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처 및 권리현황
적용처
출원(등록)번호
비고
1230027
한국
기술 수요
발명의 명칭
· 발사체 개발/제조社
· 국내외 항공 우주社
· 국내외 위성 개발 분야
· 국내외 발사체 부품 분야
진공상태에서의 복사 열
유속 측정장치
기술수준
■ 기술개념확립
□ 연구실환경검증
□ 시제품제작
□ 실제환경검증
□ 신뢰성평가
□ 상용품 제작
□ 사업화
시장전망
* 국내 위성제조 시장은 2013년 기준
776억 원이며, 2014년 810억 원,
2015년 845억으로 성장할 전망
기술문의
주 연구원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성과확산실
조문희 선임, 김일태 선임
042-860-2272, 042-870-3673
moonyxp@kari.re.kr
magickit@kari.re.kr
이장준 박사
개발현황
기술내용
수요처
추가기술정보
권리현황
2013.01.30 국내 특허등록 완료
진공상태 복사 열 유속 측정장치의 구성
• 본체
- 일측이 개방되고 내부에 수용공간에 구비되도록 형성되어,
열진공 챔버 내에 수용된 시편에 부착됨
• 센서 플레이트
- 외부 열원에 의해 열을 전달받음
• 열전대 및 절연체
- 열전대는 센터 플레이트 및 본체의 내부 하면에 각각 설치
되며, 절연체는 본체와 시편 사이에 설치됨
<복사 열 유속 측정장치 단면도(상)/사시도(하)>
<진공상태에서 복사 열 유속 측정 시험의 개념>
센서플레이
트
방사커버
열전대
다층박막
단열재
본체
히터
센서플레이
트
본체
절연체
시편
열원
복사 열 유속 측정장
치
시편
열 진공 챔버
진공상태 복사 열 유속 측정장치
기/술/개/요
진공상태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위성의 복사 열 유속을 측정할 수 있는 진공
상태에서의 복사 열 유속 측정장치임
기존 기술의 문제점
차별성 및 효과
차별성
기술적 효과
복사 열 유속 측정장치는 열진공 챔버 내에 수용된 시편에 설치되어
열원으로부터 입사되는�열 유속을 측정하여 인공위성 열 해석에 활용함
인공위성 최적 열 설계에 이용하여 인공위성의 신뢰성을 높이고 제작비용을 감소 시킴
• 진공상태에서 열원에 의해 입사되는 복사 열 유속은 일정
부분이 방사 커버에 의해 외부로 방사되고 일부는 다층박막
단열재를 통해 본체 내부로 복사 열전달이 이루어지며
나머지 열은 센서 플레이트와 본체 사이의 전도 열전달을
통해 이동됨
열 유속(Heat Flux)은 단위시간당 단위면적을 통하여
이동한 열에너지의 양을 말하며 열 유속은 인공위성의
열 설계에 있어 매우 주요한 요인 중의 하나로, 인공위
성에 입사되는 복사 열 유속을 측정하여 인공위성의
열 설계시 신뢰성을 높이는 방안이 강구되고 있음
- 현재까지 진공상태에서 임무를 수행하는 인공위성의 복사
열 유속을 측정하는 장치가 제안되지 않아 진공상태에서의
복사 열 유속을 측정할 수 없음
방사커버
본체
센서플레이트
단열재
- 41 -
- 4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