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0621505018_469.hwp
|
이 資料는 ‘05.2.25(금) 朝刊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보도자료 ⃞⃞⃞⃞⃞⃞⃞⃞⃞⃞ |
생산일자 |
‘05. 2. 23(수) |
||
매 수 |
총 2매(참고자료 매 별도) |
|||
제 공 |
과학기술부 공보관실 |
남극 세종기지에 위성관제소 설치 - 국내위성의 관제능력을 2~3배 확대- |
□ 과학기술부(부총리 겸 장관 : 吳明)는 남극에서 사용할 수 있는 위성관제시스템을 개발하여 이를 남극 세종기지에 설치하고 운영시험을 완료한 후, 2005년 2월 24일(목) 10시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으로부터 관제명령을 받게 된다고 밝혔다.
□ 이번에 개통하게 되는 「남극 세종위성관제소」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2002년부터 3년간 약 12억원의 사업비를 투입하여 개발하였으며, 「한국해양연구원 극지연구소」의 지원을 받아 남극세종기지에 설치하였다.
◦ 「남극 세종 위성관제소」는 이동이 가능하고 전자 장비가 내장된 소형컨테이너 위에 직경 1.5m의 S밴드* 안테나가 탑재되어 있으며, 남극의 극한 환경속에서도 견딜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 S밴드 : 위성관제주파수대로 2025MHz-2290MHz가 사용됨, S-band가 전리층 통과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위성운용에 사용(주파수대가 낮은 것부터 L밴드, S밴드, C밴드, X밴드, K밴드로 부여)
◦ 「남극 세종위성관제소」는 無人으로 운영되며,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위성관제소의 관제명령을 실시간으로 받아 작동하게 된다.
□ 이번 「남극 세종 위성관제소」가 개통됨으로써 국내위성의 관제능력이 2~3배 확대되는 성과를 얻게 되어 국내위성의 지상관측 횟수가 그 만큼 더 많아지게 된다.
◦지상관측을 위해 1999년에 발사된 아리랑위성 1호의 경우 하루 3~4회만 위성관제가 가능했으나 10회 이상 위성관제가 가능해지게 된다.
□ 특히, 그동안 국내관제가 어려운 경우 외국의 관제시스템을 임시 임차하여 매년 10만 달러 이상의 경비가 소요되었으나 「남극 세종위성관제소」가 개통됨으로써 그 비용이 절감되는 효과가 있다.
<남극 세종위성관제소 전경>
----------------------------------------------
□ 문의
◦과학기술부 우주기술개발과 사무관 민병희(031-436-860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지상수신관제그룹장 최해진(042-860-239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