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271485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항공/우주 장비 제조 社
· 항공기 개발/제조 社
· 유/무인 항공기 분야
항공기 모핑 날개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전세계 항공기 시장은 2008년에
4,300억불 시장이 형성 되었으며,
2020년 7,000억불로 약 2,700억불
증가할 전망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박일경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3.05.30 국내 특허등록 완료
항공기 모핑 날개의 구성
유연스킨
가이드부
변형스킨
비변형날개구조부
선형작동기
상부스킨
하부스킨
날개뒷전
유연스킨
가이드부
가이드부
결합홈
슬라이딩안내부
날개뒷전
• 비변형 날개구조부
- 길이방향으로 날개 뒷전이 위치된 측과 반대되는 측 단부에 형성
• 선형 작동기
- 길이방향으로 비변형 날개구조부의 일측에 위치되며
날개 뒷전의 구조 변형을 발생시킴
• 작동링키지
- 선형작동기 및 날개 뒷전 사이에 연결되어 선형 운동
• 상부스킨 및 하부스킨
- 비변형 날개구조부 및 날개 뒷전 사이에 위치되는 날개의
상·하면 일정영역에 형성되며, 작동링키지의 운동방향에
따라 상·하로 굽어짐
• 변형스킨
- 상부스킨 및 날개 뒷전 사이에 위치되어 인장 또는 압축됨
선형 작동 장치를 이용한 모핑 날개
기/술/개/요
날개 뒷전의 구조 변형을 발생시키고 요구되는 스킨의 길이 변화가 가능하도록
인장ㆍ압축되는 변형스킨을 포함하여 형성됨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플랩을 적용하지 않으면서 조종력 및 고양력을 발생시킴
연료소비를 절감하고 적은 부품을 이용함으로 고장 및 유지보수가 간편함
• 항공기 모핑 날개가 위로 이동할 경우에는 유연스킨의 압축이 이루어지는데 가이드부는 평상시 보다 슬라이딩
안내부에 더 깊이 삽입되며 가이드부가 삽입된 길이만큼 상부스킨과 날개뒷전 사이 거리가 좁아져 유연스킨이 압축됨
• 항공기 모핑 날개가 아래로 이동할 경우에는 유연스킨의 인장이 이루어지는데 가이드부는 평상시 보다 슬라이딩
안내부에서 바깥쪽으로 밀려나오게 되며 가이드부가 밀려나온 길이만큼 상부스킨과 날개뒷전 사이 거리가 넓어져
유연스킨이 인장됨
일반적으로 조종력 및 고양력 발생장치는 조종력
발생 및 이ㆍ착륙 시 양력을 증가시키기 위해 날개
뒷전에 위치하며, 날개와 기계적으로 분리되어
있는 플랩(Flap)의 작용 공기력을 변화시켜 조종력
및 고양력을 발생시킴
- 플랩 방식의 조종력 및 고양력 발생장치는 항공기 날개
구조물과의 분리에 의한 중량 증가 및 작동시의 항공기
추진력 손실의 주요 원인인 항력의 크기가 크게 작용
하여 항공기 운용 시 연료손실의 주요한 원인되며 날개
구조물과의 분리로 소요되는 부품의 수량이 증가하여 고장 및 유지보수 비용이 증가됨
< 날개가 위로 이동 >
유연스킨
< 평상시 >
가이드부
< 날개가 아래로
이동
>
슬라이딩
안내부
상부스킨
- 43 -
- 4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