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사업
추진시스템 선행연구
제안요청서
계약명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사업
추진시스템 선행연구
2024. 12
◆ 본 제안요청서(RFP) 및 양식 등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규정적, 절차적, 내용적 검토 등에
따라 추가 수정ᆞ보완될 수 있음.
제안요청서
목 차
1. 개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1
2.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 소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4
3.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규격 요구조건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5
4. 업무지시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6
5. 제안서 평가기준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7
- 1 -
1. 개요
〇 계약명 :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 추진 시스템 선행연구
〇 계약 목적
-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에 적용 가능한 추진시스템 기술 선정을 위하여,
추진제 종류별※ 기술성숙도 분석 및 실물구현 가능성을 종합적으로 분석하여 달 착
륙선 시스템 요구조건을 만족하는 최적의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도출
※ 추진제 종류(예시)
: 1) MMH & NTO, 2) 과산화수소 & 케로신, 3) 메탄 & 액체산소, 4) 기타 (분류되지 않은 추진제)
※ 다양한 방식의 추진시스템 선행연구를 위해 추진제 종류별 가능한 1개 이상의 제안 업체 선정 고려
〇 추진 배경
- 달 착륙선 사업은 ‘우주개발진흥법’의 우주개발 연구 및 우주개발 사업 진흥,
‘항공우주산업개발촉진법’의 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 촉진을 근거로 독자적
달 표면 탐사 능력 확보를 위해 추진되고 있음
- 2024년도 우주개발진흥시행계획(‘24.03, 과학기술정통부)과 2024년도 국가연구
개발사업전략계획서(우주항공청)에 의거, 우주탐사 임무 확대를 위한 달 착륙선
추진계 핵심기술의 선행 연구를 추진함
〇 수요기관 :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하 항우연)
〇 계약기간 : 계약체결일※ ~ 2025년 5월 [※ 총 5개월 (계약체결 25년 1월 적용시)]
〇 계약 총 예산 : 본 계약의 업무지시서(SOW)에 따라 선정된 과제별 최대 1.0 억원이내
※ 선정될 과제의 수는 제안서 접수 후, 업체선정/평가결과에 따라 최종 결정할 예정임
※ 계약 협상과정에서 과업의 범위 조정에 따라 예산은 조정 가능함
※ 당초 계약한 과업의 변동이 없을 경우, 계약기간 변경 및 물가/환율변동 등의 이유로 계약금액 증액 불가
〇 특기 사항
- 국가연구개발정책(항공우주산업 연구개발 촉진)에 따라 참여기업의 자격(대표사)
은, 향후 달 착륙선 추진시스템 체계개발 및 실물구현이 가능한 국내산업체를 대
상으로 함 (기타 산학연 단체는 공동수급체로 공동계약 참여 가능)
- 제안서 평가를 통해 복수 업체 선발 예정
- 과제 계약은 수요기관(항우연)이 아닌 별도 대행 관리기관과 진행될 예정
- 2 -
〇 연구개발 과제 주요 산출물 (납품물)
- 본 연구과제에 선정된 업체는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에 대한 선행연
구 결과 보고서를 제출하여야 하며, 구체적인 납품물 내역은 항우연과 협의를 통
해 조정 변경할 수 있음
• 달 착륙선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연구과제 주요 산출물
연구개발 과제 주요 산출물
건수
비고
1
연구개발 보고서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선행연구)
1
u 연구결과보고서 세부내용은
1.1.업무지시서 참조
(중간 및 최종보고서)
▶ 중간보고서 : 25년 3월까지
▶ 최종보고서 : 25년 5월까지
2
기타(국내외 달 착륙선 추진시스템
관련 확보된 기술자료)
AR
1.1 일반사항
1.1.1 제안요청 산업체 설명회
〇 일시 : 24.12.23(월) 14시
〇 장소 : 한국항공우주연구원 연구1동 국제회의실
〇 내용 : 제안요청서 설명, 질의 응답 등
1.1.2 기술문의
〇 제안서 작성 관련하여 기술적 사항에 대한 문의는 접수마감일 3일 전까지 다음의
이메일 연락처로 문의할 수 있음
- E-mail 문의 (수신 : geunho123@tenopa.co.kr, shwon@kari.re.kr)
- 3 -
1.3 제안서 제출 방법
1.3.1 제안서의 구성
〇 제안기관은 본 제안요청서 내 5항(제안서 평가기준)을 숙지하여, 제안서 요구조건에 대
해 명확하고 상세하게 작성하여야 하며 다음과 같이 제안서를 제출하여야 함
〇 제안업체는 다음과 같이 총 6장으로 구성된 제안서를 제출함
제안서 목차 및 구성
제출 부수
원본
쪽수
사본
[제안서]
1. 제안서 요약문(Summary)
통합
1부
1~2P 이내
통합
6부
2. 제안업체 소개
3P 이내
3. 연구개발과제의 추진전략 및 방법
- 연구개발 추진전략
- 연구원 구성(주관연구책임자, 참여연구원, 전문가
초정 및 활용 계획 등)
- 연구개발 추진 계획, 연구비 소요 명세서... 등
10P 이내
4. 연구개발 목표 및 세부 수행 계획
※ 4항 업무지시서 세부 연구 개발 내용 참조
35P 이내
5. 제안업체 연구개발역량
5P 이내
6. 연구개발성과의 활용방안 및 기대효과
2P 이내
[첨부] 증빙자료
1부
제한 없음
6부 제출
※ 제안서 목차별 쪽수 제한 분량을 맞추어 작성되어야 하며, 제한 분량 미준수시 평가
결과에 불이익이 있을 수 있음
1.3.2 제안서 제출방법
〇 제안서 및 증빙자료, 발표자료(PDF 변환파일)는 책자 및 USB(외부에 ‘업체명_제안서용
USB’ 표시)로 접수장소 및 시간을 확인하고 이에 맞추어 반드시 동시에 제출하여야 함
〇 제안서는 제안업체 대표이사의 관인이 날인된 공문(1부)과 함께 제출되어야 함
- 제출기한 : 2025.01.10. (금)
- 제안서 접수 : 별도 공지 예정 (※ 접수된 서류는 일체 반환하지 않음)
- 4 -
2. 달 탐사 2단계(달 착륙선 개발) 사업 소개
〇
(사업목적) 달 착륙선의 독자 개발, 달 표면 연착륙 실증 및 과학 기술 임무 수행을 통하여
독자적 달 표면 탐사 능력 확보
〇
(주요내용) 독자적 주도적 달 탐사 역량 확보를 위해 다음과 같이 구성됨
- (시스템) 임무/항행 설계, 시스템 총조립, 연착륙 검증시험
- (착륙선) 달 동력 하강/연착륙을 위한 핵심기술 개발
- (지상국) 임무운영, 과학기술임무 자료 수신 네트워크 구축
〇
(필요성) 우리나라가 주도하는 지속가능한 우주탐사 영역 확대 및 달 탐사 우주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한 다양한
R&D 핵심 기술 집약 필요
〇
(사업 기간) ‘24년 ~ ’33년
〇
(사업총괄부처) 우주항공청
〇
(달 착륙선 주관연구개발기관) 한국항공우주연구원
※ 달 착륙선용 탑재체는 별도과제로 선정 및 추진 예정
〇 달 탐사 2 단계 (달 착륙선 개발) 사업 수행일정(안)
․SRR(System Requirement Review) 시스템요건검토회의 ․SDR(System Design Review) 시스템설계검토회의
․PDR(Preliminary Design Review) 예비설계검토회의
․CDR(Critical Design Review) 상세설계검토회의
․IRR(Integration Readiness Review) 조립전검토회의
․PSR(Pre-Ship Review) 운송전검토회의
※ 상세일정 및 내용 등은 사업추진 상황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 5 -
3.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규격 요구조건
〇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제시
- 본 3.1항에서 제시하는 요구조건을 만족하도록 추진제 종류, 추력제어방식, 추력방향 제어
방식 등에 대하여 종합적으로 검토하여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을 제시해야 함
달 착륙선 및 추진시스템 요구조건
(3.1항 및 3.2항 요구조건 참조)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 추진제 종류에 따른 개발 방식 선정
※ 추진제(예시): 1) MMH & NTO, 2) 과산화수소 & 케로신,
3) 메탄 & 액체산소, 4) 기타(분류되지 않은 추진제)
Pulse
방식
Throttling
방식
Gimbaled Engine
방식
Vernier Thruster
방식
▶ 추력 제어 방식 선정
▶ 추력방향 제어 방식 선정
3.1 달 착륙선 시스템 요구조건
3.2 추진 시스템 요구조건
※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선행연구와 관련된 세부 시스템 규격 요구조건 (3.1
항 및 3.2항)은 제안요청 설명회(12월 23일)에서 참여업체를 대상으로 공개할 예정임
- 6 -
4. 업무지시서(SOW : Statement of Work)
4.1 개요
〇 연구과제에 선정된 기업은 다음의 업무지시에 따라 연구개발 업무를 수행함
〇 제안 기관은 「4.2 업무지시서」에 기술된 달 착륙선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연구내용이 모두 포함한 연구결과 보고서로 제출하여야 함
4.2 달 착륙선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업무지시서
〇 선정된 기업이 수행해야하는 단계별 주요 연구개발 업무는 아래와 같음
연구 단계
주요 연구 개발 업무
비고
【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제안 및 개념연구
】
○ 연구과제 착수
○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 방식 및 국내외 동향 분석
○ 달 착륙선에 적합한 추진제 및 추력제어 방식 제안
- 추진제 분류에 따른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 추력제어 방식에 따른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 방안 제안 사유 분석
○ 제안된 추진시스템 개발에 따른 기대효과 및 활용 방안 분석
○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 방식 개념 설계
【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선행연구
】
○ 추진 시스템 개발 업무 분류(WBS) 및 기술성숙도(TRL) 분석
○ 추진 시스템 개발 주요 규격 제시
○ 추진 시스템 및 구성품 지상검증 방안 제시
- 추진시스템/구성품별 성능검증 및 환경시험 수행 방안
- 소요시험 및 장비 활용방안 (필요시, 신규시험설비 구축 계획 포함)
○ 국산화 개발 및 국제협력/공동개발 방안 제시
- 국산화 개발 계획 및 검증 방안
- 국제협력/공동 개발 방안
○ 위험관리 및 대응방안 분석
○ 연구성과 활용 및 기대 효과 분석
【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종합 분석
】
○ 제안된 추진 시스템 개발 가능성(실물구현) 종합 분석
- 기술/일정/예산 등 종합적으로 분석/제시
○ 달 착륙선용 추진시스템 개발방안 연구결과보고서 작성/제출
4.3 보고서 제출
〇 선정된 기업은 연구수행 추진현황 및 계획을 월간 보고서로 매월 말일까지 제출
- 7 -
5. 제안서 평가 기준
5.1 제안서 평가방법
〇 기술능력 발표 평가
- 제안서 평가위원회를 구성하여 제안업체의 발표평가를 통해 평가항목별 절대평가 실시
※ 제안서 발표 평가를 거쳐 85% 미만의 평가점수 획득 시 탈락 처리
- 일시 및 장소 : 추후 별도 공지
- 발표시간 : 제안업체당 30분 이내(발표 20분, 질의응답 10분)
〇 제안서 평가위원회 구성
- 항우연에서 관련분야 전문가들로 평가위원회(5 인 이상)를 구성하여 평가 실시
〇 제안서 접수 후에는 보완이 원칙적으로 불허되며
, 제안서 미비에 대한 책임은 해당
업체에 귀속
5.2 평가방법 및 배점
※ 기술능력 평가 배점 중 85% 미만의 평가점수 획득 시 탈락 처리
구분
항목
평 가 요 소
배점
비고
기술
능력
평가
배점
연구개발
이해도
- 연구개발 목적 및 필요성 인식도
- 제안의 특징 및 장점
- 수행결과의 적용방향 및 기대효과
10
정성
평가
연구개발
추진전략 및
방법론
- 연구개발 추진 전략의 합리성
- 연구개발 수행 체계의 합리성
- 연구개발 수행 절차 및 방법론의 타당성/신뢰성
- 연구개발 수행 총괄 계획(인력/일정/예산 등)의 적
절성
20
연구개발 수행
세부 추진계획
- 과업지시서 내용(4.2항 표 참조) 대비 세부 연구
업무 수행계획의 적합성
- 연구개발 세부 추진계획의 구체성 및 실물 개발
구현 가능성
60
주요
성과 및 업적
- 추진 시스템 개발관련 주요 연구성과 및 실적 현황
10
합 계
100