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0213_조간_(보도)_제20회_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_개최.hwp
|
보 도 자 료 |
http://www.msip.go.kr |
2015. 2. 13.(금) 조간(온라인 2. 12. 17:00)부터 보도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
||
문의: 우주정책과 김대기 과장(010-8615-9707), 박지현 사무관(02-2110-2436) 김정훈 사무관(02-2110-2437) 우주기술과 김현수 과장(02-2110-2440), 이종은 사무관(02-2110-2443) 전명수 사무관(02-2110-2442) |
10개 부처 합동으로 2015년도 우주개발 추진계획 확정 - 전년 대비 20.9% 증가한 총 6,187억원의 예산 투입처 결정 - |
□ 정부는 12일(목) 정부과천청사에서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 이하 미래부) 이석준 제1차관 주재로 제20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어 -『2015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등 4개 안건**을 심의‧확정하였다.
* 「우주개발 진흥법」 제6조에 따라 설치된 대통령 직속 ‘국가우주위원회’에서 위임한 사무의 처리 및 연도별 우주개발 시행계획 등을 심의(위원장 : 미래부 제1차관, 위원 : 관계부처 국장급)
** 2015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 2015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 2015년도 우주기술 산업화전략 시행계획, 2015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 등 4건
□ 이날 확정한 『2015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은 지난 ’13.11월 제6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확정한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14-’40)』과 박근혜 정부의 국정과제 ‘우주기술 자립으로 우주강국 실현’을 위한 금년도의 구체적 실행계획(Action Plan)으로서,
ㅇ 미래부‧국토해양부‧해양수산부 등 10개 부처가 참여하는 범부처 협업체계를 통해 그 역량을 결집하여 한국형발사체 자력 개발, 인공위성‧탑재체 개발, 위성정보 활용 등 우주개발 전 분야의 ’15년도 추진계획을 수립‧확정했다는 점에서 그 의의가 있다.
ㅇ 『2015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①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사업기간 : ’10.3-’21.3 / 총 사업비 : 1조 9,572억원(’14년까지 기 투자액 4,969억원))*은 1단계 사업(’11.8-’15.7) 평가 후 2단계 사업(’15.8-’18.3)에 착수하며, 발사체 액체엔진 개발의 핵심 시험설비인 ‘3단 엔진 연소시험설비’ 등 4종**의 시험설비를 추가 구축하여 1단계 사업의 목표인 추진기관 시험설비 총 10종을 구축 완료할 계획이다.
* 나로호(’13.1월 발사 성공) 개발의 기술과 경험을 바탕으로 1.5톤급 실용위성을 지구 저궤도(600-800km)에 투입할 수 있는 발사체 개발 및 관련 기술 확보
** 3단 엔진 연소시험설비, 엔진 지상연소 및 고공연소 시험설비, 추진기관시스템 시험설비
- 또한 7톤급 엔진개발을 위해 총 조립을 통한 종합연소시험을 상반기 중에 수행하고, 75톤급 엔진은 하반기까지 구성품 개발 및 성능시험을 통해 초기모델 총 조립 및 종합연소시험을 추진한다.
② 인공위성은, 전략적 국가위성 개발로 국가안보 등 공공수요 대응 및 우주기술 자립화 기반 마련을 위해 올해 3월 다목적실용위성 3A호(사업기간 : ’06.12-’15.6/총 사업비 : 2,356억원/미래부 등) 발사를 시작으로,
- 다목적실용위성 6호(’12.12-’19.11/3,385억원/미래부‧산업부 등), 정지궤도복합위성 2기(’11.7-’19.9/7,200억원/미래부‧환경부‧해수부‧기상청), 차세대중형위성(’15.3-’20.10/2,240억원/미래부‧국토부), 차세대 소형위성(’12.6-’17.5/350억원/미래부) 등 5기를 지속 개발할 계획이다.
- 특히, 차세대중형위성은 수출 전략형 모델로서 국가 우주기술의 본격적 민간 이전을 위해 올해 신규로 착수한다.
<참고 : 전략적 국가 위성 개발>
위성구분 |
개발 완료 (12기) |
개발 중 (6기) |
형상도 |
||
운영종료(7기) |
운영중(5기) |
||||
저 궤 도 관측위성 (고도500 ~700km) |
소 형 위 성 |
우리별 1∙2∙3호 과기위성1∙2호, 나로위성 |
과학기술위성 3호 |
차세대소형위성1호 (’17. 발사) |
|
중형위성 |
- |
- |
차세대중형위성1호 (’19. 발사) |
|
|
다목적 위 성 |
다목적실용위성 1호 |
다목적실용위성 2∙3∙5호 |
3A호(’15.上 발사) 6호(’19. 발사) |
|
|
정지궤도위성 (고도 36,000km) |
- |
천리안 |
정지궤도복합위성 2A호∙2B호 (’18,’19. 발사) |
|
□ 이날 회의에서는 또, 지난 ’14.5월 제7회 ‘국가우주위원회’에서 확정한 『우주위험대비 기본계획(’14-’23)』의 2015년도 세부 계획인 『2015년도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을 심의‧의결하였다.
ㅇ 금년 1월 과학기술위성 3호와 우주파편 간 충돌 위험 등 우주위험의 발생 가능성이 증가하고, 따라서 국가 차원의 우주위험 대비체계 구축 필요성이 증대되고 있는 시점에서,
ㅇ 미래부와 재난대응 부처를 포함한 범 부처 차원의 종합 대응체계인 ‘우주위험 대책본부(본부장 : 미래부 제1차관, 부원 : 관계부처 국장급, 유관기관의 장)’ 및 ‘우주위험 대책반(반장 : 미래부 우주원자력정책관, 반원 : 관계부처 과장급, 유관기관 전문가)’을 2월 중에 구성‧운영하고,
ㅇ 민‧관‧군 합동 비상상황실 운영을 통한 대책본부 지원 및 상시적 우주위험 감시 등을 수행하기 위한 ‘우주환경감시기관’으로 한국천문연구원을 지난 1월 지정한 바 있으며, 우주위험 대응 표준/실무 매뉴얼을 개발하여 국가 차원에서 우주위험에 대해 체계적으로 관리할 계획이다.
ㅇ 아울러, 우주위험을 효과적으로 감시하고 이에 대응하는 시스템 개발을 위한 연구도 착수할 예정이다. 소행성 등 자연우주물체 및 1톤급 이상 인공위성의 추락감시 장비, 10cm급 이상의 인공우주물체와 우리 위성의 충돌가능성에 대한 감시․대응을 위한 영상‧감시레이더 개발계획을 수립하고, 현재 예비타당성 평가를 진행 중이며 16년 예산 확보를 위해 노력할 계획이다.
□ 이 외에도 『2015년도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을 확정하여, 우주기술 벤처․창업 활성화 및 인력․기술 지원을 통한 우주산업체 경쟁력을 지속적으로 제고한다.
ㅇ 우주기술 기반 벤처창업 지원 및 기업역량 강화사업 신규 착수를 통한 우주기술 성과확산을 본격 추진하고, 산업체 대상 현장맞춤형 교육을 신규 지원할 계획이다.
ㅇ 또한, ‘14년도 설립한 우주기술진흥협회를 중심으로 산업체 간담회, 지원시책 마련 등 우주 산업체 수요에 기반한 지원 체계를 구축해 나가고, 위성정보를 활용한 사업화 기술개발 지원 등 인공위성 개발 성과의 산업적 활용을 강화하며,
ㅇ 우주기술-ICT 융․복합 및 우주기술 스핀오프 사업 확대 추진을 통해 우주기술 기반 신산업 창출 및 창조경제 구현에 기여하고자 한다.
□ 마지막으로, 국가 위성정보 활용체계 고도화를 통한 위성정보 기반 미래성장동력 확보 및 신시장 창출을 위한 『2015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수립을 통해,
ㅇ 위성정보 활용 사업 기획과 개방형 위성정보 통합지원시스템의 효율적 운영 등을 담당할 전담기구(가칭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를 설립하고, 국가 보유 위성정보의 통합 관리와 민간 활용 및 신규 서비스 개발 지원 등을 위해 가칭 ‘개방형 위성정보 통합지원시스템’ 구축 1단계 사업도 추진한다.
ㅇ 또한, 위성개발 성과를 국민 삶의 질 제고로 연계하기 위해 재해·재난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형 위성정보기반 실증사업(GOLDEN Solution*)을 신규 추진하고, 해외로 수출된 위성의 영상을 수신·처리 후 제공하여 상호 활용 협력방안을 모색하고, 위성정보 관련 기업 역량 강화를 지원한다.
* ‘GIS, Ocean, Land, Disaster, Environment & National Security Solution based on Satellite Intelligence’의 약자, 다양한 사회 문제 대응 위성정보 활용 실증 사업
□ 미래부 이석준 제1차관은 “우리나라가 우주개발강국으로 도약할 수 있도록 앞으로도 관계부처 및 위원님들의 적극적인 지원과 관심을 부탁드리며, 특히 범 부처가 참여하는 우주개발, 우주위험 대비, 위성정보 활용 분야의 금년도 시행계획이 성공적으로 추진될 수 있도록 관계부처의 지속적인 협조를 부탁드린다”고 밝혔다.
붙임 : 안건별 주요 내용
안건 1 |
「2015년도 우주개발 시행계획」주요 내용 |
중 장 기 목 표 |
||
◇ 정부 R&D 예산대비 우주예산 비중 지속 확대 ◇ 한국형발사체 개발을 통한 자력발사능력 확보 ◇ 민간참여 확대를 통한 인공위성의 지속적 개발 ◇ 선진국 수준의 우주개발 경쟁력 확보 |
중점 추진내용 |
||
독자 우주개발 추진을 위한 자력발사능력 확보 ○ 한국형발사체 개발 및 엔진개발을 위한 시험설비 구축 ○ 한국형발사체 발사․활용을 위한 우주센터 2단계 구축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 개발 ○ 다목적실용위성, 차세대중형위성, 정지궤도복합위성 2기 개발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다가가는 위성정보」활용시스템 구축 ○ 기상‧해양‧환경‧농업‧산림‧재해재난, 통신‧항법 위성활용 미래 우주활동영역 확보를 위한 우주탐사 전개 ○ 국제협력 기반의 시험용 달 궤도선 개발 추진 ○ 우주물체 충돌 및 감시‧추락 대응 우주위험대비 시스템 구축 지속 가능 우주개발을 위한 우주산업 역량 강화 ○ 벤처창업 지원, 우주기술 융복합‧스핀오프 지원 우주개발 활성화 및 선진화를 위한 기반확충 ○ 우주핵심기술개발, 우주기술경연대회 등 전문인력 양성 ○ ODA 사업추진, 국제기구 참여확대 등 국제협력 활성화 |
1 |
한국형발사체 자력 발사 능력 확보(2,793.6억원) |
○ (한국형발사체 개발) 발사체․액체엔진 개발, 시험설비 구축을 위해 투자 확대 [2,350억원('14) ➜ 2,555억원(‘15), 미래부]
- 액체엔진 및 발사체 서브시스템 개발 상세설계(CDR) 착수, 7톤/75톤급 액체엔진의 구성품 개발 및 엔진시스템에 대한 연소시험 본격 수행, 추진기관 시험설비 구축완료 등
* 사업기간 / 총사업비 : 2010.3~2021.3 / 1조 9,572억원(‘19, ’20 2회 발사 예정)
○ (나로우주센터 2단계 사업) 나로우주센터 시설․장비 추가 구축 및 발사운용기술 개발 [222.8억원('14) ➜ 238.6억원(‘15), 미래부]
- 한국형발사체 발사장비 추가 구축, 레인지시스템 성능개선 수행, 2단계 건설공사 1차 완료, 2차 지속
* 사업기간 / 총사업비 : 2009.1~2019.12/ 2,127억원
2 |
국가 위성수요를 고려한 인공위성 독자 개발(2,342.7억원) |
[다목적실용위성 개발]
○ (다목적실용위성 3A호) 고해상도 광학․적외선 관측 위성 발사 및 지상관제 초기운용 및 영상 검․보정 수행 [미래부]
○ (다목적실용위성 6호) 한반도의 전천후 지상‧해양관측 임무 수행하는 서브미터급 영상레이더(SAR) 저궤도 실용위성 개발 및 투자 확대 [389억원('14) ➜ 525억원('15), 미래부․산업부]
* 사업기간/총사업비 : 2012.12~2019.11/ 3,385억원('19년 발사)
[중․소형위성개발]
○ (차세대중형위성/신규) 다양한 공공분야 관측수요 적기대응 및 관측주기 단축을 위한 500kg급 중형위성 표준플랫폼 및 탑재체 국내 독자 개발 추진 [60억원('15), 미래부․국토부]
* 사업기간/총사업비 : 2015.3~2020.10/ 2,240억원(1단계, '19년 발사)
○ (차세대소형위성) 우주핵심기술 검증 및 우주과학 임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할 100kg급 소형위성 독자 개발 [79.8억원('14) ➜ 96.8억원('15), 미래부]
* 사업기간/총사업비 : 2012.6~2017.5/ 350억원('17년 발사)
[중궤도 및 정지궤도위성개발]
○ (정지궤도복합위성) 한반도 주변 기상, 해양․환경 상시관측을 위한 중형급 정지궤도복합위성 2기 국내 주도개발('18년,‘19년 발사) 및 투자 확대 [1,018.3억원('14) ➜ 1,660.8억원('15), 미래부·해수부·환경부·기상청]
* 사업기간/총사업비 : 2011.7~2019.9/ 7,200억원, 다부처 공동('18년,'19년 발사)
3 |
국민 삶의 질 향상을 위한 위성정보 활용시스템 구축 (671.5억원) |
[기상․기후 분야]
○ 기상임무 안정적 수행 및 기후변화 대비 기상위성 운영, 활용 기술개발 및 시스템 구축 [111.6억원('14) ➜ 105.7억원('15), 기상청]
○ 원격관측기술 활용을 통한 기후변화 감시 능력 강화, 정보 산출 제공 및 지구환경감시 기술개발 [10.3억원(‘14) ➜ 12.0억원('15), 기상청]
[해양․환경 분야]
○ 국토 이용·관리, 공간정보 제공 및 남한 전지역의 토지피복도 DB구축 및 환경 위성정보 활용기반 구축 [39.8억원(‘14) ➜ 25.1억원('15), 환경부]
○ 위성정보 활용 극대화를 위한 해양위성 영상자료 정확도 향상 및 해양영토 광역감시망 구축 기반연구 [23.8억원(‘14) ➜ 30.6억원('15), 해수부]
[농업․자원 분야]
○ 위성 영상을 활용한 전국 농경지 전자 지도화를 위한 ‘스마트 팜(FARM) 맵’ 구축 [24억원(‘14) ➜ 22.8억원('15), 농식품부]
○ 광학 레이더 자료를 이용한 농업 작황 및 토양수분 상태 관측 등 농업생산 모니터링 기술 및 관측망 구축 [8.4억원(‘14) ➜ 11.1억원('15), 농진청·미래부]
[국토․재난관리 분야]
○ 정지궤도위성 기반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SBAS) 구축 및 실시간 1m 이내 정밀 위치정보 제공 시스템 구축 [60억원(‘14) ➜ 81.3억원('15), 국토부·해수부]
[국가 위성정보 활용․지원시스템 및 인프라 구축]
○ (위성정보활용사업) 국토위성센터 설립 및 공공수요 대응을 위한 위성정보 고도화 기술개발 [4.8억원(‘14) ➜ 27.9억원('15), 국토부·항우연]
○ (위성임무관제․처리) 위성의 안정적 관제운영, 천리안 후속 기상위성 지상국 개발 [170억원(‘14) ➜ 332억원('15), 항우연·기상청]
4 |
미래 우주활동영역 확보를 위한 우주탐사 전개 (109.4억원) |
[무인 달 탐사를 통한 우주활동영역 확대]
○ (달 탐사 추진) 16개 달탐사 출연(연) 협력협의회 구성․운영을 통한 ‘달 탐사 융합연구’ 수행 [73.3억원('14)➜ 56.2억원(‘15), 출연(연)]
○ (마이크로 중력 활용 및 유인 연구) 우주정거장 활용한 마이크로중력환경 활용연구 및 유인 우주기술 체계화 [9.7억원('14) ➜ 7.3억원(‘15), 미래부]
※ 사업기간(총사업비)/수행주체 : 2013 ~ 2015(27.2억원)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우주위험 대응 우주감시시스템 구축]
○ (우주물체 추락 조기경보시스템 구축) 자연우주물체 및 인공위성의 지상 추락 예측 시스템 구축 [24.9억원('14) ➜ 28억원('15), 미래부]
※ 사업기간(총사업비)/수행주체 : 2007 ~ 2017(620억원) / 한국천문연구원
○ (우주물체 위성충돌 정밀감시 시스템 구축) 충돌 위험에 대한 감시․분석능력 확보를 위한 우주파편 충돌위험 종합관리 소프트웨어 및 우주파편 캡쳐시스템 개발 [7.2억원('14) ➜ 6.5억원('15), 미래부]
※ 사업기간(총사업비)/수행주체 : 2011 ~ 2019(40억원)/ 미래부, 국과연
5 |
지속 가능 우주개발을 위한 우주산업 역량 강화 (5.9억원) |
○ 우주제품 수출 활성화 [2.7억원('14) ➜ 5.4억원('15), 항우연]
- 수출지원단 구성 등 국가 우주기술 수출지원 체제 마련
○ 우주분야 전문 벤처창업 활성화 [0.2억원('14) ➜ 0.5억원('15), 미래부]
- 예비 창업자(팀) 및 중소기업 대상 창업 지원 프로그램 운영
6 |
우주개발 활성화 및 선진화를 위한 기반확충 (263.8억원) |
○ '우주핵심기술개발‘ 사업 확대 [230억원('14) ➜ 238.6억원('15), 미래부]
- 우주기초연구, 우주핵심기술, 우주기술 융‧복합 사업을 통한 우주 핵심기술 개발 및 전문인력 양성
※ 우주기술융복합 지원 확대('14년 21억원→‘15년 32.5억원) 및 우주교육시스템구축 과제 신규 지원('15년 신규 10억원)
○ 초소형위성 경연대회 개최 [10억원('14) ➜ 17억원('15), 미래부]
- 초․중․고 및 대학(원)생 대상 위성개발․발사 참여기회 제공 및 우주개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해 캔위성‧큐브위성 경연대회 개최 및 큐브위성 5기 발사
○ 기타 우주문화 확산 및 국제협력을 통한 우주기술개발 협력 확대
안건 2 |
「우주위험대비 시행계획」주요 내용 |
목표 |
우주위험 대비 관리 체계 구축 및 기술개발 계획 수립 |
분 야 |
추진과제(9) |
중점추진내용 |
우주위험 범부처 종합 대응체계 구축 |
우주위험대책본부 구성 및 운영 |
우주위험 대책본부 및 대책반 구성· 운영 |
우주환경감시기관 지정 및 운영 |
우주환경 감시기관 지정 및 운영 |
|
우주위험 대응 매뉴얼 개발 |
대책반, 우주환경감시기관 우주위험대응 매뉴얼 개발 |
|
운석 신고센터 운영 |
운석 등록제 시행 및 운석 활용방안 마련 |
|
우주위험 감시‧ 대응기술 확보 |
1톤급 추락물체 감시 장비 구축 |
우주물체 전자광학 감시체계 구축 |
유성체감시네트워크, 전천감시용 복합카메라, 어레이 레이더 개발 |
||
10cm급 인공우주물체 충돌 감시 기술 개발 |
영상레이더 개발 및 우주파편 종합관리 소프트웨어 운영 |
|
우주 위험 정보 통합 관리 |
우주감시 장비 운영, 통합 DB 및 위험도 분석 ‧평가기술 개발 |
|
우주위험 대비기반 확충 |
국제협력 강화 |
우주위험 감시장비 해외 구축 협력 |
국제기구 참여 강화 |
||
우주위험대응 핵심기술 개발 |
미래 핵심기술 개발계획 수립 및 미래형 우주환경감시기술 개발 |
1. |
우주위험 대책본부 구성 및 운영 |
○ (우주위험대책본부 구성) 미래부 차관을 본부장으로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국장급 공무원 및 관련 전문가로 구성
○ (우주위험대책반) 미래부 및 관계부처 실무자, 관련 전문가로 구성하여 위험상황 분석 및 전달, 대책본부장 보고 및 지원과 언론대응 등 대책본부 지원 역할 수행
○ 유관부처 간 정보 협력 네트워크 구축 등 우주위험대책본부를 통한 범부처 간 합동대응체계 구축
- 국민안전처와의 재난 및 안전관리 협력 네트워크 구축
- 국방부 미 합동우주작전본부(JSPOC) 우주위험정보 활용을 위한 협력 체계 구축
2. |
우주환경 감시기관 지정 및 운영 |
○ 우주개발진흥법 시행령과 시행규칙을 근거로 우주위험의 예방 및 대비체계의 효율적인 구축운영을 위하여 우주환경감시기관을 지정(한국천문연구원 지정, ‘15. 1월)
- 상시적 우주위험 감시‧분석 및 연구개발, 우주위험대응 매뉴얼 개발, 우주위험 발생 시 위험정보 분석‧보고 및 민관군 합동 비상상황실 운영
3. |
우주위험대응 매뉴얼 개발 |
○ (매뉴얼 개발) 위험관리 체계와 관계기관 임무 및 역할을 규정하는 우주위험대응 표준매뉴얼, 우주위험 대응에 필요한 조치사항과 절차를 규정하는 우주위험대응 실무매뉴얼 수립
○ (안전문화 확산) ‘맞춤형 위험정보 서비스’를 제공하고 우주위험 대국민 홍보·교육을 위해 홍보자료 제작·배포 및 우주위험 관련기관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4. |
운석 관리 및 활용 |
○ 국내 운석 발견(‘14.3., 경남 진주)을 계기로 연구 자산인 운석의 학술적 활용 극대화를 위하여 체계적 운석 관리 시스템 구축
- (운석 등록제) 운석 소유자가 미래부 장관에게 자율적으로 등록, 운석 정보 변경 시에는 변경등록을 통해 이력관리
* 지자(연)에 운석신고센터를 설치, 등록제 업무 시행을 위한 홈페이지 운영
- (운석활용) 연구소․대학․전시기관․지자체 컨소시엄의 운석 구매․대여를 통해 초기 태양계 진화사 연구 등 우주 탄생 환경을 밝히고, 전시 등 운석활용
- (운석신고센터 운영) 운석신고센터(지자연) 개소(3월) 및 운석 보관·관리·감정 기술개발 계획 수립
5. |
1톤급 추락물체 감시장비 구축 |
○ 전 세계 5개 지역에 0.5m급 광시야 광학망원경 감시관측소(OWL- Net : Optical Wide field patroL Net) 구축을 통한 위성 궤적 분석
※ 1호기(몽골) 구축완료(2014), 2호기(모로코) 구축, 3, 4, 5호기 부지협약 및 구축 추진
○ 광역감시 및 정밀 감시 시스템 개발 착수
- 1톤급 이상 위성 추락 징후 조기 파악을 위한 전천감시용 복합 카메라 세부기능 및 요구사항 분석
- 추락 위험이 감지된 1톤급 위성 및 50m급 자연우주물체 원거리 관측, 정밀추적을 위한 어레이레이더 세부기능 및 요구사항 분석
- 우리나라 대기권에 진입하는 1cm이상 유성체 발광현상을 야간에 관측하는 광학 및 레이더 센서 세부기능 및 요구사항 분석
6. |
10cm급 인공우주물체 충돌 감시 기술 개발 |
○ 충돌 가능성이 높은 인공우주물체 관측, 정밀 궤도정보 산출을 위한 영상레이더 세부기능 및 요구사항 분석
○ 우주파편 충돌위험 종합관리 소프트웨어 운영
7. |
우주위험 정보 통합 관리 |
○ 우주위험도 평가 수행을 위한 우주환경 감시․관측 인프라 운영, 취득 정보 통합 관리 및 분석 등 기술개발 착수
- 우주감시․관측 장비 통합관리‧운영시스템, 우주위험 정보를 가공, 분류, 저장, 배포하는 통합 데이터베이스, 우주위험 식별 및 위험도 평가 시스템 세부기능 및 요구사항 분석
8. |
국제협력 강화 |
○ 국제협력을 통해 독자적 우주위험 대비 역량의 한계 보완 (감시체계의 신뢰성 향상)
- UN COPUOS 소위원회 참여를 통해 우주위험 공동대응을 위한 정보를 교류하고, 국제우주잔해물조정위원회 참석 등 우주잔해물 감시․경감 방안 등 국제규범 형성 참여
- 카자흐스탄, 나미비아, 아르헨티나, 미국 등 감시관측소 구축 후보지와의 부지협약 체결 추진 등 우주위험감시 인프라 구축 협력
- 독일 우주감시기관, 우주운영센터, 유럽우주청(ESA) 등과 우주물체감시 관측자료 공동활용 방안 수립 및 국가우주자산충돌 감시 영상레이더 운영 방안 협력
9. |
우주위험대응 핵심기술 개발 |
○ 광학망원경 및 레이더의 핵심 부품 국산화를 위해 기반기술 및 국산화가 가능한 핵심기술을 도출하고 산·학·연 공동 개발방안을 수립하는 등 우주위험대응 핵심기술 개발 로드맵 수립
○ 우주물체 제거시스템 지상시험모델 개발 등 미래형 우주환경감시기술 개발
안건 3 |
「2015년도 우주기술 산업화 전략 시행계획」주요 내용 |
중점 추진방향 |
○ 우주개발사업 산업체 참여확대 및 수출 활성화로 우주시장 성장 기반 조성 ○ 우주기술 벤처․창업 활성화 및 인력․기술 지원을 통한 우주산업체 경쟁력 제고 ○ 위성정보 활용 및 우주기술 융복합 등 우주기술 신산업 창출 |
|
분 야 |
추진과제(6) |
중점추진과제(16) |
우주시장 성장 기반조성 |
우주제품 수출 활성화 |
국가 우주기술 수출지원체제 구축 |
우주제품 수출을 위한 해외 마케팅 및 수출컨설팅 |
||
우주개발사업 산업체 역할 확대 |
산업체 주도 차세대중형위성개발사업 착수 |
|
인공위성 및 한국형발사체 개발사업 산업체 참여 |
||
우주산업체 경쟁력 제고 |
우주분야 전문 벤처창업 활성화 |
우주 벤처창업 지원사업(STAR Exploration) 추진 |
출연연 창업기능 강화 |
||
우주분야 중소기업 기술사업화 지원 |
||
우주산업체 지원 기반 마련 |
우주분야 전문 협회 활성화 |
|
우주산업체 인력교육 지원 |
||
창업 및 산업체 지원시스템 구축 |
||
우주기술 감리제도 도입 기획추진 |
||
우주기술 산업적 활용 |
위성정보 기반 서비스 강화 |
국가위성정보 활용지원센터 설립 |
위성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
||
위성정보 실용화 기술개발 지원 |
||
우주기술 융․복합 추진 |
우주기술 스핀오프 추진 |
|
우주기술-ICT 융복합 기획추진 |
1. |
우주제품 수출 활성화 |
□ 개 요
○ 제한적인 국내 개발물량을 극복하고 산업체 안정적 생산량 확보를 위해 우주제품의 수출 활성화 지원
□ 주요 내용
○ 항우연․산업체가 공동 참여하는 수출지원단 중심의 국가 우주기술 수출 추진체제 마련(상반기)
○ 국가별 수요에 맞는 전략적 수출 지원 방안 마련하고 수출 유망국 현지로드쇼(5월), 중소기업 수출 컨설팅 및 ODA 사업 기획 추진(7월)
< 예시 : 국가별 수출추진 전략(안) >
유형 |
국가 |
진출전략 |
우주제품 및 서비스 |
전략 국가군 |
베트남, 태국 등 아시아 국가 칠레, 페루 등 남미 국가 |
인력양성, 기술전수, ODA사업 * 적극적 정부 마케팅 활동 전개 |
위성활용 서비스 중심의 체계종합 수출 |
신흥시장 국가군 |
라오스, 방글라데시 및 우간다, 콩고 등 아프리카 국가 |
수요자극을 위한 인력양성 지원, 기술전수 |
- |
선진시장 국가군 |
미국, 프랑스, 독일 등 |
공동개발, 기술수입, 부품조달 및 납품 |
위성체 제작, 관제소, 시험시설 부품 및 설비 |
2. |
우주개발사업 산업체 역할 확대 |
□ 개 요
○ 「우주개발 중장기 계획」에 근거한 우주개발사업의 차질없는 이행 및 산업체 참여 확대로 민간 주도 우주개발체계 구축
□ 주요 내용
○ 신규 추진 예정인 차세대중형위성 1호 개발사업은 산-연 공동설계팀 구성을 통해 체계종합기능 산업체 이관 추진(5월~)
○ 현재 추진 중인 다목적실용위성 6호, 정지궤도복합위성 및 한국형발사체사업의 산업체 집행예산 확대(’14년 2,040억원 → ’15년 2,790억원)
3. |
우주분야 전문 벤처창업 활성화 |
□ 개 요
○ 우주기술 사업화 지원 및 출연연 창업지원 기능 강화 등을 통해 우주개발 성과를 활용한 벤처창업 촉진
□ 주요 내용
○ 국가 첨단우주기술 기반 신산업모델 발굴 지원(STAR-Exploration*) 사업 추진을 통한 우주기술 전문 벤처․창업 지원 신규 착수(4월)
* Space Technology Application for Renovative Space Business Exploration
- 국가 우주기술 중 사업화 유망기술 DB화 및 대국민 공개, 선정과제에 대한 창업 컨설팅 및 항우연의 인적/물적 인프라 지원
※ ①우주기술 오픈 → ②창업 아이디어 공모 → ③창업 프로그램 지원 → ④정책연계지원 강화로 성공적 창업 견인
○ 경진대회(큐브위성 등) 참가자 및 우주분야 아이디어 공모전 수상자 중심의 창업커뮤니티 구축·운영통한 대학(원)생 창업 유도
4. |
우주산업체 지원을 위한 인프라 조성 |
□ 개 요
○ 중소․영세업체 위주인 우주산업체의 역량 강화를 위해 시설, 조직, 인력교육 등의 인프라 조성․지원 추진
□ 주요 내용
○ 우주 산업체 대상 우주기술 교육 프로그램 및 산업체 수요 기반 현장 맞춤형 교육 프로그램 신설 지원(3월~)
○ 협회 중심으로 산업체 수요기반 정책연구, 산업체 지원시책 마련, 우주산업 실태조사 등 정부 위탁사업 수행
○ 우주분야 사업화 유망기술 및 기술상담, 항우연 보유 지상 시험장비에 대한 산업체 이용 촉진을 위한 웹기반 이용시스템 구축(2월)
5. |
위성정보 기반 서비스 강화 |
□ 개 요
○ 위성정보 통합플랫폼 구축 및 위성정보를 활용한 사업화 기술개발 지원 등 인공위성 개발 성과의 산업적 활용 강화
□ 주요 내용
○ 국가개발 위성의 관제·운영 및 위성정보 보급·활용 촉진위한 ‘위성정보보급 및 활용규정’ 개정(2월), ‘국가위성정보 활용지원센터’ 설립(10월)
○ 국가위성정보를 사용자에게 적극 개방하여 지원하는 정보 유통․활용 창구인 위성정보 통합플랫폼 구축(상반기)
○ 위성정보기반의 재해재난 등 사회문제 대응 공공서비스 실증 사업인 ‘GOLDEN Solution*’ 신규 추진(4월)
* Satellite Intelligence Based GIS, Ocean, Land, Disaster, Environment, National Security Solution
6. |
우주기술 융․복합 추진 |
□ 개 요
○ 우주기술과 ICT 융․복합 R&D, 우주기술 spin-off 추진을 통한 신기술 개발 및 상용화로 신규 부가가치 창출
□ 주요 내용
○ 출연연․대학 및 산업체 보유 우주기술의 타 산업분야 spin-off 지원과제 확대 시행(’14년 6개 과제 → ’15년 10개 과제)
○ 국내 통신방송위성 독자 개발 및 위성서비스 시장 진입을 통한 우주산업 육성 등 신산업 창출 도모위한 기획연구 추진
안건 4 |
「2015년도 위성정보 활용 시행계획」주요 내용 |
목표 |
위성정보 보급·활용 통합지원체계 구축을 통한 국가 위성정보 활용 활성화 추진 |
|
|
||
중점 추진 방향 |
○ (가칭)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설립을 통한 공공 및 민간수요 지원 체계 구축 ○ (가칭)개방형 국가 위성정보 통합지원시스템 구축을 통한 국가 위성정보의 활용 기반 조성 ○ 위성정보기반 사회문제 해결 실증기술개발사업 추진을 통한 공공부문 위성정보 활용사업 확대 기반 마련 |
|
분 야 |
추진과제(6) |
중점추진과제(12) |
위성정보 보급·활용체계 고도화 |
위성정보 보급‧활용 체계 기반 구축 |
(가칭) 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설립 |
(가칭) 개방형 위성정보 통합지원시스템 구축 |
||
위성정보활용서비스활성화 촉진 |
공공부문 위성정보 활용사업 확대 |
위성정보 기반 사회문제 해결 실증기술개발(GOLDEN Solution) 사업 추진 |
위성정보 활용모델 개발 및 공급 품질 제고 |
||
부처별 위성정보 활용사업 체계적 추진 |
||
신규 서비스 개발 지원 및 기업 역량 강화 |
위성정보 기반 창업지원(STAR Exploration) 및 기업역량 강화 추진 |
|
융복합 위성정보 신산업 창출 촉진 |
신규 위성기반 융복합형 위성정보 서비스 산업 추진 |
|
위성정보 활용 촉진 기반 확충 |
위성정보 전략적 획득‧생산 |
활용 수요를 반영한 위성 개발․운용 |
전략적 국제공조를 통한 위성정보 획득량 제고 |
||
다중위성 관제․수신 역량 고도화 |
||
위성정보 활용 촉진 기반 마련 |
위성정보 활용 문화 확산 토대 마련 |
|
위성정보 활용 전문인력 양성 및 국제협력 강화 |
1. |
위성정보 보급․활용 체계 기반 구축 |
□ 위성정보 기반 공공서비스 및 민간산업 활성화 등을 위한 위성정보 보급․활용 종합 지원 체계 마련
○ 위성정보의 보급․활용 촉진을 위한 전담기구로 “(가칭)국가위성정보활용지원센터” 설립(‘15.상)
○ 다중위성 시대에 대비, 국가 위성정보 관리·활용 지원을 위한 “(가칭) 개방형 위성정보 통합지원시스템” 구축 1단계 사업 추진(~‘15.12)
2. |
공공부문 위성정보 활용사업 확대 |
□ 위성정보를 활용한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 등 다방면의 공공서비스 활성화로 위성개발 성과를 국민 삶의 질 제고로 연계
○ 재해․재난 등 다양한 사회문제 해결형 위성정보기반 실증사업(GOLDEN Solution*) 신규 착수(‘15.3.)
* ‘GIS, Ocean, Land, Disaster, Environment & National Security Solution based on Satellite Intelligence’의 약자, 다양한 사회 문제 대응 위성정보 활용 실증 사업
○ 위성정보기반 맞춤형 탐지‧변화예측 실증기술(SW)개발을 통해 대국민 안전체계 구축 지원 및 위성정보 활용 극대화
< 全 사회문제 포괄 6대 분야 및 위성정보 활용가능 대표 例 >
|
||||||
활용 분야 |
국가지리정보 구축 |
피해현황 파악 및 경감지원 |
국토변화 모니터링 |
모니터링 및 피해면적 산정 |
비점오염원 추출 및 피복도제작 |
접경지역 특이동향 탐지 |
3. |
신규 서비스 개발 지원 및 기업 역량 강화 |
□ 민간의 창의적 신규 비즈니스 모델 발굴·연계 강화 및 위성정보관련 기업의 역량 강화
○ 국가 첨단우주기술 기반 신산업모델 발굴 지원(STAR-Exploration*) 사업 추진을 통한 우주기술 전문 벤처․창업 지원 신규 착수(‘15.4.)
* Space Technology Application for Renovative Space Business Exploration
- 국가 우주기술 중 사업화 유망기술 DB화 및 대국민 공개, 선정과제에 대한 창업 컨설팅 및 인적/물적 인프라 지원
4. |
융복합 위성정보 신산업 창출 촉진 |
□ 관측·통신 등 다양한 신규위성 기반의 영상·통신·항법 정보 간 융복합을 통한 미래 신규 서비스 개발 전략적 추진
○ 신규 위성 기반 융복합형 위성정보 서비스 산업 촉진 지원을 위한 다목적위성 6호 선박자동인식시스템 탑재 추진
○ 초정밀 GPS 보정시스템 개발을 통해 통신 등 미래 위성항법 산업발전 인프라 구축
5. |
위성정보 전략적 획득‧생산 |
□ 활용 지향적 국가 위성시설 운용․개발을 통한 전략적 위성정보 제공기반 마련
○ 제주추적소 등 발사체 시설에 대한 다중위성 관제 및 수신 활용을 위한 방안 마련
○ 해외 수출위성의 한반도 영상 확보 추진을 통해 위성정보 획득량 증대를 위한 지원방안 마련
6. |
위성정보 활용 촉진 기반 마련 |
□ 위성정보 활용에 대한 다양한 접근‧체감 기회를 제공, 전문기술 교육 및 국제협력 등을 통한 위성정보 활용 촉진 유도
○ 對국민 위성정보 활용 관련 행사 추진 및 다목적실용위성 영상자료 활용 콘텐츠 제작 등 추진
○ 우주분야 후발국 인력 교육 및 자연재해 대응을 위한 국제단체와의 협력 강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