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윤나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선임연구원
법학(우주법) 박사
nayoungy@kari.re.kr
1. 서 론
초 록
1. 조선일보, “한국, 2032년 무인 달 탐
사선 달에 착륙 계획”, 2023.08.22.,
https://www.chosun.com/econo-
my/science/2023/08/22/UJSYP-
FLRHNHPJKWZVINM4R5JJE/ (last
visited 2023.08.22.)
2. 한겨레, “‘달 탐사 경쟁’ 뜨겁다, 미
중러 이어 인도까지 ‘찬드라얀’ 띄
워”, 2023.08.20., https://v.daum.
net/v/20230820180002324 (last
visited 2023.08.22.); 한국경제, “달
의 남극에 뭐가 있길래... 미·중·러·
인도 ‘각축’”, 2023.08.18., https://
www.hankyung.com/internation-
al/article/2023081811165
(last
visited
2023.08.22.);
조선일
보, “찬드라얀 3호, 2주간 물·얼
음·헬륨3 탐사... 모디 ”인도 14
억명의 자부심“”, 2023.08.24.,
h t t p s : //w w w . c h o s u n . c o m /
economy/science/2023/08/23/
XX7MXW3TZRGFNIF5MW4VN-
Z6LQE/?utm_source=naver&utm_
medium=referral&utm_cam-
paign=naver-news (last visited
2023.08.24.)
9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 Fabio Tronchetti, The Space
Resource Exploration and Utili-
zation Act: A move forward or
a step back?, Space Policy 34
(2015) p.8.
4. ‘우주현지활용(ISRU)’란, ‘In-Situ
Resource Utilization의 약자로,
무인 및 유인 탐사와 지속적 체류
를 위한 제품 및 서비스를 만들기
위해 로컬 그리고 현지 자원을 연
계하고 이용하는 모든 하드웨어
또는 운영을 포함한다.
5. Racael O’Grady, Space Law:
Where No One Is Real-
ly Sure of the Rules, LAW.
COM (June 17, 2020), https://
www.law.com/internation-
a l - e d i t i o n / 2 0 2 0 / 0 6 / 1 7/
space-law-where-no-one-is-
really-sure-of-the-rules/?slre-
turn=20210802101029; Laura
C. Byrd, Soft Law in Space: A
Legal Framework for Extrater-
restrial Mining, 71 Emory L. J.
801 (2022) p. 804.
6. Treaty on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including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610 UNTS 205, adopted on 27
January 1967, entered into force
on 10 October 1967 (the ‘Outer
Space Treaty’); Agreement on
the Rescue of Astronauts, the
Return of Astronauts and the
Return of Ob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672 UNTS 119,
adopted on 22 April 1968, en-
tered into force on 3 December
1968 (the ‘Rescue Agreement’);
Convention on International
Liability for Damage Caused by
Space Objects, 961 UNTS 187,
adopted on 29 March 1972, en-
tered into force on 1 September
1972 (the ‘Liability Convention’);
Convention on Registration of
Objects Launched into Outer
Space, 1023 UNTS 15, adopted
on 14 January 1975, entered into
force on 15 September 1976
(the ‘Registration Convention’);
Agreement Governing the Ac-
tivities of States on the Moon
and Other Celestial Bodies,
1363 UNTS 3, adopted on 18
December 1979, entered into
force on 11 July 1984 (the ‘Moon
Agreement’).
10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 우주 자원의 정의
terra nullius
res communis omnium
terra nullius
res communis omnium
res communis
res nullius
7. “In using frequency bands for
radio services, Member States
shal bear in mind that radio
frequencies and any associated
orbits, including the geosta-
tionary-satellite orbit, are lim-
ited natural resources and that
they must be used rational y,
efficiently and economical y, in
conformity with the provisions
of the Radio Regulations, so that
countries or groups of countries
may have equitable access to
those orbits and frequencies,
taking into account the spe-
cial needs of the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geographical
situation of particular countries.”
8. Stephan Hobe, Space Law, No-
mos; C.H. Beck; Hart Publishing,
Germany (First Ed., 2019) p. 99.
9.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51 USC
10101.
10. Stephan Hobe, supra note 8.
11. Fabio Tronchetti, supra note
3, p. 7.
12. J. Klabbers, International Law,
Cambridge University Press
(Second ed., 2017); Martin
Svec, Outer Space, an Area
Recognised as Res Communis
Omnium: Limits of National
Space Mining Law, Space Policy
60 (2022).
13. Art 136-137, United Nations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adopted 10 December
1982, entered into force 16
November 1994) 1833 UNTS
3 (UNCLOS).
11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corpus iuris spatialis
res communis doctrine
14. Ibid
15. Ibid
16. Christol, Carl Q., Evolution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Wester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1, no. 1, Spring
(1981) p. 68.
17. Christol, Carl Q., Evolution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Wester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1, no. 1, Spring
(1981) p. 68.
18. United Nations Convention of
the Law of the Sea, 1833 UNTS
136, adopted on 10 December
1982, entered into force on 16
November 1994 (hereinafter,
‘UNCLOS’).
19. Convention on the High Seas,
Geneva, 29 April 1958, entry
into force 30 September 1962,
United Nations, Treaty Series,
Vol. 450, p. 11.
20. Antarctic Treaty, Dec. 1, 1959,
[June 23, 1961] 12 U.S.T.
794, T.I.A.S. No. 4780, 402
U.N.T.S. 71.
21. Article 89 of the Convention on
the Law of the Sea.
22. Christol, Carl Q., Evolution
of the Common Heritage of
Mankind Principle, Western
State University International
Law Journal, vol. 1, no. 1, Spring
(1981) p. 65.
23. The Preamble, Article I of the
Outer Space Treaty.
12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4. UNGA Res. 51/122, The Dec-
laration on International Co-
oper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
est of al States, Taking into
Particular Account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13
December 1996 (hereinafter,
‘Space Benefits Declarations’).
25. Stephan Hobe, International
Space Law in its First Half
Century, in: Proceedings of
the 49th Col oquium of the
International Institute of Space
Law (2006) pp. 376-377.
26. Defined in Article. 1 of the
UNCLOS as “The seabed
and ocean floor and subsoil
thereof, beyond the limits of
national jurisdiction.”
27. Article 31(3)(c) of the VCLT
stipulates as “There shal be
taken into account, together
with the context any relevant
rules of international law appli-
cable in the relations between
the parties.”
28. Martin Svec, supra note 12.
29. Ibid.
30. Ibid.
31. Stephan Hobe, Art. I, in:
Hobe/Schmidt-Tedd/Schrogl
(eds.), Cologne Commentary
on Space Law, Vol. I, Carl Hy-
manns, Cologne (2009) p. 35;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3; Fabio Tronchetti, su-
pra note 3, p. 7.
32.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4.
33. Sergio Marchisio, Art. IX, in:
Hobe/Schmidt-Tedd/Schrogl
(eds.), Cologne Commentary
on Space Law, Vol. I, Carl
Hymanns, Cologne (2009) p.
176; Ibid.
13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 국제법에서의 우주 자원
Corpus Iuris Spatialis
jus cogens
3.1 경성법(Hard Law)
3.1.1 Outer Space Treaty (1967)
34. UNGA Res. 1962 (XVIII), Decla-
ration of Legal Principles Gov-
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s
of Outer Space, 13 December
1963; UNGA Res. 37/92, The
Principles Governing the Use
by States of Artificial Earth
Satellites for International Di-
rect Television Broadcast, 10
December 1982; UNGA Res.
41/65, The Principles Relating
to Remote Sensing of the
Earth from Outer Space, 3
December 1986; UNGA Res.
47/68, The Principles Relevant
to the Use of Nuclear Power
Sources in Outer Space, 14
December 1992; UNGA Res.
51/122, The Declaration on In-
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est of al States,
Taking into Particular Account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13 December 1996
(hereinafter, ‘Space Benefits
Declarations’).
35. Melissa de Zwart, Stacey Hen-
derson, Michel e Neumann,
Space resource activities and
the evolution of international
space law, Acta Astronautica
211 (2023) p. 156.
14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6.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5.
37. Ibid.
38. Ibid.
39. Ibid., p. 96.
40. Ibid.
41. Ibid.
42. Ibid.
43. Martin Svec, supra note 12.
44. Louis de Gouyon Matignon,
supra note 17.
15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1.2 Moon Agreement (1979)
45. Article I of the Outer Space
Treaty
46. Melissa de Zwart, Stacey Hen-
derson, Michel e Neumann,
supra note 35, p. 157.
47. Ibid., p. 158.
16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48. Stephan Hobe, supra note
8, p. 97.
49. bid., p. 98.
50. bid., p. 99.
51. Ibid.
17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3.2 연성법(Soft Law)
52. Ibid.
53. Ibid.
54. Martin Svec, supra note 12.
55. Ian A. Christensen & Christo-
pher D. Johnson, Putting the
White House Executive Order
on Space Resources in an
International Context, SPACE
REV. (April 27, 2020), http://
www.thespacereview.com/
article/3932/1.
56. Laura C. Byrd, Soft Law in
Space: A Legal Framework
for Extraterrestrial Mining, 71
Emory L. J. 801 (2022) 821p.
57. Jennifer Ann Urban, Soft
Law: The Key to Security in
a Globalized Outer Space, 43
TRANSP. L. J. 33, 46 (2016).
58. Laura C. Byrd, supra note 56,
831p.
59. Ibid., 832p..
60. Ibid.
61. Ibid.
62.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Unit-
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https://www.
unoosa.org/oosa/en/ourwork/
topics/long-term-sustainabil-
ity-of-outer-space-activities.
html (last visited 2023.10.10)
(“The Guidelines provide guid-
ance on the policy and regu-
latory framework for space
activities; safety of space
operations; international co-
operation, capacity-building
and awareness; and scientific
and technical research and
development.“)
63. Peter Martinez, The U.N.
COPUOS Guideline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SECURE WORLD FOUND.
(November 2019), https://
swfound.org/media/206891/
swf_un_copuos_lts_guidelinds_
fact_sheet_november-2019-1.
pdf..
18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64. The Hague Int’l Space Res.
Governance Working Group,
Building Blocks for the De-
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Framework on Space Re-
source Activities 1 (2019).
65. Ibid.
66. Article 8, 10(a), 11.1-11.2 of
the Hague Int’l Space Res.
Governance Working Group,
Building Blocks for the De-
velopment of an International
Framework on Space Re-
source Activities 1 (2019).
67. Letter from the Outer Space
Institute to Tijjani Muham-
mad-Bande, President, United
Nations General Assembly
(August 2020), http://www.
outerspaceinstitute.ca/docs/
InternationalOpenLetterOnS-
paceMining.pdf.
68. The Canadian Press, Cana-
da Joins U.S.-Led Artemis
Accords to Send Human
Explorers Back to Moon and
Beyond, CBC (October 14,
2020), https:/ www.cbc.ca/
news/technology/artemis-ac-
cords-1.5761456. Laura C.
Byrd, supra note 56, 825p.
19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4. 향후 한국의 발전 방향 제언 및 결론
69. Members of the Commit-
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https://unoosa.org/oosa/en/
members/index.html (last vis-
ited 2023.10.10.).
70.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An-
notated provisional agenda
on its Fifty-ninth Session,
U.N. Doc. A/AC.105/C.2/L.312
(2020), https://www.unoosa.
org/res/oosadoc/data/doc-
uments/2020/aac_105c_2l/
aac_105c_2l_312_0_html/
V2001359.pdf.
71. The United States, U.S.
Commercial Space Launch
Competitiveness Act, Pub.
L. No. 114-90, 129 Stat. 704
(2015). https://www.congress.
gov/114/plaws/publ90/PLAW-
114publ90.pdf (last visited
2023.10.16.).
72. The Law on the Exploration
and Use of Space Resources,
https://legilux.public.lu/eli/
etat/leg/loi/2017/07/20/a674/
jo/en (last visited 2023.10.16.).
73. Federal Law No. 12 on the
Regulation of the Space
Sector,
https://space.gov.
ae/Documents/Publication-
PDFFiles/SpaceSectorFed-
eralLaw_EN.pdf (last visited
2023.10.16.).
74. Act on the Promotion of
Business Activities for th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of Space Resources, https://
www8.cao.go.jp/space/en-
glish/resource/documents/
act83_2021.pdf (last visited
2023.10.16.).
75. Melissa de Zwart, Stacey Hen-
derson, Michel e Neumann,
supra note 35, p. 159.
76. Fabio Tronchetti, supra note
3, p. 7.
77. Martin Svec, supra note 12
20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78. 2020년 미국에서 제시한 달
탐사 활동 규범의 기본 원칙인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
cords)는 아르테미스 프로그램
참여 조건으로 현재(2023년 10
월) 29개국이 서명하였다. 정치
적인 선언이며 법적 구속력은 없
지만, 향후 대다수의 국가가 서
명하여 참여하게 된다면, 새로운
달 탐사 활동 규범으로 자리잡힐
가능성이 있다. 관련 내용으로는
지속 가능한 우주 탐사를 위해
달, 화성, 소행성 자원의 이용이
필요하며, 우주조약에 근거하여
우주자원의 추출 및 이용이 가능
하다는 점, 그리고 분쟁 방지를
위한 ‘안전지대(Safety Zone)’을
설정한다는 점 등이 있다.
79. Insight-Encouraging
the
Recovery and Use of Space
Resources: Recommendations
for Governmental Policies
and Engagement, SECURE
WORLD FOUNDATION (Octo-
ber 8, 2020), https://swfound.
org/news/all-news/2020/10/
insight-encouraging-the-re-
covery-and-use-of-space-re-
s o u r c e s - r e c o m m e n d a -
tions-for-governmental-pol-
icies-and-engagement (last
visited 2023.08.22.)
80. Ibid.
21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참고 문헌
22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3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4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5
I. 우주정책
우주자원 관련 국제법 동향
26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I. 들어가며
윤인숙
한국법제연구원
글로벌법제전략팀
연구위원
<그림 1> 우주쓰레기 궤도잔해 추이
27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27
1)
1. United Nations, ‘Our
Common
Agenda
Policy 7, For All Hu-
manity-the Future of
Outer
Space
Gov-
ernance’, 2023 May,
참고
2. The
Global
Le-
gal
Landscape
of
Space: Who Writes
the Rules on the Fi-
nal Frontier?, Sophie
Goguichvili,
Alan
Linenberger & Am-
ber Gillett,
Wilson
Center, 2021 Octo-
ber, 참고
3. 유엔 우주규제기관에 관
한 내용은 UNOOSA의
홈페이지에 기재된 문서
및 정보를 참고하여 작성
함.
https://www.un-
o o s a . o r g / o o s a / e n /
a b o u t u s / r o l e s - r e -
sponsibilities.html(
최종방문 2023. 11월
20일)
4. 현재 우리나라를 포함하
여 총 100개의 회원국,
45개 옵서버가 참여하고
있는 등 우주활동을 하는
모든 국가가 가입되어 있
어 실질적인 우주분야 국
제기구의 역할을 수행 중
임. 매년 6월경에 오스트
리아 빈에서 본회의를 개
최함
Ⅱ. 현행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2)
1. 유엔 우주 규제 기관3)
(1) 외기권위원회 (UN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COPUOS)4)
28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2) 법률소위원회와 과학기술소위원회
5)
(3) 유엔우주업무사무소(UN Office of Outer Space Affairs, UNOOSA)
5. 매년 과기소위(2월), 법
률소위(4월)가 비엔나에
서 각각 1회씩 개최됨
소위원회
29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6. 국제 우주법의 기초를
형성하는 다자간 조약으
로 UN의 후원으로 협상
및 초안이 작성되었으며,
1967년 10월 10일 발
효됨. 2020년 11월 현
재 111개국이 비준하고
23개국이 서명함
7. COPOUS 작업을 통하
여 1967년 12월 UN
총회 결의로 채택되어
1968년 12월 발표됨
8. UN총회에서 1971년 채
택되고, 1972년 9월 발
효됨
2. 유엔 우주 조약
(1) 우주조약
6)
(2) 구조협정
7)
(3) 책임협약
8)
30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4) 등록협약
9)
10)
(5) 달조약
11)
9. 1975년 1월 UN총회 결
의로 채택되어 1976년
발효됨
10. 2023년 LSC 등록협
약, Mega Constel-
lation관련 주요 쟁점
이었음
11. 유엔 총회에서 1979
년 12월에 채택, 1984
년 7월에 발표됨. 2023
년 11월 현재 25개국이
비준함
12. UN 전게서 23p 내용
을 바탕으로 저자 번역
3. 유엔 5가지 원칙과 가이드라인
<표 1> 외기권 원칙과 선언12)
외기권의 탐사와 활용에 있어서 국가 활동을 규율하는 법적 원칙 선언
Declaration of Legal Principles Governing the Activities of States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인공위성에 의한 국제 직접 텔레비전 방송을 규율하는 원칙 (방송 원칙)
Principles Governing the use by States of Artificial Earth Satellites for
International Direct Television Broadcasting
외기권에서 지구의 원격 감지에 관한 원칙(원격감지원칙)
Principles Relating to Remote Sensing of the Earth from Outer Space
1963
1982
1986
31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우주공간의 평화적 이용을 위한 국제협력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General Assembly resolution 1721 (XVI))
TU 결의안 ITU-R S.1003 – 정지위성 궤도의 환경보호
ITU recommendation ITU-R S.1003
– Environmental protection of the geostationary-satellite orbit
“발사국가” 개념의 적용(총회 결의안 59/115)
Application of the concept of the “launching State”
(General Assembly resolution 59/115)
1961
1993
2004
13. UN 전게서 24p 내용을
바탕으로 저자 번역
<표 2> 외기권 결의안과 가이드라인(OUTER SPACE RESOLUTIONS AND GUIDELINES13)
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의 우주잔해물 저감 가이드라인
Space Debris Mitigation Guidelines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외기권의 평화적 탐사 및 이용에 관련된 국내 법제에 관한 권고사항(총회 결의안 68/74)
Recommendations on national legislation relevant to the peaceful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8/74)
외기권평화적이용위원회의 외기권 활동의 장기적 지속가능성을 위한 지침 Guidelines
for the Long-term Sustainability of Outer Space Activities of the Committee on
the Peaceful Uses of Outer Space
외기권에서의 원자력 이용을 위한 안전 프레임워크
Safety Framework for Nuclear Power Source Applications in Outer Space
우주 물체 등록에 관한 국가 및 정부간국제기구의 관행 개선에 관한 권고 사항
(총회 결의안 62/101)
Recommendations on enhancing the practice of States and international
intergovernmental organizations in registering space objects
(General Assembly resolution 62/101)
투명성 및 신뢰구축 조치의 실질적인 이행을 촉진하기 위한 권고사항
Recommendations to promote the practical implementation of transparency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outer space activities of the Group of
Governmental Experts on Transparency and Confidence-Building Measures in
Outer Space Activities
2007
2013
2019
2009
2007
2013
개발도상국의 필요를 특별히 고려하여 모든 국가의 이익을 위한 외기권의 탐색 및 이용
에 관한 국제 협력에 관한 선언
Declaration on International Cooperation in the Exploration and Use of Outer
Space for the Benefit and in the Interest of All States, Taking into Particular
Account the Needs of Developing Countries
외기권에서 원자력 발전원 사용과 관련된 원칙(원자력발전원 원칙)
Principles Relevant to the Use of Nuclear Power Sources in Outer Space
1992
1996
32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스페이스2030” 의제 : 지속가능한 발전 동력으로서의 우주 (총회 결의안 76/3)
The “Space2030” Agenda: space as a driv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General
Assembly resolution 76/3)
ITU 결의안 218 - “스페이스2030” 의제 : 지속가능한 발전 동력으로서의 우주 이행 관
한 ITU의 역할과 후속조치 및 검토 과정
ITU resolution 218 – ITU’s rol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Space2030” Agenda:
space as a driver of sustainable development, and its fol ow-up and review
process
2021
2022
14. https://www.hani.
co.kr/arti/science/
s c i e n c e _ g e n e r -
al/1068659.html
III. 새로운 거버넌스 필요성과 관련 논의-우주자원을 중심으로-
1. 새로운 거버넌스의 필요성
14)
33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15. NASA,
‘Artemis’,
available at https://
w w w . n a s a . g o v /
specials/artemis/.
16. 2023년 11월 현재 서
명국은 31개 국가임
(Argentina,
Austra-
lia, Bahrain, Brazil,
Canada,
Colombia,
Czech Rep., Edu-
ador, France, Ger-
many, Iceland, India,
Israel, Italy, Japan,
Luxembourg,
Mex-
ico,
Netherlands,
New Zealand, Nige-
ria, Poland, Repub-
lic of Korea, Roma-
nia, Rwanda, Saudi
Arabia,
Singapore,
Spain,
Ukraine,
United Arab Emir-
ates, United King-
dom, United States
of America). 대한민
국도 2021년 5월 24
일 아르테미스 약정에
서명함
17. 오시진, ‘국제우주법체
계상 아르테미스 약정
의 함의’, 국제법평론, 제
60호, 36페이지, 2021
년 10월
18. 오시진, 전게서, 41페
이지
2. 아르테미스 약정(Artemis Accord)
15)
16)
17)
18)
34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19)
19. 오시진, 전게서, 42~43
페이지 참조
20. 김영주, 2021년 “일본
우주자원법의 입법구
조와 적용 논점”, 사법,
2023년 제1권64호, 4
페이지
21. “달과 기타 천체를 포함
한 외기권의 탐색과 이
용은 그들의 경제적 또
는 과학적 발달의 정도
에 관계없이 모든 국가
의 이익을 위하여 수행
되어야 하며 ⋯ 국제법
에 따라 모든 국가가 자
유로 이 탐색하고 이용
하며 천체의 모든 영역
에 대한 출입을 개방한
다.”
22. 이하의 논의는 제62
차 외기권위원회 법
률소위원회
논의와
보고서(Report
of
the Legal Sub-
committee
on
its
sixty-sec-
ond
session,
held in Vienna
from 20 to 31
March 2023, A/
A C . 1 0 5 / 1 2 8 5 ) 를
바탕으로 작성함
3. 우주자원의 사유화를 둘러싼 논의
(1) 국제법적 논의
20)
21)
(2) 제62차 외기권위원회 법률소위원회 논의22)
35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23. 러시와와 중국 등 국가
들은 현 국제우주법 체
계에는 천체의 천연자원
을 사용하는 것과 관련하
여 이러한 활동을 규제하
는 구체적인 조항이 포함
되어 있지 않다고 하면서
도, 외기권우주조약 제2
조의 비전용원칙 조항은
법적 구속력이 있으며 우
주 공간에서 수행되는 모
든 활동에 적용되어야 한
다고 하며, 국가, 단체 또
는 개인이 행하는 어떠한
행위도 달 및 기타 천체
를 포함한 우주 공간 전
체 또는 일부에 대한 소
유권을 확립하는 법적 근
거가 될 수 없다고 주장
하고 있음
24. 위에서 기술한 제62차
외기권위원회 법률소위
논의에서 알 수 있듯이,
캐나다, 룩셈부르크, 뉴
질랜드, 독일 등은 아르
테미스 약정 서명국이
라도 아르테미스 약정을
주도한 미국 등과 의견을
전적으로 같이 하고 있지
는 않음
23)
IV. 나아가며
24)
36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참고 문헌
37
I. 우주정책
새로운 글로벌 우주
거버넌스 형성 관련 논의에
대한 小考
40
백기태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선임연구원
bkt@kari.re.kr
1. 서 론
초 록
* 본 논문은 2023년 10월 11일 개
최된 항공우주시스템공학회 추계
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내용을 수정
보완한 것이다. 토론을 통해 발표
내용의 한계를 짚어주신 분들과 논
문의 질 향상에 도움을 주신 익명의
심사위원께 감사드린다.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
산업 구조 및 생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
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41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41
1. 조현구. (2018). 통계와 정책의
연계 강화방안 연구: ‘통계기반
정책평가제도’에 대한 게임이론
적 접근. 인문사회과학연구, 61,
117-136..
2. 박민규 & 김대진. (2021). 증거기
반 정책형성제도로서 통계기반 정
책관리제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정책개발연구, 21(1), 1-39.
42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3. OECD (2022), OECD Hand-
book on Measuring the Space
Economy, 2nd Edition, OECD
Publishing, Paris, https://doi.
org/10.1787/8bfef437-en.
43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2. 정부의 우주산업 정책 변화
출처: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그림 1> 제4차 우주개발진흥 기본계획의 우주정책 범위 확장
44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표 1> 주요 우주산업 정책 목표와 우주산업 실태조사 비교
4. 전자공시시스템(DART), K-RE-
PORT, 비즈노 3개 사이트를 이
용하여 조사.
45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표 2> 해외 주요기관들이 분석한 우주산업 밸류체인의 예
3. 국내 우주산업의 구조
기관
기관
호주 우주국
ESA
우주산업
통신위성 산업
PwC
Geo Awesome
우주산업
지구관측 위성 산업
영국 사업·에너지·
산업전략부(BEIS)
Frost and
Sullivan
제조 및 핵심 투입물,
우주 운영 등 4개 요소
R&D, 우주산업
등 4개 요소
위성 제조, 발사체
등 8개 요소
업, 미드, 다운스트림
등 5개 요소
위성제조, 발사서비스
등 6개 요소
제조, 발사서비스
등 5개 요소
위성 제조, 발사서비스
등 5개 요소
우주시스템 개발 및
발사 등 4개 요소
우주산업
소형위성 산업
Euroconsult
PwC
우주산업
항법 위성 산업
산업
산업
구성
구성
예시
예시
5. 임대현 & 이호신.(2015).기업데이
터를 활용한 밸류체인 정보 분석
방안. 한국기술혁신학회 학술대
회, 525-530.
46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6. 0원: 백만원 미만을 의미
47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자료: 2022년 우주산업실태조사 보고서(조사기준년도 2021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2022)
<그림 2> 우주산업 매출액 비중별 기업 분포(기업체수, %)
<그림 3> 국내 우주산업의 수요구조
48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4> 국내 우주기기제작 산업의 수요 및 공급구조
주) 점선 화살표로 표시한 R&D협약은 ’상업적‘ 거래가 아니며, 공급계약의 경우에만 ’상업적‘ 거래에 해당
7. 한국의 정부 우주개발 프로그램
은 주계약자(Prime Contractor)
와의 R&D 협약으로 추진되고, 이
후 실제 개발과정에서의 하부 계약
은 기업들과의 공급계약으로 이루
어지는 경우가 많다. 미국, 유럽 등
국가들의 우주 프로그램이 주계약
자와의 공급계약으로 추진되는 경
우가 많은 것과 다소 차이가 있다.
49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6> 국내 사용자 단말기 제조 산업의 수요 및 공급구조
<그림 5> 국내 위성 서비스 산업의 수요 및 공급구조
50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4. 국내 우주산업 생태계 현황
<그림 7> 우주산업 분야별 참여 기업 규모(기업체 수)
8. 전자공시시스템(DART), K-RE-
PORT, 비즈노 3개 사이트를 통해
조사하였으며 하나의 기업이 다수
의 업종을 보유할 수 있으나 대표
업종만 조사가 가능하였고 사이트
별로 일부 차이가 있을 수 있으며
일부 기업의 경우 한국표준산업분
류표상 대분류까지만 조사가 가
능하였다.
51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8> 2021년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기업체 수)
<그림 9> 2021년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매출액)
52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구분
구분
위성체 제작
원격탐사
제조업(49)
정보통신업(17)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5)
제조업(4)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3)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7)
정보통신업(1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4)
도매 및 소매업(8)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3)
-
정보통신업(4)
도매 및 소매업(5)
-
-
-
발사체 제작
위성항법
제조업(69)
제조업(41)
정보통신업(5)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3)
도매 및 소매업(8)
도매 및 소매업(6)
건설업(2)
-
지상국 및 시험시설
위성방송통신
정보통신업(8)
정보통신업(13)
제조업(16)
제조업(46)
도매 및 소매업(2)
건설업(4)
건설업(1)
전문, 과학 및 기술
서비스업(1)
발사대 및 시험시설
우주보험
제조업(33)
금융 및 보험업(8)
건설업(5)
-
도매 및 소매업(10)
-
정보통신업(2)
-
업종
업종
<표 3>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매출액 규모 순, 괄호: 참여기업 수)
<그림 10> 2021년 우주산업 분야별 업종 현황(평균 매출액)
53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구분
완성품
장비
소재·부품
73.0%
4
기타
합계
비중(%)
4.8%
6.3%
15.9%
100.0%
기업수(개)
3
46
10
63
<표 4> 위성체 제작 분야 소재·부품·장비 기업 현황
9. 소재·부품·장비산업 경쟁력강화를
위한 특별조치법 시행규칙 [별표
1]의 소재·부품·장비의 범위와 대
상 업종 기준에 따라 구분하였다.
10. 초소형 위성 등 완성품의 기준
에 따라 기업의 수가 다르게 판
단될 수 있음.
54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5. 결론 및 시사점
55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그림 11> 우주산업 실태조사 분류체계 개선방향
56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참고 문헌
57
II. 우주경제
정부 우주산업 정책 변화와
국내 우주산업 구조 및 생
태계 분석을 통한 우주산업
통계 개선 필요성 연구
58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신상우
국가우주정책연구센터
swshin@stepi.re.kr
초 록
1.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의 중요성
1.1 지구관측 데이터
윤나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정책팀
nayoungy@kari.re.kr
김은정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전략기획본부 연구혁신팀
ejkim@kari.re.kr
59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59
<그림 1> 다목적실용위성 데이터로 관찰한 지구시스템의 변화
리비아 데르나 홍수(2023년 9월 13일)
미국 하와이 화재(2023년 8월 11일)
스페인 화재(2023년 9월 19일)
스위스, 이탈리아 마테호른(2022년 7월 31일)
60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1.2 국제협력의 중요성
61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2. 지구관측그룹(GEO)
2.1 개요
62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2.2 GEO 전략계획
63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표 1> GEO 전략계획(2016-2025) 주요내용
64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2.3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
<그림 2> 전지구관측시스템(GEOSS)에 참여하는 정부, 연구기관, 산업체
3. 주요 프로그램
3.1 GEO 작업 프로그램(GEO Work Programme) 2023-2025
65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2 GEO 워킹그룹(GEO Working Group)
<표 2> GEO 워킹그룹 리스트
워킹그룹명
활동 내용
역량개발에 대한 GEO의 노력을 촉진하고, 공동 창조의 원칙을 촉진하며, 다양한 수
준의 개입에서 역량개발 활동의 설계, 개발, 실행 및 평가에 대한 개념적 지원 제공
지구관측 활용 발전 관련 포괄적인 GEO 기후 변화 대응 전략 개발 및 실행으로 기
후 적응 및 완화를 지원. 기후 변화에 관한 파리 협정과 관련된 조치 포함. 기후 변화
와 관련된 GEO 작업 프로그램 활동의 조정 및 활용을 개선하고, 유엔기후변화협약
(UNFCCC) 및 기후 변화에 관한 정부 간 협의체(IPCC) 내에서 각국의 행동을 지원하
며, 기후 영역에서 GEO의 파트너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것이 임무임
지구관측 활용을 발전시켜 GEO 내에서 일관성 있고 교차적인 접근법을 개발하고 실
행하여 국가 재난위험 경감 및 복원력을 지원. 유엔 재난위험경감사무국(UNDRR)의
2015-2030 재난위험경감 센다이 체제와 같은 관련 글로벌 정책 체제에 대한 인식
을 증진하는 한편, UNDRR의 주요 GEO 연락 담당자 역할을 수행
역량개발 워킹그룹
(Capacity
Development WG)
기후 변화 워킹그룹
(The Climate
Change WG)
재난위험 경감
워킹그룹
(The Disaster Risk
Reduction WG)
지구관측 사용에 영향을 미치는 데이터 정책, 데이터 라이선스 및 데이터 거버넌스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GEO 커뮤니티 및 외부 이해관계자들과 협력하여 의사결정을
위한 지구관측 활용 개선
데이터 워킹그룹
(The Data WG)
66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1 지구관측그룹 글로벌 농업 모니터링(GEOGLAM)
3.3 GEO 플래그십(Flagships) 및 이니셔티브(Initiatives)
워킹그룹명
활동 내용
지구관측의 활용을 발전시켜 GEO 내에서 일관되고 교차적인 접근 방식을 개발하고
구현하여 인간 거주지, 도시, 국가의 도시 회복력과 지속 가능한 도시화 노력을 지원.
다자간 협정 조항과 관련된 노력이 포함되며, 현재 유엔 차원에서 체제 역할을 하는
신도시 의제를 강조하고 목표로 삼고 있음
회복력 있는 도시와
인간 거주지 워킹그룹
(Resilient Cities
and Human
Settlement WG)
67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3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위한 지구관측(EO4SDG)
3.3.2 글로벌 숲 관측 이니셔티브(GFOI)
68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4 GEO 블루 플래넷(GEO-BLUE-PLANET)
69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3.3.5 글로벌 도시 관측 및 정보(GUOI)
4. 미국의 대응 USGEO
70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1 USGEO 설립 과정 및 운영 목표
<그림 3> USGEO 운영 목표 및 주요 기능
71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2 USGEO 운영 현황
4.2.1 워킹그룹
4.2.2 테스크팀
72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표 3> USGEO 워킹그룹 운영 현황
워킹그룹명
활동 내용
• 지구관측 데이터 관리 원칙과 방법, 아키텍처, 표준, 정책, 이행 프레임워크 수립
담당
• 국내외 이해관계자와의 조율, 데이터 수집/관리/전달 혁신 촉진, 국제데이터 표준
개발 관련 미국의 리더십 역할 지원
•지구관측 데이터 사용자 요구사항 대비 지구관측 데이터·서비스 평가
•이를 기반으로 지구관측 시스템 계획 제안
•정부 지구관측 시스템 포트폴리오 평가를 위한 절차 수립
데이터 관리
• 글로벌 지구관측 활동에 참여하기 위해 국내 기관들을 조율 및 GEO 참여를 위해
GEO 문서 검토 및 미국 이해와 입장 정리
• 국내 기관 간 또는 미국과 GEO 회원국 간 지구관측 활동의 시너지를 극대화하기
위해 GEO 프로젝트 참여 방향에 대해 협의
• 지구관측 이슈에 대한 미국의 이해를 높이고자 국제기구, 사용자그룹, 민간기업과
의 다양한 협의 회의를 진행
국제협력
평가
• NASA의 위성시스템 엔지니어링과 예산 프로세스의 한 부분으로서 격년 주기로
정부기관들의 위성 관측수요 조사 업무 진행. 2021년에 세 번째 위성 수요 조사 프
로세스가 완료되었고, 2022년에 네 번째 프로세스에 착수
위성 수요
<표 4> USGEO 테스크팀 운영 현황
테스크팀명
활동 내용
• 새로운 관측시스템 설계 시 지구관측 산업계 커뮤니티의 피드백 제공 기회 마련
•지구관측 커뮤니티 조율 장애 요소 완화 계획 수립
•국토 영상정보 관련 정부기관 수요 조사, 대안의 예산 대비 최적화 방안 마련
•국가 계획을 반영한 국토 촬영 아키텍처 연구 수행
참여
• USGEO 정부기관 간 조율 프레임워크 개발
프레임워크
• 향후 2~3년 이내 위험성 높은 지구관측시스템 우선순위 리스트 작업
지구관측 위험
국토영상
• 엑셀러레이터, 산업 클러스터 활동 등을 통한 지구관측 산업 생태계 발전 타당성
연구
• 성공사례 조사 지표 개발 및 혁신적인 지구관측 데이터 확보 등을 위한 열린 경쟁
프로그램 마련
• 상업용 데이터 정부 구매 방법에 대해 상업용 데이터 공급/분석 업체들과 논의
•중소기업과 창업기업 비즈니스 개발을 위한 정책과 이슈 논의
• 문서 발간(환경 및 공간 데이터 획득을 위한 러퍼런스 가이드, 비연방정부 환경 데
이터 구매/확보 리스트, 미국 정부 상업용 지구관측 데이터 구매)
• 지구관측 분야 경제성 분석 자료 조사
• 지구관측 사회경제적 가치 정량화 방법 개발 및 지구관측 이익의 정성적/정량적
예시 수집 및 발간
혁신
상업화
GEO 가치
73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3 USGEO 발간 문서
4.3.1 2013년 국가 지구관측 전략 및 2014년 국가 지구관측 계획 주요 내용
74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4.3.2 2019 국가 지구관측 계획 주요 내용
5. 시사점
75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76
II. 우주경제
지구관측 데이터와 국제협력:
지구관측그룹(GEO)의 통합적
접근 전략
참고 문헌
80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I. 서 론
황진영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팀 책임연구원
과학기술정책학박사
cyhwang@kari.re.kr
81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Ⅱ. 미국의 우주관련 법 및 우주정책체계
82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정책·전략
행정명령·지침
법·규정
우주정책(Space Policy)
- National Space Policy(2006, 2010, 2020)
- US Space Priorities Framework(2021)
- A Strategic Framework for Space Diplomacy(2023) 등
우주전략(Space Strategy)
- National Security Space Strategy(2011)
- National Space Strategy(2018)
- Defense Space Strategy(2020) 등
미국법전(U.S Code)
- Title 51, National And Commercial Space Programs
- Title 52, Foreign Relations and Intercourse
- Title 50, War and National Defense
연방규정(CFR)
- Title 14, chapter III (상업우주발사), chapter V (NASA)
- Title 22, ITAR (국제무기 거래규정)
- Title 15 EAR (수출관리규정) 등
행정명령(Executive Order)
- 국가우주위원회 부활(2017)
- 미국 우주사령부 설치(2018)
- 우주자원활용관련 국제사회 지지모색(2020) 등
우주정책지침(Space Policy Directive, SPD)
- SPD-1 (미국의 유인프로그램 활성화, 2017)
- SPD-2 (우주의 상업적 이용에 대한 효율화, 2018)
- SPD-3 (국가우주교통관리 정책, 2018)
- SPD-4 (미국 우주군 창설, 2019) 등
<그림 1> 미국의 우주법 및 우주 정책 체계(예)
83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III. 트럼프 행정부의 우주정책
1. 총괄
84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1> 미국 트럼부 행정부의 우주정책
테스크팀명
[Executive Order- 13803] Reviving the
National Space Council
일자
발표주체
2017/06/30
트럼프
National Security Strateg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17/12
트럼프
[SPD-1] Reinvigorating America’s Human
Space Exploration Program
2017/12/12
핵심내용
거버넌스
국가안보
유인 우주탐사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Protecting & Preserving Apol o Program
Lunar Landing Sites & Artifacts
2018/03
우주탐사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Fact Sheet] America First National Space
Strategy
2018/03/23
우주전략
트럼프
[SPD-2] Streamlining Regulations on
Commercial Use of Space
2018/05/24
우주상업화,
규제완화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Near-Earth Object Preparedness
Strategy and Action Plan,
2018/06
지구근접물체
NSTC
[SPD-3] National Space Traffic
Management Policy
2018/06/18
거버넌스, 조직,
안보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e
Developing a Sustainable Spectrum
Strategy for America’s Future
2018/12/25 전파주파수 안보
트럼프
[Executive Order- 13894] Establishing
the United States Space Command as a
Unified Combatant Command
2018/12/18
안보, 거버넌스,
조직
트럼프
85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테스크팀명
[SPD-4] Establishment of the United
States Space Force
일자
발표주체
2019/02/19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Space Weather Strategy and
Action Plan
2019/03/26
OSTP, NSTC
Driving Space Commerce Through
Effective Spectrum Policy
2019/05
핵심내용
안보, 조직,
거버넌스
전략
우주상업화,
주파수
OSTP
Launch of Spacecraft Containing Space
Nuclear Systems
2019/08/20
우주원자력
트럼프
[Executive Order 13905] Strengthening
National Resilience Through Responsible
Use of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Services
2020/02/12
항법, 안보
트럼프
[Amending Executive Order 13803] –
Reviving the National Space Council
A New Era for Deep Space Exploration
and Development
2020/02/13
2020/07/30
거버넌스, 조직
유인우주탐사,
상업적 활용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Executive Order- 13914] Encouraging
International Support for the Recovery
and Use of Space Resources
2020/04/06
우주탐사,
우주자원,
국제협력
트럼프
Defense Space Strategy-Summary
2020/06/17
안보
트럼프
[Executive Order- 13961] Promoting
Small Modular Reactors for National
Defense and Space Exploration
2021/01/05
원자력, 안보,
우주탐사
[SPD-5] Cybersecurity Principles for
Space Systems
2020/09/04
안보, 인프라,
통신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Space Policy of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2020/12/09 우주프로그램의 우
선순위, 정책방향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SPD-6] National Strategy for Space
Nuclear Power and Propulsion
2020/12/16
원자력,
우주탐사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SPD-7] United States Space-Based
Positioning, Navigation, and Timing Policy
2021/01/15
항법,
위성프로그램
트럼프,
National Space Council
National Orbital Debris Research
and Deveopment Plan
2021/01
우주쓰레기
NSTC
National Strategy for Planetary Protection 2020/12/30
우주탐사
National Space Council
자료: Space Policy Archive, The Center for Space and Strategy, The Aerospace Corp. 2023에서 일부 수정
2. 트럼프행정부의 우주정책지침
86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87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2> 트럼프 행정부의 우주정책지침
우주정책지침
(SPD)
주요 내용
NASA가 국제 또는 상업적 파트너와 협력하여 화성 유인우주미션을 수행하기 전에
달에 우주비행사를 먼저 착륙시킬 것을 지시
SPD-1 (’17)
유인우주탐사
SPD-2 (’18)
상업우주
상업적 우주규제 수정을 통한 상업적 우주활동 장려: 발사 및 원격 감지 규제 완화,
우주 상업화를 위한 ‘원스톱 쇼핑’ 사무실 조성, 주파수 수출 및 허가 정책 검토
SPD-4 (’19)
우주군 창설
공군 산하에 제 6 번째 군으로서 우주군 창설을 위한 법안 개발을 국방부 장관에
지시
SPD-5 (’20)
우주 사이버보안
급증하는 사이버 위협으로부터 국가 우주 자산을 보호하기 위한 사이버보안 원칙
확립
SPD-6 (‘20)
우주 원자력
우주탐사와 국가안보를 위해 우주 핵추진 및 에너지 시스템의 개발과 사용을 지원하
는 전략으로 핵 안전, 보안, 그리고 비확산에 대한 기준 설정을 포함
SPD-7 (‘21)
위성항법(GPS)
GPS 및 이에 상응하는 PNT 서비스의 관리와 발전에 관한 정책으로 서비스의 안전
성과 신뢰성 강화방법에 대한 지침
SPD-3 (’18)
우주교통관리
우주상황인식(SSA) 및 우주교통관리(STM)를 위한 역할 및 책임 설정: 상무부는 미
국의 민간·상업적 파트너 및 국제파트너에 우주의 안전한 운용을 위한 데이터와 서
비스를 운용할 책임을 지님
1)
2)
1. UN 우주조약(1967) 제
2조) 달과 천체를 포함
한 외기권은 주권의 주장
에 의해 또는 이용과 점유
에 의하여 또는 기타 모든
수단에 의한 국가 전용(專
用, appropriation)의 대
상이 되지 않는다.
2. UN달협정(1979)
제
11조 3 달의 표면 또는
그 지하, 달의 어느 부분
이나 달에 위치한 천연자
원은 어느국가, 정부간 또
는 비정부간 국제기구, 국
가기관, 비정부간 기관 또
는 어떠한 자연인의 재산
이 될수 없으며 달의 표면
이나 그 지하에 요원, 우
주차량, 장비, 시설물, 기
지 및 설비들은 달의 표면
이나 그 지하를 연결하는
구조물과 함께 달의 표면
이나 지하 또는 어느 지역
에 대한 소유권도 창설하
지 않는다고 하고, 이 항
의 규정은 제11조 제5항
에 언급된 ‘국제제도(In-
ternational
Regime)’
를 손상하지 않는다.
88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3> 아르테미스 약정의 주요내용
IV. 바이든 행정부의 우주정책
89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3)
US Space Priorities Framework
(2021년, 국가우주위원회)
•미국의 우주 필요성 : 기술혁신 & 경제적 기회, 미국의
리더십과 국력의 원천
•미국의 우선순위 : 위미국의 우주우위, 기업경쟁력
유지, 우주안보, 우주의 장기지속성
견고하고 책임감 있는 미국 우주 기업 유지
1. 우주 탐사와 우주 과학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
2. 기후 변화에 대한 조치를 지원하는 우주 기반의 지구
관측 능력의 개발과 사용
3. 경쟁력이고 급성장하는 미국 상업 우주 분야를
가능하게 하는 정책과 규제 환경을 조성
4. 우주와 관련된 중요한 인프라를 보호하고 미국의 우주
산업 기반의 안보를 강화
5. 우주와 반-우주 위협의 범위와 규모가 커지는 것으로
부터 국가 안보 이익을 방어
6. 다음 세대에 투자
현재와 미래 세대를 위해 우주를 보존
1. 우주 활동의 글로벌 거버넌스를 강화하는 데 앞장
2. 우주 상황 인식(SSA) 공유와 우주 교통 관리(STM)
조정력을 강화
3. 우주의 지속 가능성과 행성 보호를 우선시
A Strategic Framework for Space
(2023년, 국무부)
•국무부 임무 : 우주분야 리더십을 유지하고, 우주탐사
와 평화적 이용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의 안보를 진전
- 우주활동 질서 강화, 미국의 리더십 강화, 우주탐사
지원, 우주활용 확산
- 민간 및 상업적 우주응용 분야에서 국제 협력 및
파트너십 강화
- 양자/다자간 노력을 통해 미국과 동맹국의 안보증진
- 우주산업, 우주과학 및 탐사 발전 : 아르테미스 협약은
미국의 민간 우주외교의 핵심
- 수출통제 유지 및 개선 : 외교정책과 국가 안보 이익을
고려 등
- 우주상황인식 및 국제적 대비
*3개 전략 프레임워크와 54개 조치
3개 전략 프레임워크
1. 우주 외교 : 미래세대의 이익을 위한 우주정책 발전
- 더 광범위한 외교 목표를 위해 미국의 우주활동 활용
2. 외교를 위한 우주
3. 우주외교를 위한 국무부의 인력 역량강화
<그림 2> 바이든 행정부의 포괄적 우주정책
3. 미국은 파괴적 직접 상승
대위성(ASAT) 요격 미
사일 시험을 하지 않겠다
고 선언
90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DoD Directive 3100.10 Space Policy
(2022.08, U.S. DoD)
•근거: 국가 우주 정책, 미국 우주 우선순위 프레임워크,
국가 방위 전략, 국방 우주 전략 및 미국법률(USC 10,
50, 51)
•국방부(DoD) 우주 관련 활동에 대한 정책 수립 및
역할분담
국방부의 역할
1. 우주를 국가 군사력의 우선순위 영역으로 인식, 다영역의
합동 및 군사작전 지원
2. 우주의 안전, 보안, 안정, 지속 가능성, 접근성 강화
3. 우주 영역에서의 접근과 자유로운 작전을 유지
4. 미국의 국가 안보 목적, 미국 경제, 그리고 미국의 동맹국들을
위한 우주의 사용을 보호하고 방어
5. 우주에서, 우주를 통해, 그리고 우주로의 작전을 수행,
갈등 억제 능력을 제공 및 실패시 대응
6. 우주 환경의 장기적인 지속 가능성을 촉진하기 위한
행동 규범을 수립, 시연, 유지하기 위해 국내외 협력
7. 미국 국방부와 정보 커뮤니티의 파트너십 강화
8. 우주 동맹을 강화하고 새로운 파트너십 구축
9. 국내 민간 및 상업 우주산업 활용 촉진
10~20 등
U.S. Space Force Vision for Digital
Service(2021. 05, U.S. Space Force)
•비전: Interconnected, Innovative, Digitally
Dominant Force
•집중분야: ① Digital Engineering, ② Digital Work Force,
③ Digital Headquarters, and ④ Digital Operations
*세계 최초의 완전한 디지털 서비스 군대를 추구
Combined Space Operations Vision
2031(2022. 02, U.S. Space Command)
•비전: 국가안보 우주작전에서 주도적인 파트너로서
책임있는 행동을 하며 적용 가능한 국제법에 따라
적대적인 우주 활동에 대비하고 보호하며 방어
•임무: 우주에서의 행동의 자유를 유지, 임무 보장과
회복력을 강화, 충돌 방지를 위해 협력, 조정, 상호
운용성 기회를 생성하고 개선
•지침: ①우주의 자유로운 사용, ②책임있고 지속가능한
우주사용, ③주권을 존중하는 파트너십, ④국제법 준수
•목표: ①충돌방지, ②통일적 노력, ③우주임무보장,
④방위 및 보호
<그림 3> 바이든 행정부의 국방우주정책
91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92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표 4> 바이든 행정부의 우주정책
제목
U.S. Space Force Vision for a Digital
Service
일자
발표주체
2021/05/06
U.S. Space Force
[EO 14056] National Space Council
2021/12/01
조 바이든
[Policy Directive] United States Space
Priorities Framework
2021/12/01
핵심내용
디지털 안보,
인력양성
거버넌스, 조직
미국의 우주프로
그램 우선순위
National Space Council
Combined Space Operations Vision 2031
2022/02
우주 및 국방안보 U.S. Space Command
In-Space Servicing, Assembly, And
Manufacturing National Strategy
2022/04/04
우주산업, 우주
에서의 제조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Policy Directive] “Memorandum for
Component Leaders” DHS Space Policy
2022/04/14
사이버, 안보,
인프라
Department of Homeland
Security (DHS)
[Fact Sheet] U.S. Commitment on
Destructive Direct-Ascent ASAT Missile Test
2022/04/18
안보,
우주요격무기
The White House
National Orbital Debris Implementation
Policy
2022/07/28
우주폐기물
National Science &
Technology Council,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DoD Directive 3100.10.] Space Policy
2022/08/30
안보, 정보, 조직,
국방우주예산
우선순위
미 국방부
National Low Earth Orbit Research and
Development Strategy
2023/03/31 저궤도, 과학기술,
R&D, STEM교육
대통령실 과학기술정책실
(OSTP)
A Strategic Framework for Space
Diplomacy
2023/05/30
우주외교, 국제
협력, 거버넌스
미 국무부
자료: Space Policy Archive, The Center for Space and Strategy, The Aerospace Corp. 2023에서 일부 수정
93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V. 시사점
94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95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참고 문헌
96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97
III. 이슈분석 · 제언
미국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
부의 우주정책과 시사점
98
우주개발과 인문학
임창호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정책팀 책임연구원
경영학 박사
changho@kari.re.kr
서언(
)
99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1. 하재근, “마션 신드롬, 한국인이
SF에 열광하는 이유”,
데일리안,2015.10.17
우주탐사에 속 인문학 이야기
가. 중국
<그림 1> 예의 모습
자료: 위키피디아
100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2> 항아의 모습
자료: 위키피디아
<그림 3> 굴원의 모습
자료: 위키피디아
2. 문소영, “[문소영의 문화 트렌
드] 달 탐사와 절묘하게 어울리
는 ‘항아분월’ 신화”, 중앙선데이,
2013.12.22.
101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모습
명칭
첫 임무
신화, 설화
임무
선저우(神舟)
창어(嫦娥)
텐궁(天宮)
위투(玉兎)
췌차오(鵲橋)
텐원(天問)
주릉(祝融)
신의 배
달의 여신
하늘궁전
달 토끼
우랑직녀
하늘에 묻다
불의 신
유인우주선
달 착륙선
유인우주정거장
달 탐사로버
통신중계위성
화성탐사선
화성탐사로버
1999년
2007년
2011년
2013년
2018년
2021년
2021년
2003년 첫 유인우주비행
2019년 창어4호 달 뒷면착륙
2011년 선저우8호와 도킹성공
2019년 창어4호 탑재, 탐사활동
창어4호 달 뒷면 통신중계
미, 러에 이어3번째 화성착륙
텐원에 실려발사 후 사진전송 성공
특이사항
<표 1> 중국 우주탐사선 이름과 설화
자료: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블로그
3. 중국 전국시대 초나라 시인이
자 정치가
4. 조선시대 윤선도가 1651년(효
종2년)에 보길도를 배경으로 지
은 연시조
나. 미국
<그림 4> 아폴로11호버즈올드린 실험장면
자료: NASA
102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103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다. 유럽
<그림 5> 아르테미스 계획
자료: NASA
104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6> 바쿠스와 아리아드네
자료: 위키백과
라. 인도, 일본
105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7> 찬드리안3호
자료: ISRO
마. 우리나라 우주개발 프로그램 명칭
5. United Nations Office for Outer
Space Affairs, UN COPUOS회원
국들은 우주물체 등록협약에 따
라 우주물체를 UN에 등록하도록
되어 있음.
106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결언(
)
107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그림 8> 아르테미스 2호 우주인들
자료: NASA
108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참고 문헌
109
III. 이슈분석 · 제언
우주개발과 인문학
우주정책연구 8권
한국항공대학교 교수
한국항공우주연구원
국방대학교 교수
방위사업청 전문관
김지희
장태진
박상중
임상민
편 집 위 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