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hwp
과학기술정보통신부 |
보도자료 |
|
보도시점 |
2023. 4. 12.(수) 12시 (2023. 4. 13.(목) 조간) |
배포 |
2023. 4. 12.(수) 09:00 |
다누리, 달에서 임무 수행 이상無! |
- 다누리, 달 뒷면의 생생한 크레이터 영상 등 공개 - 다누리 홈페이지에서 다누리 관측자료, 실시간 위치 공개 서비스 시작 |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이종호, 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원장 이상률, 이하 ‘항우연’)은 다누리가 촬영한 달 뒷면의 고해상도 영상을 공개했다.
다누리는 3월 22일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지역, 3월 24일 슈뢰딩거 계곡 지역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지역을 촬영했다. 이는 우리나라가 처음으로 달 뒷면을 촬영한 사진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3월 24일에 촬영한 사진들은 다누리가 달 궤도를 1,000회 공전한 날에 찍은 사진이라는 점에서도 특별한 의미를 가진다.
< 다누리의 달 뒷면 촬영 결과 > |
|
[3월 22일,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사진] |
|
[3월 24일, 슈뢰딩거 계곡 사진] |
|
[3월 24일,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우측 크레이터) 사진] |
모든 영상은 다누리에 탑재된 고해상도카메라(LUTI)가 촬영한 것으로 달 지표의 크레이터, 크레이터 내 우뚝 솟은 봉우리 등의 자세한 형상까지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다. 이 같은 고해상도 영상은 향후 달 지표의 구성 성분이나 크레이터 내 봉우리의 형성 과정 등을 이해하는데 중요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과기정통부와 한국천문연구원(원장 박영득, 이하 ‘천문연’)은 광시야편광카메라 촬영 영상도 공개했다. 광시야편광카메라는 달 표면 토양의 입자크기와 조성에 따라 빛을 반사하는 특징이 달라지는 것을 이용, 달 표면 편광영상으로 표토입자 크기 및 조성을 알아내기 위해 개발한 탑재체이다. 이번 촬영 영상에서는 파장, 편광 필터의 종류에 따라 밝기가 뚜렷하게 달라지는 것을 확인할 수 있어, 향후 달 표면의 입자, 조성 분포 연구를 위한 충분한 역량을 확보했음을 알 수 있다.
< 광시야편광카메라가 관측한 비흐만 크레이터의 6개 채널 편광영상 > |
||
|
|
|
[320nm 파장, 편광필터 없이 촬영한 영상] |
[430nm 파장, 6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
[430nm 파장, 12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
|
|
|
[430nm, 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
[750nm, 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
[750nm, 90도 방향 편광 필터로 촬영한 영상] |
자기장측정기(경희대 개발)와 감마선분광기(한국지질자원연구원 개발)도 정상적으로 관측 데이터를 획득 중이다. 자기장 변화자료는 달의 구조 및 이상 자기장 영역 연구와 향후 달 탐사를 위한 우주환경 자료 제공에 활용할 계획이며, 감마선분광기 측정자료는 달 표면의 감마선, 엑스선, 중성자 환경 등의 연구에 활용될 예정이다.
다누리 탑재체의 달 관측자료를 통한 달 과학연구성과도 ‘24.1월부터 공개할 계획이다. 고해상도카메라의 촬영영상은 보정작업을 거쳐 ’24.1월부터 순차적으로 일반에 공개할 계획이며, 광시야편광카메라의 관측자료로 만든 세계 최초의 달 전면 편광지도도 ‘24.1월에 공개할 계획이다. 또한 자기장측정기의 자기장 분석자료와 감마선분광기의 달 표면 감마선 스펙트럼 자료도 ‘24.1월에 공개할 계획이다.
한편 다누리 홈페이지(www.kari.re.kr/kplo)를 통해 다누리가 정상임무를 수행하면서 촬영한 영상 등 관측 자료를 지속적으로 공개하고, 4월 12일부터 달 궤도 상 다누리의 실시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서비스도 제공할 것이다. 또한 탑재체를 개발한 각 기관에서도 향후 자체 보도자료를 통해 구체적인 달 과학연구 성과를 공개해 나갈 예정이다.
과기정통부 조선학 거대공공연구정책관은 “다누리가 달에서 순조롭게 관측 영상과 데이터를 보내오고 있다. 올해 관측 결과를 바탕으로 다양한 달 과학연구 성과를 공개할 계획이니, 다누리의 임무 종료까지 국민 여러분의 많은 관심과 지지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붙임1. 고해상도카메라 -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영상
붙임2. 고해상도카메라 - 슈뢰딩거 계곡 영상
붙임3. 고해상도카메라 -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영상
붙임4. 광시야편광카메라 – 비흐만 크레이터 영상
붙임5. 자기장측정기 – 달 주변 우주공간 자기장 관측자료
붙임6. 감마선분광기 – 달 표면 감마선 분광자료
붙임7. 다누리 홈페이지 상 실시간 위치 확인 예시
담당 부서 |
거대공공연구정책관 |
책임자 |
팀 장 |
전승윤 |
(044-202-4671) |
뉴스페이스정책팀 |
담당자 |
사무관 |
장동수 |
(044-202-4642) |
|
유관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운영책임 |
업무리더 |
조영호 |
(042-860-2748) |
고해상도카메라 책임자 |
책임연구원 |
김동규 |
(042-870-3925) |
||
한국천문연구원 |
편광카메라 책임자 |
책임연구원 |
최영준 |
(042-865-3266) |
|
경희대학교 |
자기장측정기 책임자 |
교수 |
진호 |
(031-201-3865) |
|
한국지질자원연구원 |
감마선분광기 책임자 |
센터장 |
김경자 |
(042-868-3669) |
붙임1 |
고해상도카메라 -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영상 |
* 달의 반대쪽 면에 위치한 대형 충돌구로 러시아 과학자 콘스탄틴 치올콥스키의 이름을 따서 명명됨. 러시아 루나 3호에서 처음 발견한 이래 여러 미국 달 궤도선과 아폴로 계획의 우주비행사에 의해 촬영된 바 있음.
촬영 시작시간 |
2023-03-22 06:19:10 (KST) 2023-03-21 21:19:10 (UTC) |
달표면 좌표 |
남위 20.379°, 동경 128.971° |
||||||||||
촬영 소요시간 |
40 초 |
달표면 명칭 |
치올콥스키 크레이터 (Tsiolkovskiy Crater and Peaks) |
||||||||||
촬영 환경 |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서쪽→동쪽으로 자세기동하여 촬영 |
||||||||||||
다누리가 촬영한 전체 영상 (영상폭 ~220 km)
![]() |
|||||||||||||
|
|||||||||||||
달에서의 위치(출처: quickmap.lroc.asu.edu) |
|||||||||||||
![]() ![]() 달 뒷면 영상폭 ~280 km |
붙임2 |
고해상도카메라 - 슈뢰딩거 계곡* 영상 |
* 슈뢰딩거 계곡은 달 뒷면의 슈뢰딩거 충돌구 주변의 길이 320km, 폭 8~10km의 계곡이며 슈뢰딩거 충돌구 생성 시 함께 부가적으로 형성된 것으로 추정됨. 이와 같은 긴 계곡 형태의 지형은 달의 조석력 등에 의해 여러 개로 쪼개진 작은 운석 무리가 줄지어 동시에 충돌하면서 생성된 것으로 사슬형 충돌구 (Crater Chain)으로 불림.
촬영 시작시간 |
2023-03-24 07:14:16 (KST) 2023-03-23 22:14:16 (UTC) |
달표면 좌표 |
남위 66.423°, 동경 104.884° |
촬영 소요시간 |
40 초 |
달표면 명칭 |
슈뢰딩거 계곡 (Vallis Schrödinger) |
촬영 환경 |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동쪽→서쪽으로 자세기동하여 촬영 |
||
다누리가 촬영한 전체 영상 (영상폭 ~130 km)
|
|||
확대 영상 (영상폭 ~50 km)
|
|||
달에서의 위치 (출처: quickmap.lroc.asu.edu) |
|||
영상 폭 ~130 km ![]() ![]() 달 뒷면 |
붙임3 |
고해상도카메라 -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영상 |
* 달 뒷쪽의 북위 31도 부근에 위치한 직경 약 23km의 분화구로서 주변 테두리는 후속 충격에 의해 모양이 변형된 것으로 추정. 제2차 세계대전 중 핵 연쇄반응을 이론화 한 레오 실라르드의 이름을 따서 명명함.
촬영 시작시간 |
2023-03-24 07:40:50 (KST) 2023-03-23 22:40:50 (UTC) |
달표면 좌표 |
북위 31.247°, 동경 106.712° |
촬용 소요시간 |
40 초 |
달표면 명칭 |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Szilard M Crater) |
촬영 환경 |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서쪽→동쪽으로 자세기동하여 촬영 |
||
다누리가 촬영한 전체 영상 (영상폭 ~200 km) ※ 우측 크레이터가 실라르드 엠 크레이터
|
|||
확대 영상 (영상폭 ~55 km)
|
|||
달에서의 위치 (출처: quickmap.lroc.asu.edu)
영상폭 ~180 km ![]() ![]() 달 뒷면 |
붙임4 |
광시야편광카메라 – 비흐만 크레이터* 영상 |
* 작은 원형 그릇 모양의 달 충돌 분화로 최대 직경 약 62km로서 독일 천문학자 모리츠 비흐만의 이름을 따서 명명함.
촬영 시작시간 |
2023-01-12 01:22:10 (KST) 2023-01-11 16:22:10 (UTC) |
달표면 좌표 |
남위 7.536°, 서경 38.130° |
|||||||||||||||
촬영 소요시간 |
54 초 |
달표면 명칭 |
비흐만 크레이터 지역 (Wichmann crater region) |
|||||||||||||||
촬영 환경 |
달의 남극→북극 이동 중 촬영 |
|||||||||||||||||
|
달에서의 위치 (출처: quickmap.lroc.asu.edu) |
|
붙임5 |
자기장측정기 – 달 주변 우주공간 자기장 관측자료 |
□ 자기장측정기 관측 개요
○ 자기장측정기는 달의 자기장을 측정하여 달 표면 자기이상 관측, 달 우주환경 조사, 달 구조 연구 등에 활용하기 위한 탑재체
- 달 궤도상에서 24시간 내내 매 1초에 10번씩 자기장 관측자료를 수집 중이며,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23년 2월 4일 18시부터 24시까지 수집한 자료임
□ 관측 결과
○ 2월 4일, 다누리 자기장측정기 관측자료를 확인해보면 지구 자기장 영향권(뱃머리 충격파 영역, 자기꼬리 영역)에 들어가는 20시에서 22시 사이에 달 궤도에서의 자기장 세기가 변화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미국에서 운용 중인 달 과학위성(테미스) 관측자료와 다누리 자기장측정기의 관측자료가 유사한 파형을 그리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다누리 자기장측정기가 정상적으로 관측 중인 것을 알 수 있음
![]() |
[다누리의 자기장측정기 관측자료] |
붙임6 |
감마선분광기 – 달 표면 감마선 분광자료 |
□ 감마선분광기 관측 개요
○ 감마선분광기는 달 표면에서 나오는 감마선을 측정하는 탑재체로,
- 달 표면의 방사선원소별로 고유한 에너지준위(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것을 이용하여 달 표면원소를 구별하는데 활용하고, 달의 우주방사선 환경지도 등을 작성하는데 활용 예정
○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는 달 궤도상에서 24시간 내내 매 10초마다 달의 감마선 관측자료를 수집 중
- 이번에 공개한 자료는 ‘23년 1월 1일부터 1월 9일까지 9일간 수집한 자료임
□ 관측 결과
○ 감마선분광기 측정자료(스펙트럼)를 보면, 특정에너지(keV)에서 스펙트럼이 봉우리를 이루는 피크가 형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음
- 이는 감마선분광기로 관측한 지역에 특정에너지(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특정원소가 존재하고 있음을 나타냄
○ 중국 창어-2의 감마선 관측자료는 300keV 이상의 영역부터 유의미한 관측값을 보이나,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는 30keV 이상의 영역부터 유의미한 관측값을 보임
- 이는 다누리의 감마선분광기가 창어-2보다 더 낮은 에너지준위(keV)의 감마선을 방출하는 원소도 검출할 수 있음을 나타냄
![]() |
![]() |
[다누리 감마선분광기 관측 자료] |
[중국 창어-2 감마선 관측 자료] |
붙임7 |
다누리 홈페이지 상 실시간 위치 확인 예시 |
|
[다누리 현재위치 확인 서비스 화면(기본 화면)] |
|
[다누리 현재위치 확인 서비스 화면(촬영지점 클릭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