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41217)_[미래부_보도자료]_2014년_우주개발_심포지엄_개최.hwp

닫기

국민이 행복한 변화가 시작 됩니다!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2014. 12. 18(목) 석간(온라인 12. 18. 9:3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우주정책과 김대기 과장(02-2110-2430), 박지현 사무관(02-2110-2436)

우주기술과 김현수 과장(02-2110-2440), 이종은 사무관(02-2110-2443)

미래부, 우주강국 실현을 위한 정책 심포지엄 개최

- 우주개발계획 추진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향 토론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항공우주연구원(원장 조광래)과 공동으로 12월 18일(목) 임페리얼 팰리스 호텔에서우주 강국 도약을 위한 우주개발 심포지엄을 개최한다.

이번 행사는 우주개발 중장기계획」,「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우주개발계획 수립 1년이 경과함에 따라, 그간 추진 성과를 분석하고 향후 발전 방안을 모색하는 자리로, 산학연 전문가 200여명참석한다.

우주개발·정책 세션에서는 금년에 수립한 우주개발 계획 및 사업 추진 성과 등을 소개 할 예정이다.

우주개발진흥법 개정(6.4 공포)에 따라 수립한위성 정보 활용 종합계획,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 추진 현황 등을 설명하고,

- 현재, 개발 중인 인공위성 5기의 개발 현황 및 금년에 마련한 석 등록제 등 우주개발 전반의 추진 현황 및 향후 계획에 대해의하는 자리를 가질 예정이다.

또한, 자력발사 능력 확보를 위한 한국형발사체 개발 사업 추진 현황과 국가 인공위성 기술의 민간이전을 위해 내년부터 추진 예정인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사업 계획을 발표할 예정이다.

우주 산업화 세션에서는 정부에서 민간으로 우주개발 패러다임의 변화를 위한 우주 기술의 산업화와 수출 전략 그리고 우주산업 육성 방안에 대해 정부산학연의 발표 및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이다.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조성 및 우주산업을 신성장 동력으로 육성하기 위한 노력과 성과에 대해 발표하고,

국가 우주개발사업의 지속적안정적인 물량 확보를 통해 산업체 참여 유도, 핵심부품의 국산화 추진에 따른 강소기업 육성 등의 방안을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한, 우주제품 해외진출 활성화 지원을 위해 주요 선진국 및 산업의 성공사례를 분석하고, 국내 우주 기술의 수출 활성화 가능성과 그 전략에 대해서도 논의할 예정이다.

이번 심포지엄에서 그동안 수행한 우주개발 사업 추진 현황을 점검하고 향후 계획을 논의함으로써, 우주개발사업 차질 없이 추진이행할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부 문해주 우주원자력정책관“2014년은 우리나라 우주개발의 범위를 시스템 위주에서 위성 정보 활용· 우주 안전의 영역으로 확대하는데 의미가 있으며, 산업체장기적인 비전을 가지고 우주산업에 참여할 수 있도록 체계적이고 지속 가능한 우주 개발 추진할 계획이다라고 밝혔다.

참고 1

우주개발 심포지엄 프로그램

일시 : ‘14. 12. 18(목), 14:00~18:00

장소 : 서울 임페리얼팰리스 호텔 7층 셀레나홀 (7호선 학동역 5분거리)

주최 : 미래창조과학부, 주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기술진흥협회

참석자 : 정부···연 우주 관련 전문가 약 200명

- 발사체 및 인공위성 개발 위성활용 등 관련 산업체, 학회 및 협회, 대학, 공공기관, 관련 부처 등

시간

세부 내용

비고

14:00~14:20

개회사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

환영사

항공우주연구원장

14:20~14:50

세션1: 우주개발·정책 분과

- 2014년도 우주개발 추진 현황 및 계획(10)

미래부 우주정책과장

- 한국형발사체 개발 현황 및 차세대

중형위성 개발사업 추진 계획 (20)

항우연 정책협력센터장

14:50~15:35

세션2: 우주산업화 분과

- 우주기술산업화전략 추진현황 및 계획(15)

미래부 우주기술과장

- 국가 우주산업 육성방안 제언(15)

한화 연구소 안조영

- 우주기술 수출 추진 전략(15)

트리마란(연구기관)

15:35~15:50

휴식

15:50~17:20

패널 토론

- 김병진 (세트렉아이 대표이사), 김태교(한국항공우주산업)

- 이창진(건국대 항공우주정보시스템공학과 교수), 김재수(조선대 항공우주공학과 교수)

- 박종욱(천문연 우주과학본부 책임연구원)

- 이영완(조선일보 산업부 과학팀 차장)

좌장

이주진(항우연 전 원장)

17:20~17:50

청중 질의응답

전체

17:50~18:00

마무리 말씀 및 폐회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