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WP문서190910_조간_(보도)_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 달 탐사 사업 계획 변경.hwp

닫기

보도일시

2019. 9. 10.(화) 배포시점부터 보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배포일시

2019. 9. 10(화)

담당부서

과기정통부 우주기술과

담당과장

김영은(044-202-4640)

담 당 자

정관우 서기관(02-202-4641)

장일해 사무관(02-202-4642)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 달 탐사 사업 계획 변경

국내 최초의 우주탐사 사업인 달 탐사 사업의 성공적 추진을 위해 현장 연구자와 우주분야 전문가의 의견을 사업계획에 반영

- 달 궤도선 현재 설계를 유지하되, 개발일정을 19개월 연장하고 목표 중량 재조정

과학기술정보통신부(장관 최기영, 이하 과기정통부’)오늘 오전 10시국가우주위원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이하 우주실무위’)를 개최하여 󰡔달 탐사 사업 주요 계획 변경(안)󰡕심의·확정하였다.

* 󰡔우주개발진흥법󰡕 제6조에 근거하여, 우주개발에 관한 사항을 심의하는 국가우주위원회(위원장:장관)의 업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해 1차관을 위원장으로 구성

우주실무위에서는 달탐사사업단과 우주분야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평가단이 도출한 진단과 해법을 적극 수용하여 달 궤도선 개발일정을 19개월 연장(‘16∼’20.12‘16∼’22.7월)하고, 목표 중량을 678kg(당초 550kg) 수준으로 조정했다.

달 궤도선은 예비설계(‘17.8월) 이후 상세설계 및 시험모델 개발과정에서 기술적 한계로 경량화에 어려움을 겪어 당초 목표(550kg)보다 중량이 128kg 증가되었다.

연구현장에서는 중량 증가로 인한 연료부족과 이에 따른 임무기간 단축 가능성 등 다양한 우려가 제기되었고, 기술적 해법에 대한 연구자 간 이견발생하였다.

특히, 연구자 간에는 678kg급 궤도선으로 임무수행이 가능다는 의견재설계가 불가피하다는 의견대립하였는데, 이견 조정이 어려워 사업이 지연되는 결과를 초래했다.

과기정통부는 정확한 원인규명과 해법 마련을 위해 우선 항우연 자체점검을 실시(’18.11~‘19.3월)토록 하였고, 이를 토대로 우주분야 외부 전문가로 구성된 점검평가단을 운영(’19.1~8월)하여 연구자 간 이견을 조정하고, 실현가능한 합리적인 해법을 도출토록 하였다.

점검평가단은 경량화에 대한 항우연의 기술적 한계를 수용하여 현 설계를 유지하여 목표 중량을 678kg으로 조정하고, 궤도선을 2022년 7월 이내에 발사하며, 임무궤도 최적화*통해 임무기간 1년을 유지하는 방안을 제안하였다.

* 당초 원궤도(100×100km)에서만 12개월 운영하려던 계획에서 원궤도(100×100km) 타원궤도(고도 100×300km)를 병용 (구체적인 임무궤도 구성은 탑재체기관과 협의 필요)

아울러, 달 탐사 사업의 성공적인 추진을 위해 항우연 내부의 위험관리 기능을 강화하고, 항우연 내 달 탐사 사업단경험이 풍부한 연구인력을 보강하며, 기술적 사항들이 합리적으로 결정될 수 있도록 외부전문가의 상시적인 점검체계를 강화하는 방안을 권고하였다.

우주실무위에서는 연구현장의 의견을 반영한 점검평가단 점검 결과를 수용하여 󰡔달 탐사 사업 주요 계획 변경(안)󰡕을 확정하였다.

과기정통부 문미옥 차관정부는 창의적이고 도전적인 R&D 적극 지원하고, 시행착오를 용인하는 연구자 중심의 안정적인 연구환경을 만들어 나가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면서,

연구자 간에 다양한 의견이 자유롭게 개진되고, 전문가 사회에서 자체적으로 논의하여 해결방안을 도출하는 성숙한 연구문화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

◦ “또한, NASA와 함께 추진 중인 달 착륙선의 과학탑재체 개발 등 우주선진국들과의 협력을 강화하고, 우리나라 달 착륙선 개발을 위한 선행연구 등 다양한 도전을 지속하여 우리나라의 우주탐사 능력을 제고해 나가겠다.라고 말했다.

붙임 1. 달 탐사 사업 개요 및 해외 달 탐사 현황 2. 󰡔달 탐사 사업 주요 계획 변경(안)󰡕 요약 내용 3. 우주탐사 분야 연구개발 현황(출연연) 4. NASA 민간 달착륙선 사업(CLPS) 개요 및 계획

이 자료에 대하여 더욱 자세한 내용을 원하시면, 과기정통부 정관우 서기관 (☎044-202-4641) 또는 장일해 사무관(☎044-202-4642)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붙임 1

달 탐사 사업 개요 및 해외 달 탐사 현황

사업 개요

(총사업비/기간) 총 1,978.2억원(변경예정) / 16.1월 ~ ’22.7(6년7개월)

(주요내용) 678kg급 궤도선 본체 및 탑재체 개발, 심우주지상국 구축, 2단계 선행연구, NASA와 국제협력

총 중 량 : 678kg급 (1.78×2.09×2.24(m))

임무수명 : 약 1년

운용궤도 : 100km(±40km) 원궤도 및 타원궤도 (변경가능)

탑재체(6개) : 고해상도 카메라, 달 자기장 측정기, 달 감마선 분광기, 광시야 편광 카메라, 우주인터넷 기술검증, NASA 탑재체(음영지역 촬영 카메라)

< 달 궤도선 >

(추진체계) 항우연이 시스템본체지상국을 총괄하고 천문연, ETRI 등 주요 6개 국내기관과 NASA가 참여하는 협력체계로 추진

항공우주연구원

NASA

달 궤도선의 설계제작조립시험발사 등 전반적 운용

학탑재체를 제공(’17.4월 선정)하고, 심우주통신임무설계항행서비스 제공

과학탑재체(한국 5, NASA 1)에 공동과학팀을 구성연구

해외 달탐사 현황

(달 궤도선) (구)소련, 미국, 일본, 유럽, 중국, 인도 6개국달 주위를 도는 인공위성달 궤도선을 개발하여 달 궤도 진입성공

(달 착륙선) (구)소련, 미국, 중국 3개국만 달 표면 착륙에 성공였고, 최근 이스라엘 및 인도가 달 표면 착륙을 시도했으나 실패(’19)

< 해외 달 탐사 관련 주요현황 >

국가

연도 및 명칭

임무

국가

연도 및 명칭

비고

(구)

소련

󰋻1966년 루나 9호

󰋻1966년 루나 10호

착륙선

궤도선

일본

󰋻1990년 히텐

궤도선

유럽

󰋻2004년 스마트-1

궤도선

미국

󰋻1966년 서베이어 1호

󰋻1966년 루나 오비터 1호

󰋻1968년 아폴로 8호

󰋻1969년 아폴로 11호

착륙선

궤도선

궤도선(유인)

착륙선(유인)

중국

󰋻2007년 창어 1호

󰋻2013년 창어 3호

󰋻2019년 창어 4호

궤도선

착륙선

착륙선(달뒷면)

인도

󰋻2008년 찬드라얀 1호

궤도선

붙임 2

󰡔달 탐사 사업 주요 계획 변경(안)󰡕 요약 내용

점검평가단 점검 결과

궤도선 중량 현황 현실화

- 달 궤도선의 현재 설계목표 중량을 678kg에서 자체 관리하며 잠재적인 증가요인에 대해 지속적인 관리 및 심층 검토 필요

중량 변경에 따른 임무수행 최적화

- 운용궤도 변경을 NASA 등과 협의하여 12개월 임무를 수행할 필요

100km×300km 달 궤도로 진입하여 약 9개월 임무 수행 후 100km×100km 궤도로 변경하여 약 3개월 임무를 수행하는 방안 제시

개발과정에 따른 발사 및 사업일정 현실화

- 핵심사항(중량, 미션 조건) 미확정 상태에 따라 기계시스템 등 일부 부분체의 상세설계 지연 등 업무 공백으로 19개월* 연장 필요

* 달 궤도선 상세설계검토회의 지연 15개월, 추력기 추가 2개월, 일정 마진 2개월

발사일정 변경에 따른 예산 재산정

- 국내외 부품 납품 일정 연장 비용과 발사체 업체와의 계약조건에 따른 추가금을 반영한 예산 재 산정 필요

주관기관 내부 소통 및 사업관리 개선 필요

󰡔달 탐사 사업 주요 계획 변경(안)󰡕 주요 내용

중량목표 변경(550kg → 678kg): 현 설계를 유지하고 중량목표 550kg 해지하되, 현재 무게인 약 678kg를 초과하지 않도록 제작

임무궤도 조정: 원궤도(100km x 100km)원궤도, 타원궤도 병용

- 100km×300km 달 궤도로 진입하여 약 9개월 임무 수행100km×100km 궤도로 변경하여 약 3개월 임무를 수행

실제 운용궤도는 NASA와 협의결과 및 발사 후 제반여건에 따라 변경 가능

사업기간 조정: 19개월 연장(’16.1~‘20.12(60개월) → ’16.1~’22.7(79개월))

- 약 17개월의 지연요인 및 2개월의 일정마진을 고려하여, 발사일은 19개월 연기한 2022년 7월 이내가 적절하다고 판단

투자규모 확대: 정확한 추가 예산은 연구재단 정밀 산정 후 재정당국(기재부, 과기정통부 혁신본부)과 협의하여 증액 범위 등을 최종 확정

동 사업계획 변경으로 약 167억원(발사 84억원, 시험평가비인건비 83억원)의 증액소요가 있는 것으로 파악

사업관리 강화: 항우연 원장 책임하에 기관차원의 지원을 확대하고, 점검평가단을 확대하여 상시적인 컨설팅 기능을 강화

붙임 3

우주탐사 분야 연구개발 현황 (출연연, 2019년 기준)

기관명

사업명

과제명

사업기간

사업비(억원)

사업내용

총계

’19

항우연

달 탐사 사업

달 탐사 사업

’16~’20

1,978.2

434.5

시험용 달 궤도선 1기의 국제협력 기반 개발 및 발사

항우연

(주요사업비)

달 착륙 핵심기술 및 행성탐사 임무연구

’19~’21

61.2

20.4

달 착륙선 개발 사업 착수에 필요한 핵심기술의 선행 확보

AI 기반 랑데부/도킹 기술검증용 위성 개발

’19~’21

64.2

17.7

딥러닝 기반 우주물체 상태 추정 알고리즘 탑재 랑데부/도킹 기술검증용 초소형위성 개발

생명유지시스템 핵심기술연구

’19~’21

14.4

4.8

3D프린팅/IoT 기술 활용 유인우주 가압모듈 생명유지 시스템 핵심기술 연구

천문연

우주국제협력지원

한미 우주탐사 공동기초연구

’19

1.0

1.0

주도의 대형 국제협력 탐사프로젝트인 달 궤도 우주정거장(Gateway)에 본격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

천문연

(주요사업비)

달 및 태양계소천체의 물리적, 역학적 진화연구

’16~’21

-

3.7

탐사후보 소행성들에 대한 기초자료 획득 및 선정기준 확립

국제우주정거장용 태양코로나그래프 개발

‘17~’21

176

40

NASA와 공동으로 국제우주정거장용 태양코로나그래프를 개발하여 연구성과 창출

국제협력을 통한 우주관측기술 확보

’16~’28

130

6

국제협력을 통한 우주관측기술 확보(전천후 적외선 영상분광탐사 미션 수행)

건기연

건기연

(주요사업비)

지상 우주환경시험인프라 확충

’17~’19

43

10

우주행성 지상환경이 구현 가능한 인프라 구축(실대형 지반열진공챔버 건립)

우주행성 지상탐사 지원 탑재체 연구

’16~’24

153.9

16.2

우주행성 지상탐사 지원을 위한 기초원천기술 확보 및 다양한 탐사지원 탑재체 개발

- 달 동결지반용 지반조사 장비 개발

- 행성 현지재료 고형화 기술

지자연

지자연

(주요사업비)

핵 분광기에 의한 지질 및 자원탐사 목적의 행성표면 조사

’17~’19

0.3

0.04

달 궤도선 탑재체인 감마선 분광기 개발 협력

분화된 태양계 행성물질의 희토류원소 우주화학

’17~’19

0.3

0.05

분화운석의 희토류원소 분석법 개발

지구/우주의 진화과정 해석을 위한 동위원소 및 미량원소 지구화학 프록시 개발

’17~’19

24.7

8.6

운석 희토류 원소 분석 및 새로운 우주화학 지시자 개발, 운석 생성연대 측정법 개발

붙임 4

NASA 민간 달착륙선 사업(CLPS) 개요 및 계획

사업개요

ㅇ (내용) 소형 착륙선, 로버 등을 달에 보낼 수 있는 민간 우주운송 서비스 업체와의 계약* 방식으로 수행되는 NASA 달 탐사 프로그램

* 지구와 달 표면 간 운송

ㅇ (사업주체) NASA 본부(Headquarter) 과학본부(SMD)*

* NASA 본부 내 유인탐사본부(HEOMD), 과학기술본부(STMD)와 협의하여 진행 중

착륙선 개발은 민간업체, 탑재체 개발은 국제협력을 통해 추진

ㅇ (예산) 총 26억달러 (약3조원) / 10년

ㅇ (구성) 착륙선 9기 이상 발사 (※ 1기당 비용 약 3,000억원 내외)

ㅇ (목적) 우주탐사, 현지자원활용(ISRU), 달 과학

진행 상황

향후 10년 간, 최대 26억 달러의 공급계약 입찰에 참여할 수 있는 최초 9개 회사 발표(’18.11.29)

ㅇ 1차 발사계획* 공개(’19.8)

* ‘20Orbit Beyond, ‘21Astrobotic Technology, Intuitive Machines

< 참고: CLPS 계약 입찰 권한 부여 회사 >

기업명

본사 위치

제안된 서비스

Astrobotic Technology

Pittsburgh, Pennsylvania

페레그리인 착륙선

Deep Space Systems

Littleton, Colorado

Rover 설계 및 개발 서비스

Draper Laboratory

Cambridge, Massachusetts

Artemis-7 착륙선

Firefly Aerospace

Cedar Park, Texas

Firefly Alpha Firefly Beta 발사차량

Intuitive Machines

Houston, Texas

노바-C 착륙선

Lockheed Martin Space

Littleton, Colorado

맥 캐런리스 달 착륙선

Masten Space Systems

Mojave, California

XL-1 착륙선

Moon Express

Cape Canaveral, Florida

MX-1, MX-2, MX-5, MX-9 착륙선; 샘플귀환

Orbit Beyond

Edison, New Jersey

Z-01 Z-02 착륙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