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0225 조간 (보도) 제17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hwp
|
보 도 자 료 |
|
||
http://www.msip.go.kr |
||||
보도일시 |
2016. 2. 25.(목) 조간(온라인 2. 24. 14:00)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
|||
배포일시 |
2016. 2. 24.(화) 9:00 |
담당부서 |
미래부 미래성장전략과 |
|
담당과장 |
정택렬 과장(02-2110-2090) |
담 당 자 |
윤영기 사무관(02-2110-2097) |
산·학·연 뭉쳐, 무인기 신(新)시장 창출 박차! -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 개최를 통한 국민 관심 제고 - |
□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양희)는 2월24일(수) 14시부터 한국항공우주연구원(대전 소재)에서 ‘제17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이하 오픈톡릴레이)’를 개최했다.
ㅇ 오픈톡릴레이는 미래성장동력에 대한 국민의 관심을 제고하고, 성장동력분야간 융합·협력을 촉진하는 차원에서 19대분야중 주요산업분야를 대상으로 지난해부터 개최하고 있다.
ㅇ 이번 행사는 ‘미래사회, 무인기 新시장 태동을 위한 산업 및 서비스 발굴’이라는 주제로 대전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에서 개최했다.
□ 금번 행사는 각 부처의 무인기 정책을 소개하고, 전문가 토론회 등 산·학·연 협력정책포럼 형식으로,
ㅇ 주요 내용은 △미래성장동력분야 무인기 정책 소개(미래부, 산업부, 국토부), △무인기와 미래성장동력 연계 융합발전방안(항공우주연구원), △무인기와 ICT, 에너지·소재, 지능화(AI) 연계방안, △종합토론 및 무인기 융합클러스터 분과대표 회의 등으로 구성됐다.[참고 1]
□ 아울러, 지난 행사와는 달리 금년에는 무인기 유관 전문기업 및 부품소재관련 기업 간 교류와 보유기술 전시가 되었고,
ㅇ 그동안 나토(NATO) 구호용 차량의 보조전원 연료전지시스템과 미국 보잉사(社)의 전천후 고고도 무인항공기용 수소발생기 등에 제품을 수출하고 있는 휴그린 파워(Hugreen POWER),
ㅇ 무인이동체용 3D 라이다(Lidar)를 개발해 독일 등 세계적인 고성능 드론 관련사로부터 개발품의 경쟁력을 인정받고 있는 정상라이다(JS LIDAR) 등 총 14개 업체가 참가했다.
ㅇ 또한, ㈜마린로보틱스(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 큐브(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및 ㈜유시스(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등 창조경제혁신센터와 연계되어 있는 무인기관련기업도 참여하여 관련보유기술을 소개했다.
□ 미래창조과학부 고경모 창조경제조정관은 “이번 오픈톡릴레이는 非무인기 분야 관점에서 무인기 발전 방향을 제안하는 기회를 마련한 점에서 큰 의미가 있고, 이러한 융합적 협력이 무인기 新시장 창출에 큰 활력을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 참고로, 다음달 행사는 스마트카산업분야로 3월 25일(금) 한양대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에서 개최될 예정이며, 향후 지능형로봇, 착용형 스마트기기 등을 주제로 매월 개최될 예정이다.
제17회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 주요내용 |
무인기 정책부처(미래부, 산업부, 국토부) 발전 방향 및 활성화 방안 제시
① (미래부) 차세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을 촉진하고, 삶의 질 증진과 미래 新시장 창출과 『글로벌 무인이동체 산업 강국』실현을 위한 추진전략 및 과제 제시
(3대 전략)
① 전략제품 시장경쟁력 강화, ② 미래선도 기술력 확보, ③ 성장지원 제도·인프라 구축
(9대 과제)
① 무인기 시장 성장동력 확충, ② 자율주행 자동차부품 경쟁력 강화, ③ 무인 농업·해양건설 산업화 촉진, ④ 무인이동체 공통기술개발, ⑤ 차세대 무인이동체 원천기술개발, ⑥ 법·제도 정비 및 확충, ⑦ 주파수 분배 및 기준 마련, ⑧ 범국가적 추진체계 구축
② (산업부) 무인기 정책을 기술개발 중심에서 수요기반 중심으로 전환하기 위한 『무인기산업 수요기반 활성화 방안』제시
- 수요창출을 위한 공공분야의 무인기 활용 수요를 국내 무인기 시장창출 마중물로 활용하고, 이를 위해 ‘16년 지능형 로봇 보급사업 예산 중 일부를 활용해 무인기 시범사업을 추진
- 또한, 기반조성과 관련하여 유·무인기 개발 및 인증 시험을 위한『국가 종합비행성능 시험장』확충을 위해 국토부 등과 공동으로 ‘19년까지 395억원을 투자할 예정
- 더불어, ‘신개념 고효율 비행체 개발’과 ‘수요 맞춤형 운용기술개발’등 R&D 사업을 지원
③ (국토부) 소형 드론에 대한 운영환경 정비 및 고성능·지능형 드론 운영기반 마련을 위한『무인비행장치(드론) 활성화 지원방안』제시
- 기본 전략방향으로 미래 무인 항공시대를 대비하여 안전 사각지대는 보완하고 건전한 시장 발전을 촉진하기 위한 “안전+성장”의 투 트랙 정책 추진
(4대 추진전략)
① 시범사업 본격추진, ② 운영제도 발전, ③ 기술개발 및 인프라 확대, ④ 안전문화 정착 및 저변확대
ㅇ ‘16년에는 군과 이원화된 비행허가 불편 해소를 위한 통합 웹서비스를 구축하고, ’17년부터는『드론 비행성능시험센터(가칭)』구축을 추진
무인기관련 전문가 제언
① (제언: 주진/무인기 추진단장) 무인항공기 시스템 중 19대 미래성장동력분야와의 연계분야와 무인기개발 중장기계획 소개
- 5대 무인기 연계분야(① 국민안전·재난대응, ② 공공인프라 관리, ③ 과학영농, ④ 산업활용, ⑤ 생활편의)에 대한 제시
② (세션 I: 박명환/LG U+ 상무) 5G, IoT, 빅데이터와 무인기 간 융복합 모델 제시
- 드론을 이용한 5G 망에서의 초고화질 영상 서비스를 통한 LTE/5G 기반의 드론 레이싱 등 스마트폰의 기술 확장성 도모
③ (세션 II: 방윤혁/효성 상무) 신소재 및 2차전지 분야 연계를 통해 ‘경량화’, ‘체공시간’ 등 무인기 취약분야 보완
- 세계 최초 개발된 ‘폴리케톤(친환경 고분자 신소재)‘를 활용한 무인기의 내구성·내화학성 증진을 위한 활용가능성을 제시하고, 고 에너지밀도 연료전지기술 활용을 통한 장기체공 임무형 무인기 가능성에 대해 발표
④ (세션 III: 김종환/KAIST 교수) 학습기반 인공지능 무인기의 산업전망 및 지능형 무인기의 인공지능 활용 분야 제시
- ‘자동출돌 방어 회피기술’ 등 무인기 지능화를 위한 11개 과제를 제시하고, 국민의 안전과 직접 관련되는 재난안전관리분야에서의 지능형무인기의 활용 모델을 제안
|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미래창조과학부 윤영기 사무관(☎ 02-2110-2097)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
참고 1 |
제17회 미래성장동력 행사 개요 |
□ (목적) 19대 미래성장동력 분야별 정책 및 기술·산업 동향 공유, 의견 수렴을 통하여 정책 이슈를 발굴하고 정책홍보를 강화하기 위함
□ (주최/주관) 미래부/미래성장동력추진단
□ (일시/장소) ‘16. 2. 24(수) 11:40~17:30/한국항공우주연구원(국제회의실)
□ (주요 행사일정)
시간 |
행사 내용 |
비고 |
||||
식전행사 |
13:30~14:00 (30') |
무인기 투어 및 시연 :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 미래부 출입기자단 |
09:45 미래부 출발 |
|||
1 부 |
14:00~14:05 (5') |
개회사: 미래부 창조경제조정관 |
전체 행사 |
|||
14:10~14:30 (30') |
정책소개: 미래성장동력분야 무인기 정책 소개 (①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 ②산업부 자동차항공과, ③국토부 항공산업과)/ 부처별 10분간 발표 |
|||||
14:30~14:50 (15') |
제언: 19대 미래성장동력에서 바라본 무인이동체발전 방향 (주진/미래성장동력 수직이착륙무인기추진단장, 항공우주연구원(KARI) 본부장) |
|||||
14:50~15:00 |
Coffee Break |
|||||
2부 |
15:00~15:30 (30') |
세션 I (무인기와 ICT) |
5G·IoT‧빅데이터 등 ICT 무인기 개발 현황 및 발전 방향 |
박명환 상무 (LG U+) |
융합소개 |
|
16:00~16:30 (30') |
세션 II (무인기와 에너지‧소재) |
무인기 개발을 위한 에너지‧소재분야 융합 발전 방향 |
방윤혁 상무 (효성) / 조원일 책연 (KIST) |
|||
16:30~17:00 (30') |
세션 III (무인기 지능화) |
지능형 스마트융합기기 적용 무인기 개발현황 및 발전방향 |
김종환 교수 (KAIST) |
|||
17:00~17:30 (30') |
종합토론 및 폐회 |
무인기 융합클러스터 분과대표 회의 |
참고 2 |
세션별 기조발표자 |
세부분야 |
성명 |
사진 |
소속 (직위) |
주요 경력 |
융합주제-I (ICT) |
박명환 |
|
LG U+ (상무) |
LGU+ FC본부 기술개발부문 기술위원('13~현재) LGU+ SD본부 단말개발실 미디어단말개발팀 팀장('10~'12) LG데이콤 기술연구원 IPTV서비스개발팀 팀장('07~'09) 데이콤 종합연구소 연구원('97.4~'06)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과 통신공학 박사(~'97)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과 석사(~'94) 성균관대학교 전자공학과 학사(~'91) |
융합주제-II (소재·에너지) |
방윤혁 |
![]() |
효성 (상무) |
한국첨단복합소재학회 부회장(`14~) 한국탄소학회 탄소섬유 분과장(`14~) ㈜효성기술원 탄소그룹 상무(`11~) ㈜효성 탐소 전주공장 공장장(`13~`15) ㈜효성기술원 연구팀 팀장(`01~`11) 한화석유화학 중앙연구소 책임연구원(`00~`01) 한일합섬 기술연구소 주임연구원(`87~`93) 부산대학교 섬유고분자물리과 박사(~`96) 부산대학교 석사(~`88) 부산대학교 학사(~`86) |
조원일 |
|
KIST (책연) |
과학기술연합대학원 에너지환경융합학과 교수(`13~) KIST 에너지융합연구단 책임연구원(`11~) KIST 이차전지연구센터 센터장(`09~`11) KIST 이차전지연구센터 책임연구원(`97~`09) KIST 연구원/선임연구원(`84~`97) Northwestern University(USA) Post-doc(`93~`94) 고려대학교 금속공학과 박사(~`92) 고려대학교 석사(~`83) 고려대학교 학사(~`81) |
|
융합주제-III (지능화) |
김종환 |
|
KAIST (교수) |
KAIST 국제발전부지추진기획위원회 위원(`08~) 인천-KAIST 로봇대학원 추진위원회 위원장(`09~) KAIST 로봇공학 학제전공 책임교수(`04) KAIST 지능로봇연구센터 소장(`03~) KAIST 마이크로 로봇설계교육센터 소장(`00~) KAIST 전기및전자공확과 교수(`98~)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부교수(`92~`98) KAIST 전기및전자공학과 조교수(`88~`92)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 박사(~`87) 서울대학교 석사(~`83) 서울대학교 학사(~`81) |
참고 3 |
주요 참석자 및 토론자 |
분야 및 주제 |
세부분야 |
성명 |
소속 |
주요 경력 및 연구분야 |
비고 |
|
무인항공기 (무인항공기 융합발전방향) |
정책 (기획) |
김정훈 |
미래부 거대공공연구정책과 (사무관) |
무인산업 기획 |
정부 (발표) |
|
정책 (R&D) |
이상은 |
산업부 자동차항공과 (사무관) |
무인기 R&D |
정부 (발표) |
||
정책 (법규) |
위은환 |
국토부 운항정책과 (사무관) |
무인기 법규 |
정부 (발표) |
||
제언 (무인기) |
주진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항공연구본부장) |
미래성장동력 무인기사업단 단장 |
연 (발표) |
||
세션 I |
융합주제 (지능화) |
박병환 |
LG U+ |
기술개발본부 상무 |
산 (발표) |
|
융합주제 (ICT) |
최기영 |
인하대학교 (교수) |
무인기 통신/제어 (항공우주공학과) |
학 (패널) |
||
기술융합 (5G) |
방승찬 |
ETRI (박사) |
드론이동통신 |
연 (패널) |
||
기술융합 (IoT) |
김종표 |
한국인터넷진흥원 (IoT 혁신센터, 책임) |
IoT 산업 |
연 (패널) |
||
세션 II |
융합주제 (소재) |
방윤혁 |
효성 (상무) |
효성 기술연구소 상무 |
산 (발표) |
|
융합주제 (소재) |
주치홍 |
넥스컴스 (대표이사) |
복합소재 |
산 (패널) |
||
기술융합 (신재생 에너지) |
조원일 |
KIST (에너지융합연구단, 책연) |
2차 전지 |
연 (공동발표) |
||
기술융합 (신재생 에너지) |
김광현 |
코캄 (기술개발본부 제1연구소장, 이사) |
2차 전지 |
산 (패널) |
||
세션 III |
융합주제 (지능화) |
김종환 |
KAIST (교수) |
전자공학과 |
학 (발표) |
|
융합주제 (지능화) |
조영선 |
3Dtosys (대표이사) |
무인기 차세대 산업 |
산 (패널) |
||
융합활용 (지능형 로봇) |
석진영 |
충남대학교 (교수) |
지능형 무인기 (항공우주공학과) |
학 (패널) |
||
융합활용 (재난안전) |
심규철 |
JBT 스마트재난관리연구소 (부사장) |
재난안전 드론 활용 |
산 (패널) |
참고 4 |
행사장 약도 및 내부안내도 |
□ 행사장 약도(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1동 국제회의실)
□ 행사 운영 배치도 (무대중심)
참고 5 |
무인기 및 부품 소재 관련 전시 기업 현황 |
□ (목적) 미래성장동력 오픈톡 릴레이과 연계하여 참여 기관, 업체의 교류 및 홍보 성과를 극대화하기 위한 관련 제품ㆍ서비스 전시
□ (일시/장소) ‘16. 2. 24(수) 14:00~17:30/ 한국항공우주연구원(연구1동 로비)
※ 1 , 2부 행사 진행시간에 따라 상시 전시
□ (전시기업) 무인기 및 부품 소재 관련 기업
분야 |
기관/업체 |
담당 |
전시물 |
무인기 |
카스컴 |
김기덕 (대표이사) |
농업용 방제 무인기 |
무인기 |
네스앤텍 |
이기성 (대표이사) |
민간 / 정찰용 무인기 |
소재 |
넥스컴스 |
황혜정 (부장) |
무인기 복합재 구조물 및 관련 소재 |
소재 |
효성 |
방윤혁 (상무) |
복합소재 |
에너지 |
코캄 |
김광현 (제1연구소장) |
2차 전지 |
에너지 |
휴그린파워 |
강신왕 (대표) |
무인기용 2차전지 |
융합활용 (재난안전) |
JBT |
심규철 (부사장) |
재난안전 솔루션 소개 |
융합활용 (재난안전) |
엑스드론 |
진정회 (대표) |
산림감시 및 산불 진화용 드론 |
S/W |
알티스트 |
손동환 (대표) |
무인기 RealTime OS |
ICT |
ARWorks |
홍성경 (대표) |
LTE 및 내풍성 드론 |
ICT |
정상라이다 |
김기종 (대표) |
무인기 라이다 |
무인기 |
큐브 (전북창조경제혁신센터) |
하태훈 (대표이사) |
산업용 드론 지적도 작성 항공 촬영 |
무인기 |
마린 로보틱스 (전남창조경제혁신센터) |
서경필 (대표이사) |
농업용 드론 소형 연습기 |
무인기 ICT |
유시스 (울산창조경제혁신센터) |
이일우 (대표이사) |
선박, 플랜트 탐사용 비행체(멀티콥터) |
참고 6 |
무인기 융합클러스터 |
□ (개요) 무인기 관련 소관기관별 임무를 중심으로 협력분야를 도출하고 기획하기 위해 해당분야 연구자들로 구성된 협의체
□ (목표) 산업/공공용 무인기관련 융합연구를 위한 연구주제 발굴 및 네트워크 구축
□ (지원분야 및 규모) 직접비 0.94억원/1차년도 (총 사업기간 2년*)
* 과제기간 : 2015년 9월 23일 ~ 2017년 9월 22일 (24개월)
□ (지원내용) 융합클러스터별 워크샵, 세미나 등을 통한 기술정보교류 활동, 융합연구 아이템 발굴 및 신규 융합연구 과제 기획 등
□ (참여조건) 주관기관 이외 2∼3개 이상의 소관 연구기관 소속 연구자가 참여하고, 참여인력의 50% 내외를 타 기관 소속 연구자로 구성
□ (참여기관/인력)
□ (사업내용)
참고 7 |
『2016년도 미래성장동력 오픈톡릴레이』일정 (안) |
발표 주제 및 장소일정 변경가능
구분 |
내용 |
||
연계융합 발표 |
<1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무인항공기 신산업 ②참여분야: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소재, 착용형 기기, 사물인터넷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2.24(수) 14:00~ ④장소: 항공우주연구원(대전) |
<2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스마트카 신산업 ②참여분야: 실감 콘텐츠, 지능형반도체, 빅데이터, 5G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3.25(목) 14:00~ ④장소: 한양대 정몽구 미래자동차연구센터(서울) |
<3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지능형로봇 신산업 ②참여분야: 직류송배전, 지능형 반도체, 빅데이터, 착용형 기기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4.27(수) 14:00~ ④장소: 미정 |
<4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심해저해양플랜트 신산업 ②참여분야: 초임계 CO2, 신재생에너지, 첨단소재가공, 융복함소재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5.25(수) 14:00~ ④장소: 미정 |
<5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착용형 스마트기기 신산업 ②참여분야: 사물인터넷, 빅데이터, 가상훈련, 실감형미디어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6.29(수) 14:00~ ④장소: 미정 |
<6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5G 신산업 ②참여분야: 무인항공기, 스마트자동차, 지능형로봇, 맞춤형 웰리스케어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7.27(수) 14:00~ ④장소: 미정 |
|
<7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실감형콘텐츠 신산업 신산업 ②참여분야: 가상훈련시스템, 재난안전, 빅데이터, 착용형 기기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9.28(수) 14:00~ ④장소: 미정 |
<8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맞춤형 웰니스케어 신산업 ②참여분야: 융복합소재, 첨단소재가공, 사물인터넷, 빅데이터등 3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10.26(수) 14:00~ ④장소: 미정 |
<9회 오픈톡릴레이> ①주제: 지능형반도체 신산업 ②참여분야: 실감 콘텐츠, 첨단소재가공시스템, 재난안전, 스마트바이오생산시스템 등 4개분야 (추진단 희망시, 2~3개 추가 참여가능) ③일시: 11.29(수) 14:00~ ④장소: 미정 |
|
성과발표 |
2016년도 미래성장동력 오픈톡 릴레이 성과발표회 ・일자: 12.14(수) 잠정, 장소: 미정 ・내용: 2016년도 오픈톡릴레이 성과발표 및 2017년도 추진계획 소개 |
참고 8 |
『미래성장동력 19대 분야』주요내용 |
□ 주력산업
□ 미래신산업
□ 공공복지산업
□ 기반산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