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51117_보도자료_정지궤도복합위성에 천리안위성 명칭 승계부여.hwp

닫기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보도일시

2015. 11. 17.(화) 조간(온라인 11. 16.12: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5.11. 16.(월) 9:00

담당부서

우주기술과

담당과장

김현수 과장(02-2110-2440)

담 당 자

오남준 사무관(02-2110-2441)

정지궤도복합위성 명칭천리안으로 통합

- 현재 개발 중인 정지궤도복합위성 2A/2B호에 고유명칭천리안위성 2A/2B부여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는 한반도 기상해양환경 상시관측을 위해 현재 개발 중인 차세대 정지궤도복합위성* 선행위성인 천리안(통신해양기상관측)**으로 고유 명칭을 부여한다고 밝혔다.

* 미래부, 해수부, 환경부, 기상청 등 정부부처는 ‘11.7~’19.9월까지 7,200억원을 투자하여 기상관측위성(우주기상관측 포함), 해양환경관측위성 등 정지궤도위성 2기를 개발 중임

* 2010년 6월 발사되어 현재 운용 중(설계수명 7년)

이와 관련, 미래부는 11월 12일 정지궤도복합위성개발사업 추진위원회를 개최하고 천리안위성 후속위성 개념으로서 천리안위성 2A/2B호를 부여키로 확정하였다.

정지궤도복합위성명칭은 단순히 인공위성의 궤도분류와 임무적 특성을 감안한 기술적 명칭으로 그동안 일반국민의 이해가 쉽지 않았다.

저궤도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이라는 고유명칭을 사용하고 있으나 정지궤도 정지궤도복합위성은 고유명칭이 없어 상대적으로 국민의 관심과 이해가 저조하였다.

또한, 정지궤도복합위성의 상세설계 완료 및 2016년 초부터 본격적인 위성체의 조립시험단계 진행에 따른 저궤도위성 대비 정지궤도위성 개발시리즈의 특성화 및 대형위성사업으로서의 정체성 부각이 필요하였다.

이번 고유명칭 부여는 이런 단점을 보완함으로써 지궤도복합위성 개발 등에 대한 국민의 이해와 관심이 확산될 것으로 예상된다.

더불어, 향후 정지궤도 위성활용 서비스와 궤도/주파수의 지속적 사용 등 정지궤도위성 시리즈* 개발 및 활용의 연속성을 갖출 것으로 보인다.

* 우주개발중장기계획(‘13.11)에 의거 통신해양기상위성(1기, ‘03~’10, ‘10년 발사), 정지궤도복합위성(2기, 11~‘19, ’18/‘19년 발사예정) 외에도 민관통신방송위성 등 ’40년까지 26기 위성 개발을 추진 중임

천리안(千里眼)명칭은 통신해양기상위성이 2010년 발사 이전에, 우주를 향한 도전과 위성발사의 성공을 기원코자 대국민 공모를 거쳐 선정하였다.

천리안은 고도 36,000km 상공에서 24시간 한반도를 주시하는 뛰어난 관측능력을 비유한 명칭으로, 정확한 관찰력으로 한반도의 기상해양환경 상시관측 및 우리나라 위성개발기술의 우수성을 알리고자 하였다.

국외에서도 고유명칭을 부여한 사례가 있으며, 국내 저궤도위성, 정지궤도위성 등은 상표 보호를 위해 2011년 전후에 상표권을 등록한 바 있다.

※ (국내) 다목적실용위성(아리랑’, 10.11 등록), 통신해양기상위성(천리안’, ‘11.6 등록), KTSAT 통신위성(무궁화’)

(국외) 유럽 Eutelsat 정지궤도통신위성(Eurobird’), 미국 Intelsat 정지궤도통신위성(‘Galaxy’), 일본 기상청 정지궤도기상위성(히마와리’) 등 시리즈 구현

지금 세계 각국은 국가위상 제고 및 국가안보와 위성통신, 항법 등을 통한 미래신산업 창출을 위해 우주영토 선점을 위한 물밑전쟁을 벌이고 있다.

특히, 정지궤도는 지구의 자전방향과 속도가 동일하여 특정지역의 24시간 관찰과 통신이 가능한 한정된 우주공간으로서 각 국은 정지궤도와 주파수 확보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 전세계적으로 약 481개 정지궤도위성 운영 및 한반도 주변에 중국 41개, 일본 22개 및 한국 3개(113도(무궁화위성 5호), 116도(무궁화위성 6호), 128.2도(천리안위성 1호)) 운영

* Union of Concerned Scientists(UCS) Satellite Database, 2015년 기준

ㅇ 이에 따라, 우리나라는 2019년까지 천리안위성의 독자개발 기술을 확보하고 우주개발중장기계획에 따라 2040년까지 민관통신방송위성, 항법위성 등 26기의 정지궤도위성을 전략적지속적으로 개발활용함으로써 우주영토 주권을 보존개척하고 우주첨단산업 육성을 도모할 계획이다.

세계 우주산업시장은 3,020억$(‘13년기준)으로 우리나라는 0.6%차지(18억$, 1$=1,045원) (State of Satellite Industry Report, SIA ’14 우주산업실태조사, 항우연)

2011년부터 추진한 천리안위성 2A/2B호 사업은 내년 1월까지 상세설계를 마무리하고 천리안위성 2A호의 비행모델(FM:Flight Model) 조립을 시작하여 위성 2A호는 2018년 5월, 위성 2B호는 2019년 3월에 발사할 예정이다.

천리안위성 2A/2B호는 기상예보기상이변, 해양오염해양감시 및 한반도 주변 월경성(越境性) 대기오염물질 등에 효과적으로 대응케 함으로써 향후 공공사회적 편익 제고와 함께 기술 파급효과도 클 것으로 기대된다.

< 천리안위성 2A호 및 2B호 개발 개요 >

(사업목적) 천리안위성 2A호 및 2B호 2기 개발

- 기상, 해양, 환경 상시관측체계 구축 및 국내 주도개발 기술 확보 추진

* 2A호(기상/우주기상관측), 2B호(해양환경관측)

(사업기간) ‘11.7~ ’19.9월 (‘18.5월(2A), '19.3(2B) 발사)

(총사업비) 7,200억원 (미래부 3,354억, 환경부 1,238억, 해수부 1,033억, 기상청 1,575억)

(사업주관) (총괄부처) 미래부 (참여부처) 환경부, 해수부, 기상청

(개발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천리안위성 2A호 상상도]

[천리안위성 2B호 상상도]

미래부 관계자는 천리안위성 개발시리즈, 아리랑위성 개발시리즈 등 다양한 인공위성의 지속적 개발과 통합위성정보의 융합적혁신적 활용은 우주영토의 주권 확보를 통한 국가위상 제고확실한 미래사회에서 국가안위 보전과 국가 미래산업의 진화적 생태계 조성 기여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끝.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오남준 사무관(☎ 02-2110-2441)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