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31114조간_[보도]_과학기술위성_3호,_1주일후_발사_예정_(1).hwp

닫기

국민이 행복한 변화가 시작 됩니다!

보 도 자 료

http://www.msip.go.kr

2013. 11. 14(수) 조간(온라인 11. 13. 12: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문의 : 우주기술과 박경수 과장(02-2110-2440), 윤희봉 사무관(02-2110-2449)

과학기술위성 3호, 1주일 후 발사 예정

국내 최초 근적외선 위성 카메라 탑재, 우주의 기원과 신비 해소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 1주일 후인 11월 21일 오후 1시 10분 경(한국시간 오후 4시 10분경) 과학기술위성 3호를 러시아 야스니(Yasny) 발사장에서 발사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과학기술위성 3호는 지난 10월 24일 러시아 야스니 발사장에 도착 후 위성 기능점검, 추진제 충전, 최종점검 등을 성공적으로 마쳤다.

국내 최초로 독자 개발된 근적외선 위성 카메라소형영상 분광기 탑재된 과학기술위성 3호는 발사 후 600km 상공에서 2년간 운영된다.

우주관측을 통해 태초 우주 기원, 우리은하 형성과정, 우리은하 분포 고온 프라즈마 기원 등 우주천문학 연구에 활용되고,

지구관측을 통해 산불탐지, 도시 열섬현상, 홍수피해 관측, 수질예측 등에 필요한 기초 연구국가재난재해모니터링에 활용된다.

또한, 위성 본체에 적용된 핵심우주기술의 우주 검증을 통해 실용성의 우주기반 기술 확보 등 다양한 목적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붙임 1. 과학기술위성 3호 개요

2. 과학기술위성 3호의 발사체 장착 모습

3. 과학기술위성 3호와 함께 발사될 위성

4. 과학기술위성별 비교

붙임 1

과학기술위성 3호 개요

사업개요

목표 : (근)적외선 카메라 탑재, 우리은하지구 관측 소형위성 개발

사업비 / 사업기간 : 278.36억원 / '06.12월~ '14.2

주관부처 / 총괄기관 : 미래창조과학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협동기관 : 천문연, 인공위성연구센터, 충남대, 우석대, 공주대

추진체계

- 사업총괄 : 국내개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위성본체 : 국내개발 (인위연, 충남대, 우석대, 카이스트)

- 탑 재 체 : 국내개발 (주탑재체/천문연, 부탑재체/공주대)

- 발 사 체 : 해외 발사업체 (러시아, ISC-Kosmotras社)

주요재원

- 무게 / 궤도 : 170kg (0.8m×1m×1m) / 600km 태양동기궤도

- 임무수명 : 2년

- 탑 재 체 : 우주관측 및 지구관측 적외선 카메라, 지구관측 영상분광기

위성형상도

MIRIS SC(우주관측 주탑재체), MIRIS EC(지구관측 주탑재체), COMIS(부탑재체), Thruster(전기추력기:핵심기술), 기타 4개 핵심기술은 본체에 포함되어 보이지 않음(우주용 리듐-이온 배터리,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고성능 탑재컴퓨터, 소형전력조절기).

위성 활용 계획

국내 최초 근적외선 위성용 영상카메라를 탑재하여 우주기원 연구 및 지구 지표 온도변화, 산불탐지 등 연구

지상에서 관측한 가시광선(Hα)지도

성간 난류 이론 모형

< 근적외선 관측을 통한 우리은하 기원연구 >

< 지구 적외선영상 관측 가능>

소형영상 분광 카메라를 통해 수질오염 관측, 생태지도 작성, 작황 상태 파악 등 연구

< 한강수질관리 연구 활용 가능 >

< 작물 작황상태 모니터링 가능 >

위성본체에 5개 핵심우주기술의 적용 검증

- 리튬-이온 배터리, 다기능 복합재 구조체, 고성능 탑재컴퓨터, 소형 태양전력조절기, 10mN급 전기추력기 등 검증시, 실용위성 등에 활용

대학 및 연구소 등 참여를 통한 위성개발 전문인력 양성

붙임 2

과학기술위성 3호의 발사체 장착 모습

< 발사체 상단 플랫폼에 장착되고 있는 과학기술위성 3호 >

< 발사체 상단 플랫폼에 장착된 과학기술위성 3호 >

<과학기술위성 3호 발사를 위한 발사체 상단 최종 조립 장면>

붙임 3

과학기술위성 3호와 함께 발사될 위성

순번

위 성 명

국 적

용 도

비 고

1

SKYSAT-1

미국

지구관측

부위성, 90kg

2

DubaiSat-2

우리나라 세트렉아이 제작

아랍에미레이트

지구관측

주위성, 296kg

(Satrec-i 제작)

3

STSAT-3

한국

우주관측/지구관측

부위성, 170kg

4

UniSat-5

이태리(대학)

과학연구 및 기술개발

부위성, 26kg

5

AprizeSat-7

미국

저궤도 통신

부위성, 14kg

6

AprizeSat-8

미국

저궤도 통신

부위성, 14kg

7

Containers ISIPOD(9개)

with

CubeSat

네델란드

(한국)

연구용

Cubesat(14개), 48.5kg

(경희대학교 2개 포함)

8

GOMX-1

캐나다(토론토대)

기술개발

Cubesat(1개), 4.5kg

9

WNISat

캐나다(토론토대)

해로 빙하 관측

부위성, 20kg

10

BRITE-PL

캐나다(토론토대)

기초과학연구

부위성, 15kg

6개 국가

총 23개 위성,

무게 698kg

발사체에서 위성들이 약 2초 간격으로 분리 (순번 1~10)

세트랙아이 DubaiSat-2 : 개발기간('08.2~'13.11, 5년), 제작비($4,000만달러, 446억원), 크기(1.5×1.5×h1.95), 해상도(흑백1m, 칼라4m, 광학 / 다목적실용위성 2호와 사양은 유사하나 선명도, 전송속도 등 성능이 떨어짐)

< 드네프르 발사체 형상 및 탑재부에 장착된 위성 형상>

붙임 4

과학기술 위성별 비교

구분

위성 1호

위성 2호

나로호

위성 3호

목 적

우주관측

대기관측

우주관측/기술검증

우주/지구 관측

무 게

106kg

100kg

100kg

170kg

고 도

680km

300~1,500km

300~1,500km

600km

탑 재 체

원자외선 분광기 등 5개

마이크로파 라디오미터 등 2개

레이저반사경 등

6개

근적외선 카메라 등 8개 탑재체

수 명

2년

2년

1년

2년

총 비 용

116.9억원

136.5억원

20억원

278.36억원

발 사 체

Cosmos(러)

KSLV-Ⅰ(한국)

KSLV-Ⅰ(한국)

Dnepr(러)

발 사 장

Plesetsk(러)

고흥(한국)

고흥(한국)

Yasny(러)

개발기간

'98.10~'03.12

'02.10~'10.12

'11.02~'13.02

'06.12~'13.10

발 사 일

'03.9.27

'09.8.25/ '10.6.10

'13.1.30

'13.11.21(예정)

운영현황

임무종료('06.5)

1,2차 발사실패

임무수행 중

발사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