공산업의 초석, 항공안전기술(2012), KISTEP
안전한 활공 및 착륙 유도, 연료절감 효과
• 팽창식 날개에 주입되는 공기의 양을 개별적으로
조절 가능(팽창/수축 가능)
→ (무동력) 보조 양력 제공/활공거리 확보 가능
(정상비행) 수평비행 성능향상/ 연료절감 효과
• 팽창식 날개에 공기가 주입되어 해상 등 수면 위에
비상착륙 시 공기부양 장치로 활용 가능
자동회전(Autorotation)을 이용한 비상착륙은 로터 회전력을 상실할 경우
대형사고 발생
- 엔진고장 등으로 인한 무동력 비행시 로터의 자동회전에 의한 회전력을 헬기가 지면에
가까워졌을 때 주로터의 각도를 양의 각도로 변환함(플레어)으로써 순간적으로 양력을
발생시켜 착륙하는 원리로 조종사의 숙련도에 의지, 단 한번의 기회밖에 없음
공기부양 장치(Floating System)는 착수(着水)후 전개되어, 안전비행에
도움되지 않음
- 해상비행용 공기부양 장치는 바다, 호수 등에서 일정시간 부유하기 위해 사용됨
- 해상에서 제한적으로 사용 가능하며, 추가 양력 제공 불가
- 45 -
- 4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